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소설론] 판소리계 소설의 서사적 모순과 그 의의 - 춘향전 흥부전 심청전 별주부전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고전소설론] 판소리계 소설의 서사적 모순과 그 의의 - 춘향전 흥부전 심청전 별주부전을 중심으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1.1.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
1.2.판소리계 소설의 범위
2. 판소리계 소설의 서사적 모순
2.1.서사적 모순의 양상
2.2.나타나는 원인
2.3.평가 및 의의
3.나가며

본문내용

버린 인간상이 공존한다. 또한, <춘향전>의 이몽룡은 경솔하고 조급한 성격을 가진 인간상과 의젓하고 신중한 성격을 가진 선비로서의 인간상을 함께 지니고, 춘향은 살기 위해 아양 떠는 기생으로서의 인간상과 부당한 횡포에 대해 끝까지 저항하는 절부로서의 인간상을 지닌다. 이렇게 이중적 성격을 가진 인물들은 민중 삶의 국면을 그대로 그려내는 효과를 발휘하고 청자들에게 삶의 방법과 태도에 대해 물음을 던지면서 사고와 비판을 요구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나는 서사적 모순은 현대 소설의 관점에서는 한계점이지만 분명히 긍정적인 측면도 가지고 있다. 다양한 이본을 통해 서사적 모순을 극복하려는 모습도 엿보이지만, 당대 민중들의 의식을 고스란히 담아낸 결과물인 것이다.
3.나가며
이상으로 조선후기에 성행한 판소리계 소설의 한계점으로 지적된 서사적 모순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그 원인이 무엇인지 긍정적인 측면은 없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후대로 갈수록 독자들의 의식 성장으로 인해 합리적이고 개연성 있는 방향으로 개작되어 가는 과정 속에서 서사적 모순이 많이 제거 되었지만 그래도 남아있는 모습을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별주부전'을 통해 알아보았다. 서사적 모순이 나타나는 원인으로 첫 번째, 판소리 연행 과정에서 부분창으로 인한 장면의 극대화 현상으로 인해 부분 간의 모순이 발생하였고 이것이 판소리계 소설에도 모습을 남겼기 때문이고 두 번째, 서사적 모순의 극복과정에서 과도기적 형태로 부분적인 개작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렇게 나타나게 된 서사적 모순은 민중들의 의식을 드러내주고, 판소리계 소설의 이중적인 주제를 형성하는 데에 긍정적인 의의를 지닌다. 특히 개작의 과정에서도 쉽게 변하지 않은 인물들의 모순된 성격에서 잘 드러나는데, 이를 통해 민중 삶의 국면을 그대로 그려내는 효과를 발휘하고 청자들에게 삶의 방법과 태도에 대해 물음을 던지면서 사고와 비판을 요구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번 논의는 우리 고전소설에 대한 현대문학적 관점에서의 비판은 과연 적절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던진다. 그 '현대문학적 관점'이란 것도 우리의 것이 아닌 서양의 것이라는 점이 가장 문제되는 부분이다. 이는 고전소설의 긍정적인 측면, 또는 우리 문학이 가지는 특성을 제대로 보지 못하게 하는 과오를 저지르게 한다. 판소리계 소설의 서사적 모순도 부분창으로 불린 판소리 연행 특성을 생각하면, 판소리계 소설에서 일관성이라는 잣대는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고전소설을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혜정, 이명진, 판소리, 민속원, 2011.11.24.
김진영 외, 판소리의 비평적 이해, 민속원, 2004.12.20.
박영주, 판소리 사설의 특성과 미학, 보고사, 2000.9.30.
서종문, 판소리와 신재효 연구, 제이앤씨, 2008.4.14.
정병헌 엮음, 쉽게 풀어 쓴 판소리 열두 바탕, 민속원, 2011.6.3.
홍신성 외 2인, 고등학교 문학(상), (주)천재교육, 2003.03.01.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4.19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3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