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개론] 무가(巫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개론] 무가(巫歌)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무가 개관
2-1. 무가의 정의
2-2. 무가의 역사적 전승
2-3. 무가의 형식적 절차
2-4. 무가의 특징
3. 무가 작품 분석 -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3-1. 서사 무가 <바리데기>
3-2. <바리데기> 내용 분석
3-3. <바리데기>를 보는 다양한 관점
4. 무가 실용화 방안 - <바리데기>의 보드게임화
4-1. <바리데기>의 현대적 의의
4-2. <바리데기>의 보드게임화
4-3. <바리데기>의 드라마 제작
5. 결론

본문내용

시수행하고 지나온 길을 되돌아가는 등의 불운한 카드들도 섞여 있다.
점카드
-보라매, 백매, 금거북이, 해와달, 청룡, 황룡 카드
오구대왕은 바리공주의 태몽으로 보라매, 백매등이 나오는 꿈을 꾼다. 따라서 이 카드들을 뽑았다면 주사위를 한 번 더 던질 수 있게 한다는 등 게임진행에 도움을 주는 카드로 설정한다.
-오구대왕의 여섯딸 카드
오구대왕의 여섯딸은 모두 병든 아버지를 위해 약수를 구하러 서역으로 가겠다고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오구대왕을 더 위독하게 하는 불운의 카드로서 진행 중인 미션이 있다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하거나 게임말이 지나온 길을 되돌아 가도록 하게 하거나 다음 턴에 주사위를 던지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석가여래카드, 산신카드, 사해용왕카드
석가여래나 산신, 사해용왕은 바리공주가 버려졌을 때 바리공주를 구해주는 인물이다. 이 카드들을 무장승의 미션인 물삼년, 불삼년, 나무삼년 중 하나를 통과할 수 있는 특수카드로 사용한다. (그 밖에 다양한 기능의 카드를 추가할 수 있다.)
미션
-빨래해주기, 다리놓아주기, 돌탑쌓기
바리공주는 서역으로 가는 길안내를 받기위해 검은 빨래를 하얗게 빨아주고, 아흔아홉간의 다리를 놓아주었으며, 길가에 언덕에 높은 돌탑을 쌓아준다. 이 미션들을 무장승을 만나기 전의 중간미션으로 배치한다.
-물삼년, 불삼년, 나무삼년
무장승은 바리공주에게 약수를 받을려면 물삼년 길어주고, 불삼년 때어주고, 나무 삼년 해달라고 그녀에게 청한다. 그리고 아홉해를 살고 나니 무장승이 바리에게 그와 혼인하여 일곱아들을 낳아주고 가달라고 요구한다. 바리는 그것도 부모 봉양하는 것이라면 그렇게 하겠다고 하여 일곱아들을 낳는다. 무장승의 최종미션이므로 난이도를 어렵게 한다. 예를 들어 주사위를 던져서 특정한 숫자가 세번 연속으로 나와야만 하나를 클리어할 수 있게끔 한다.
-일곱아들 낳기
무장승의 마지막 미션이다. 이 미션을 수행하고 나면 약수를 얻게 되고 게임이 종료된다. 게임에서 가장 수행하기 어려운 미션으로 한다.
4-3. <바리데기> 드라마 제작
바리데기 드라마
제목(주제)
드라마 바리데기 (무가 바리데기에서 보이는 비현실적인 부분을 제거하고 드라마라는 장르를 통해 현대적으로 접근)
기획의도
큰 틀은 고전 바리데기와 유사하지만, 현대적으로 수정하여 현실성을 높이고, 점점 사라져가는 문화(문학)를 다시 한 번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상품화함으로써 우리의 전통문화를 보존할 수 있을 것이다
등장인물
주인공 바리, (신선→)무장, 희귀병에 걸린 아버지, 어머니, 6자매 등
가상캐스팅
바리→ 문근영, 무장→ 조인성, 아버지→ 정보석, 어머니→ 고현정6자매→ 티아라, 양부모님→ 이순재와 나문희
시놉시스
주인공 바리는 6언니를 둔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종갓집 맏아들로써 대를 잇지 못했다는 이유로 바리를 고아원으로 보내버렸다.
고아원에 버려졌던 바리는 다른 집으로 입양된다. 양부모님은 나이가 있으신 분들이셨지만 바리를 잘 돌봐주셨다. 하지만 바리가의 친부모님에 대한 그리움은 커져만 갔다.
훌륭한 사람이 돼서 부모님을 찾아뵈겠다는 각오로 열심히 공부했던 바리는 의대를 졸업하고 병원에서 직장생활을 한다.
그러던 어느 날 자신을 버렸던 아버지가 희귀병에 걸렸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그때부터 바리는 자신의 친아버지의 희귀병을 치료하기 위해 치료법을 찾으러 양부모의 곁을 떠난다. 치료법을 배우기 위해 여러 의사들을 찾아다닌다.
그러다가 아버지가 걸린 병과 같은 희귀병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의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 의사가 바로 무장이다.
바리는 치료법을 배우기 위해 무장이 근무하는 병원에서 1년간 인턴 생활을 하고 레지던트생활로 4년을 보낸다. 병원에서 지내는 동안 바리는 치료법을 연구하며 힘들고 외로운 시간을 보내게 된다. 바리는 아버지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밤낮으로 공부하며 무장과 함께 지내면서 서로에게 의지한다.
시간이 흘러가고 드디어 치료법을 개발하게 되어 바리는 무장과 함께 아버지를 찾아간다. 어머니와 6자매는 바리가 예전에 버렸던 7째라는 것을 알고 놀란다.
식물인간 상태로 계신 아버지를 무장과 함께 연구해서 만들어낸 치료법을 사용하여 병을 치료하여 아버지가 깨어난다. 그것을 본 어머니는 감격하고 그동안 아버지를 위해 아무것도 하지 못한 6자매도 함께 기뻐한다.
온가족들과 하루 동안 함께 지내며 행복한 시간을 보낸다. 그 후에 아쉬운 마음을 뒤로한 채 바리와 무장은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면서 희귀병을 치료하며 평생을 함께한다.
바리데기가 버려지는 장면
-→ 현대에는 아이를 막 버릴 수 없으므로 고아원에 보내는 것으로 수정
무장신선을 만나 불사약을 받는 값으로 9년 동안 일을 해주는 부분
-→ 치료법을 배우는 힘든 과정으로 수정
병에 걸린 아버지가 불사약으로 죽음을 극복하는 장면
-→ 식물인간이었던 아버지가 회복하는 것으로 수정
죽음을 관장하는 신이 되는 바리데기
-→ 희귀병을 치료하는 의사로 수정
5. 결론
이제까지 무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무가는 트랜스-포제션(trance-possession)기능을 가진 샤먼(무당)이 인간 삶의 복락과 안녕을 꾀하기 위해 초자연적 세계인 신과 굿판에서 접선하여 부르는 노래이다. 무가는 이러한 주술성을 주요하게 가지지만 그 속에는 민중들이 굿을 보며 음식과 술도 즐기는 연희의 성격 또한 가지고 있다. 무가를 연행하는 계층은 민중들이 아니라 무당이라는 특별계층이라는 점에서도 여타의 구비문학과는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무가는 고대사회의 무속신앙에서부터 시작된 독특한 형식과 배경을 지닌 우리 민중 고유의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정경, 「‘바리데기’의 텍스트성 연구」, 『한국고전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 2001.
오세정,「무속신화의 희생양과 희생제의 - ‘바리데기 신화’와 ‘제석본풀이’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오세정, 2001.
이희경,「서사무가 바리공주의 현대적 재해석」, 동서언론학회, 동서언론, 제13집 2010.
조흥윤, 『巫 - 한국무의 역사와 현상』, 민족사, 1997.
최래옥, 『한국구비문학론』, 제이엔씨, 2009.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8.04.19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31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