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보건사회복지론] 정신분열병환자의 재입원률 감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정신분열병환자의 재입원률 감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정신분열 현황
1.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입원 관련 현황
2. 정신분열증의 윤리적 딜레마
3. 정신분열증환자의 입원과 퇴원에 대한 관련 법.

ⅲ. 정신보건기관 현황
1. 정신보건기관․시설 현황
2. 지역사회 정신보건 관련 서비스
3. 2009년도 보건복지가족부 정신보건 사업(서비스) 추진방향

ⅳ. 사회기술훈련
1. 사회기술훈련
2. 정신분열병 환자에게 실행되는 ‘사회기술훈련’의 한계점

ⅴ. 가족개입프로그램
1. 패밀리링크
2. 패밀리링크 코리아
3. 가족협회 프로그램(미정)

ⅵ. 결론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2006년 11개 센터에서 교육실시 388명 참여
- 2007년 10개 센터에서 교육실시 272명 참여
- 2007-2008 동영상 강의 비디오 제작
- 2008 홈페이지 오픈 www.famailylink.or.kr
- 2008년 8월 정신보건전문가 워크샵 개최
- 2008년 전국 31개 센터에서 423명 참여
- 2009년 2월 서울에서 심화교육 실시
7) 2009년 계획
- 기초교육 시행
- 지역별 심화과정 시행
- Family Link 5주년 기념 행사
(가족토론회, 전문가워크숍, 기념특강)
- 가족강사 자격증 수여식
8) 가족강사 기준
- 패밀리 링크 기초교육(1-8과)이수
- 지역별 심화과정 이수
- 2009년 : 기초과정, 심화과정 이수 후 전국 패밀리링크 교육기관에서 가족강사 활동한 분
- 앞으로 : 중앙심화과정 이수 및 강의시연을 통한 검증 후 자격증 수여
9)2009년도 하반기 Family Link 기초교육 실행기관
번호
지역
기관명
교육기간
횟수
교육장소
담당자
1
경기
용인정신병원
10/9-10/30
주1회
4회
경기도립건물1층 대강당 (얀센홀)
이은희
2
성남시 정신보건센터
9/30-10/7
주1회
2회
성남시 정신보건센터 2층 회의실
오화영
3
열린마음정신과의원
9/9-10/7
주1회
5회
열린마음정신과 낮병원
주현정
4
마음샘정신재활센터
9/17-10/15
주1회
4회
마음샘정신재활센터
권용숙
5
대전,충청
금산군정신보건센터
9/2-10/21
주1회
8회
금산군정신보건센터 프로그램실
오예린
6
부산
금정구정신보건센터
9/3-10/15
주1회
6회
금정구청 별관 강당
정강희
7
부산진구정신보건센터
9/2-9/23
주1회
4회
부산진구정신보건센터 프로그램실
강보미
8
대구
대구남구정신보건센터
9/18-10/15
주1회
5회
센터내 프로그램실
최은희
9
광주,전남
광주서구정신건강센터
10/6-10/27
주1회
4회
상무금호보건지소 보건교육장
이승지
10
전북
보배정신건강상담센터
9/18-10/14
주1회
4회
보배정신건강상담센터
박경원
11
강원도
동해시정신건강센터
9/23-10/14
주1회
4회
동해시정신건강센터 교육실
박민선
ⅵ. 결론
지금까지 지역사회 내 정신분열퇴원환자들을 위한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과 퇴원환자들의 가정 및 지역사회복귀를 돕는 패밀리 링크에 대해 알아보았다. 정신분열환자들의 재입원률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은 다름 아닌 가족들의 지지와 보살핌, 관심이 최우선이라는게 이번 과제를 통한 우리 조원들의 결론이다. 정신분열환자들에게 자신이 가장 수치심을 느낄 때가 언제냐고 물어본다면 남이 아닌 바로 가족과 함께 있을 때라는 충격적이고도 놀라운 대답을 들을 수 있다. 이처럼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낙인감과 수치심을 느낀다면 정신분열환자들은 그 어디에서도 적응하기 힘들 것이다. 가장먼저 가족들의 의식이 개선되어 환자들이 가정과 나아가 지역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자원인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분열환자들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ⅶ. 참고문헌
광주시정신보건센터 http://gjcmhc.co.kr/
국회법률지식정보시스템 http://likms.assembly.go.kr/law/
권란. 2008. “인권없는 정신병원”.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517291.
대한정신보건가족협회 http://www.kfamh.or.kr/
법제처 http://www.moleg.go.kr
보건복지가족부 http://www.mw.go.kr/
용인정신보건센터 http://www.ycenter.or.kr/
패밀리 링크 http://www.familylink.or.kr
한국사회복귀시설협회 http://www.kpr.or.kr/kpr/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시설평가단 http://naver.nanet.go.kr:8080/dl/DetailView.php
IBM http://www-07.ibm.com/employment/kr/ko/ibmkr/ibm_intro_hr.html
국가인권위원회. 2008. “정신장애인 인권 실태조사 결과발표 및 토론회”. 서울 :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2009. “정신장애인 인권보호와 증진을 위한 국가보고서”. 서울 : 국가인권위원회.
김상균·오정수·유채영. 2002.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서울 : 나남출판.
김수진. 2000. 『지역사회 정신보건 서비스의 개발과 전달체계』.
김형길. 2007.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적응 향상을 위한 가정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 완주: 한일장신대학교출판부
박종익. 2008. “장기 입원의 구조적 원인과 지속 요인”. 서울 : 국가인권위원회.
박차상 외. 2007. 『한국 사회복지법 강의』. 서울 : 학지사.
서미경. 2007. 『정신장애와 가족』. 파주: 집문당.
서지민. 2006. “사회기술훈련이 만성 정신분열병환자의 대화기술과 주장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인천 : 정신간호학회. pp.22-30.
양옥경. 2004.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서울 : 나눔의 집.
이명수·홍진표·고정아·오정하. 2009. “정신보건심판위원회 퇴원명령 대상자 추적조사”. 대한신경정신의학 제48권 제1호 통권 제208호. 서울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pp.42-47.
이용표. 2003. “현장과제를 활용한 정신장애인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지 제15집.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pp.77-105.
이하연. 1995.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과 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가족·지역사회주민·정신요양원 종사자의 태도조사를 중심으로”. 서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이효선. 2003.『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의 이해』. 서울 : 학지사.
전석균. 1995.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회적응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정신보건과사회사업 2. 한국 정신의료사회 사업학회. pp.33-50.
  • 가격3,6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8.03.21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98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