[이웃종교와 선교] 불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웃종교와 선교] 불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전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불교의식 전문교육기관으로서 1997년에 개원하였다.
④ 재교육(연수)
기본의무교육과정을 이수한 승려를 대상으로 다양한 연수가 시행되고 있는데, 일반연수와 직무연수 및 직능연수로 크게 분류된다. 일반연수란 구조계를 수지한 비구비구니를 대상으로 지도자로서의 자질함양을 위해 실시하는 각종 교육 및 연수를 말한다. 직무연수로는 본말사 주지 연수교육과 강원교직자연수가 있으며, 직능 연수로는 전법인력양성교육과 전산교육 등이 있다.
이상의 고찰에서 드러나듯이 대한불교 조계종은 전통적으로 각 본Ⅲ말사에서 행해지는 기초교육에서부터 기본교육 그리고 구조계 수지 이후의 승려전문교육 및 재교육에 이르는 승려교육을 일원화, 체계화, 제도화하는 대에 역점을 두고 있다. 또한 승려교육에 있어서 늘 쟁점이 되어 온 전통교육과 현대교육의 조화에도 큰 힘을 쏟고 있다.
2) 불교의 교단
우리가 불교 교단이라 하는 것은 수행자와 신도를 포함한 전체를 말한다. 그러나 좁은 의미에서의 교단은 승단을 의미하는데 즉 출가수행자만을 의미한다.
교단에는 사부대중이 있는데 미성년자를 뺀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를 지칭한다.
비구와 비구니는 출가한 남녀 수행자들이고 우바새와 우바는 재가의 남녀를 말한다.
만 보통은 칠부대중과 마찬가지로 불교도 일반을 통틀어서 가리키는 말로 쓰이고 있다. 참고로 사마(출가했지만 구족계를 받지 않은 20세 미만의 남자), 사마니(구족계를 받지 않은 18세 미만), 식차마나(18~20세 사이의 여성 출가자)도 있다.
나오는 말
지금까지 우리는 불교의 기원에서부터 한국 현대 불교의 특징과 형식까지 폭넓게 살펴보았다. 발제준비를 마치면서 느끼는 생각은 ‘아직도 할 말이 많이 남았는데’ 하는 못 다한 불교의 이야기들에 대한 아쉬움이다. 그만큼 발제를 하면서 우리와 이웃하고 있으면서도 우리에게 ‘타종교’이기만 했던 불교에 대해서 너무나 무지했음을 실감했다.
특별히 불교를 연구하면서 드는 생각이 여럿 있어서 정리하고 글을 마칠까 한다. 불교의 기원과 역사를 살펴보면서, 불교의 형성에서부터 활동까지를 가능하게 한 것은 바로 문화(시대, 지역, 관습, 사상)와의 만남을 통해서였다.
문화를 어떻게 만나고, 어떻게 문화에 대처하느냐에 따라 불교의 변화는 심히 다양했다. 처음에 ‘힌두교’라는 종교와 그 종교가 만들어낸 문화의 반발로 시작한 불교는 말 그대로, ‘자각의 종교’ 그 자체였다. 그러나 처음에 탄생할 때는 신흥혁신 종교였던 불교가 ‘게토화’되고 대중과의 거리가 멀어짐으로 자신 안에서 또 다른 종교개혁이 일어나야만 했다. 그리고 그 개혁으로 불교는 지금도 세상 속에서 여전히 힘을 발휘하는 종교로 살아남을 수 있었다. 불교가 시대를 거슬러 오면서, 여러 번의 위기도 있었다. 그리고 너무나 주변반응(힌두문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다가 ‘힌두화’되어, 현재 인도 내에서는 불교가 힌두교에 흡수되어 버린 상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가 세계종교로 거듭나게 된 것도 또한 세계의 상황과 요구에, 자신의 모습을 변화하고 대응했기 때문이라는 점을 우리는 명심해야 한다. 아놀드 토인비가 자신의 책, ‘역사의 연구’에서 제시했던 역사의 원리, ‘도전과 응전(반응)’이 바로 불교가 계속 세계 안에 숨 쉴 수 있었던 이유임을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 기독교도 시대의 요청과 점점 멀어지고, 게토화 되어 가는 ‘독백형’의 종교가 될 것이 아니라, 세계의 도전과 요구에 반응하는 몸부림으로 살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고서는 현재의 기독교의 모습으로는 조금의 미래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한국 불교 역사를 보면, ‘억불숭유정책’속에서 굳건히 살아남은 불교를 만난다. 불교에 여러 가지 탄압과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한국에서 그들의 생명력이 끊어지지 않을 수 있었던 또 다른 이유가 있다. 그것은 바로 철저하게 한국 불교가 민중과 함께 하며 그 삶 깊숙이 들어가서, 그들과 함께 숨 쉬는 종교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금 우리가 기독교가 시기적으로 냉담과 차가운 시선이라고 낙담할 것이 아니라, ‘위기는 곧 또 다른 기회“라는 확신 속에서, 진정한 의미의 ‘세속화’, 민중 깊숙이 들어감이 필요하다. 아울러 불교형식이 갖고 있는 의미와 상징(아이콘)을 대하면서, 무언가 기독교적인 이해가 불교 안에 도입되지는 않았었는지 반문하게 된다. 대승불교가 ‘자각의 종교’에서 ‘신앙의 종교’로 탈바꿈하게 되는데, 헬레니즘 문화는 대승불교에 무엇을 남겨 주었는가? 연구해 볼 가치가 있는데, 이미 앞에서 언급했던 ‘붓다의 삼신론’의 경우가 그렇다. 그리고 인간 붓다에서 신앙의 붓다의 넘어감이 종교라는 이름으로 ‘대동소이’하게 진행된 것이라고 미리 판단하지 말고 그 안에서 ‘문화충돌(만남)의 증거를 찾아야 한다. 이 작업은 앞으로 있을 불교와 기독교의 대화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우리가 불교에 접근하고 ‘상황화’하는 문제에 좋은 실마리를 제공해 줄 것을 기대하며 본 발제의 마지막을 마치는 바이다.
참고도서
한국종교연구회 저, 세계종교사입문, 청년사, 1991
김은수, 비교종교학개론, 대한기독교서회, 2006
최정만, 비교종교학개론, 도서출판 이레서원, 2005
이상호민경배함성국이계준 편역, 세계의 종교들,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5
고영섭 저, 불교란 무엇인가, 정우서적, 2004
교양교재편찬위원회 편, 불교문화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마즈다니 후미오 저, 정병조 역, 현대불교입문, 현음사, 1996
H.키워드 저, 한국종교연구회 역, 종교다원주의와 세계종교, 서광사, 1990
헤롤드 카워드 저, 오강남 역, 종교다원주의와 세계종교, 대한기독교서회, 1993
카톨릭 신학과 사상 2005 가을 53호
불교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불교 조계종 교육원, 사단법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7
장휘옥, 불교학 개론, 동국대학교
무우수, 불교의 이해, 금강대 불교문화연구소, 2006
주명철, 불교와 세계 종교, 동국대학교
불교 용어 사전
유동식, 한국 종교와 기독교, 대한기독교서회
대한불교 조계종 교육원, 2004,
승가교육과정안내

키워드

  • 가격3,4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8.03.18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97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