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활용사례 SWOT분석 및 발전 전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활용사례 SWOT분석 및 발전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웨어러블 디바이스란?

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등장 및 발전

3.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성

4.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유형

5.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활용 사례
1) 손목시계형
2) 밴드(팔찌)형
3) 안경형
4) 펜턴트형
5) 모자형
6) 신발형
7) 티셔츠형

6.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망의 SWOT분석과 발전 방안
1)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술발전 전망
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발전방안

참고자료

본문내용

련 법규·제도 정비
[웨어러블 SW 플랫폼]
- ICT 분야에서의 디바이스 제품
화기술, 사업화 역량, 인프라 보

- 얼리 어댑터 성향의 국민적 기
질과 및 테스트베드 환경
[웨어러블 SW 플랫폼]
- 창의적 아이디어를 반영하여
적시에 제품 출시
- 중소기업 체질개선 프로그램 지원
- 웨어러블 생태계 선점을 위한
기반 SW 기술 조기 확보
[웨어러블 SW 플랫폼]
-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글로벌 제
휴협력 확대
- 시장선점과 방어를 위한 기술/
제품/서비스 국제 특허 확보
[기타 요소기술]
- 휴대폰 등 소형·저전력 디바
이스의 세계 최고의 HW 기술력
[기타 요소기술]
- 디자인 중심의 다품종 소량생산
에 적합한 기업 체질 개선 지원
[기타 요소기술]
- 시장선점과 방어를 위한 기술/
제품/서비스 국제 특허 확보
W(약점)
WO 전략
WT 전략
[웨어러블 HW 플랫폼]
- 소재, 융합센서 부품 및 MCU
등에 대한 높은 해외 의존도
-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차별화를 위한 SW 와 연계 HW 기술 부족
[웨어러블 HW 플랫폼]
- 인지과학, 인간공학, 지능정보, ICT 등 다양한 기술의 융합을 통한 신기술/신산업 창출 모색
- 신소재, 융합 센서 부품 및 SOC 모듈 분야 선도형 기술 투자 확대
[웨어러블 HW 플랫폼]
- 중소기업 중심 창의적인 아이
디어 기반 신제품 기술개발 투
자 확대
- 정부·기업·연구계 협력에 의
한 비즈니스 모델 발굴 지원
[웨어러블 SW 플랫폼]
- 디바이스 사업자별 독자적 플랫폼 운용으로 인한 호환성 부재
- 통신, 방송, 의료 등 기존 기술 영역에 대한 법·제도 혼재 및
SW 업체의 취약한 기술 경쟁력
[웨어러블 SW 플랫폼]
- 도전적 기술을 시도할 수 있도록 산업 분야별 법제도 개선
-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지능형 HW 및 SW 기술 적극 추진
[웨어러블 SW 플랫폼]
- 국내 시장 확대를 위한 정부 주도형 웨어러블, IoT 적용 공공
서비스 발굴 및 실용화
- 서비스/디자인 중심의 새로운
생산·판매·유통 구조 개발
[기타 요소기술]
- 국내 센서 산업의 수입 의존도 심화, 중소기업 중심의 산업 영세구조로 인해 스마트 지능형 센서 R&D 기반 취약
[기타 요소기술]
- 개방형 R&D 사업 추진으로 사용자 중심의 UI/UX, 인터랙션 산업의 활성화 및 인력 양성
[기타 요소기술]
- 중소기업 중심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기반한 신제품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 확대
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발전방안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는 창의적인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들과 신기술을 활용함에 따라 새롭게 발전할 수 있는 분야로,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등장에 따른 기술변화가 심한 초기 단계이므로, 새로운 단말과 차세대 ICT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에 기반한 신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기술 종속성이 심한 분야에 대해서는, 플랫폼 및 기술 중립적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 전략을 추진함과 동시에 우리나라가 강점을 지닌 스마트 디바이스 제조 경쟁력과 얼리 어댑터 서비스 경쟁력을 활용하여, 향후 미래시장 수요와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미래 웨어러블 디바이스 응용 및 관련 서비스 개발, 그리고 핵심기술 표준화를 선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의 선도를 위해서는, 기존 하드웨어 중심의 소품종 다량 생산판매 구조에서 적시에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 중심의 다품종 소량생산 판매 구조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생태계를 구성하는 부품 소재, 기기, 통신사업, 서비스 사업자, 유통까지의 단계별로 협업이 가능한 전략의 제시가 필요하다. 또한, 제한된 국내 시장보다는 글로벌 지향 스타트업 및 강소기업을 육성하여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확보와 성장 동력을 확보하도록 정부의 정책 유도와 전주기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구글, 애플 등 스마트폰 시대의 글로벌 선도기업들이 가장 적극적으로 시장 개척에 앞서가고 있어 정부 주도의 산·학·연 협력기반 미래 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핵심 IPR 개발로 기술우위 확보 및 이에 기반한 다각적인 사업화가 요구된다.
셋째, 단기적으로는 스마트폰과 연계한 제품과 서비스로 관련 산업의 안정적인 시장 확대를 도모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미래형 즉, 의류형, 피부부착형, 삽입형 등의 디바이스 및 SW 분야에 R&D 투자를 집중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인지과학, 인간공학, 기계학습, 빅데이터 등 다양한 기술의 융합을 통한 지능정보 및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의 신기술 및 신산업 창출을 모색하고, 개방형 R&D 사업 추진으로 산업 활성화 및 인력양성이 요구된다. 중소·중견기업 및 청년 창업자 중심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기반한 신제품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기반기술 확보와 제품 기획부터 사업화까지의 전주기적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장선호, 2017).
참고자료
김대건, 웨어러블 디바이스 동향과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제25권, 2013.
김석기, 2015년 IT산업 7대 메가트렌드 제4장 웨어러블 다바이스, 한국정보산업연합회, 2015.
손현정 외, 대학생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68호, 2014.
심수민,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백서, 디지에코, 2014.
양진숙김주연, 뉴미디어 시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례분석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이수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패션 상품 특성을 고려한 경험디자인 요소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5.
이종근정재훈, 웨어러블의 미래, 패션에서 길 찾아야, LG Business Insight, 2013.
장선호, 2017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발전 전망 및 시사점,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7.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ICT 기술수준조사 보고서, 웨어러블디바이스, 2017.
한국콘텐츠진흥원, 휴먼-디바이스 인터액션 기술,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한동원 외, 웨어러블 컴퓨팅을 위한 서비스 인프라 구조, 대한인간공학회지, 24권 1호, 2005.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8.06.03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60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