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치료이론]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모델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모델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모델 해결중심가족치료모델 이야기치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치료이론]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모델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모델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모델 해결중심가족치료모델 이야기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족치료 모델

I. Bowen 가족치료모델
1. 이론적 특성
2. 주요개념
1) 자아분화
2) 삼가관계
3) 핵가족정서과정
4) 가족의 투사과정
5) 다세대 전수과정
6) 형제 순위
7) 정서적 단절
8) 사회의 정서적 과정
3. 치료목표

II. Minuchin 구조주의 가족치료 모델
1. 이론적 특성
2. 주요 개념
1) 가족구조
2) 하위체계
3) 경계선
3. 치료목표

III. Satir 경험적 가족 성장모델
1. 이론적 특성
2. 주요 개념
1)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
2) 인간 내면의 빙산
3. 치료목표

IV. 해결중심 가족치료 모델
1. 이론적 특성
2. 주요개념
1) 치료자-내담자 관계유형
2) 해결을 위한 질문기법
3. 치료목표

V. 이야기치료
1. 이론적 특성
2. 주요개념
1) 은유
2) 외재화
3. 치료목표

* 참고문헌

본문내용

몇 점이나 될까요? '만약 3점에서 4점이 되게 하려면 당신은 무엇을 해야 할까요? 등이다. (5) 대처질문(coping question)은 내담자가 어려운 상황에서 견디고 살아남기 위해 노력한 능력이 있을 지각하게 하고 이러한 능력을 활용하여 스스로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할 힘과 용기를 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참으로 힘드셨을 텐데, 어떻게 지금까지 지탱 할 수 있었습니까? 어떤 방법이 도움이 되었습니까? 등이다.
(3) 치료목표
치료의 목표는 내담자들이 뭔가 다른 것을 하거나 생각하도록 도움으로써 내담자가 제시한 불평을 해결하고 내담자의 삶을 보다 만족스럽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내담자의 언어를 문제 중심 대화에서 해결중심 대화로 바꾸어주며, 치료 목표도 예를 들어 미혼인 남자가 여자에게 데이트 신청하기와 같이 내담자가 성취 가능한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도록 돕는 것 그 자체가 하나의 주요한 개입이다. 또한 미래에 대해서 그리고 달라지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생각하게 하는 과정이 해결중심 치료사들의 주요 임무이다.
전체적인 치료목표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문제가 아무리 심각해도 항상 같은 수준으로 심각한 것은 아니며 분명히 연젠가는 덜 심각했던 순간이 있다. 그러므로 치료사는 인내심을 가지고 '문제가 일어나지 않았던 상황'을 폭넓게 탐색해야 한다. 둘째, 좀 더 효과적이었던 방법을 발견하면 그 방법을 더욱 많이 사용하도록 한다. 가족에게 예외상황이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역량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면 그 능력을 더욱 많이 사용하도록 격려한다. 이렇게 성공의 경험이 실패와 좌절의 경험을 대치하게 함으로써 자기-강화를 하게 된다. 셋째, 만약 어떤 방법이 효과가 없으면 다시는 그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가족들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다른 대안이 없다고 생각하면서 자신들이 지금까지 해왔던 패턴을 반복한다. 그러므로 가족으로 하여금 대안적인 패턴을 발견하도록 도우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대안적인 패턴을 반복하면서 이전의 부정적인 패턴을 대치할 수 있도록 돕는다.
V. 이야기치료 (Narrative Therapy)
(1) 이론적 특성
이야기 치료에서 White가 사용한 구성주의자로서의 자기 개념은 사회적 구성주의자들이 말하는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현상으로서의 자기 시작' 으로부터 유래 된 것이다. 그래서 이야기는 삶을 조명하는 것이 아니라 삶을 구성한다고 보았다. 사람들은 그들이 얼마나 문제인가 혹은 누가 문제인가로 갈등을 겪지만, 사실 개인이나 가족이 문제가 아니라 그들의 삶을 구성하고 있는 문제가 문제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야기 치료는 (사회적으로 조성되거나 구성된) 자기에 대해 그리고 문제의 시작점(지배적 문화 담화)에 대해 전혀 새로운 은유를 제공한다. 이야기 치료의 전략은 고통으로서의 문제를 원인보다 그 효과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다시 고쳐 만드는 단계, 그 고통을 부분적으로 이겨냈던 예외적인 효과적인 사례를 찾는 단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원그룹을 확보하는 단계로 변화를 지지하고 긍정적인 발전을 강화하고 사회적으로 지지되는 행동을 수행하게 되는 단계 등 3가지 치료 전략을 가진다.
(2) 주요개념
이야기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은유와 외재화 기술이다.
1/ 은유
이야기 치료의 은유는 보는 것, 듣는 것, 느끼는 것이 미치는 영향을 재정의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동기의 두려움은 '괴물 길들이기', 유분증은 '살짝 쿵 몰래 오는 대변 때려주기', 부부갈등은 '악의 순환, 패서 덕의 순환으로 가기' 등과 같은 문학적인 은유를 사용해 가족 문제를 재정의 하며 이렇게 재정의 한 것에 근거해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지에 초점을 둔다. 은유를 사용하는 목적은 가족을 정형화하고 가족에게 꼬리표를 붙였던 사회체계로부터의 압박과 문제로부터의 압박으로부터 가족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2/ 외재화(externalization)
외재화는 기본적으로 '사람이 문제는 아니다'라는 신념에 근거한다. 처음부터 문제를 사람들과 분리 된 것으로 혹은 그들에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 '문제에 대해' 내담자들이 자신의 견해를 말하도록 하며 문제의 원인보다는 효과에 대해 질문한다. 또한 문제는 사람에게 소유된 것이 아니라 문제가 사람을 소유하고 압도한다는 것을 내담자가 알게 하며, 하나의 감정이나 신념 대신 상호작용 전체 패턴을 외재화 한다. 문제는 언제나 의인화하며, 예를 들어 섭식문제를 가진 여자에게는 '어떻게 식욕부진증이 그녀를 굶어죽게 하려 설득하는지' 물어보고, 공포증 어린이는 '얼마나 자주 공포가 원하는 바를 그 아이가 하도록 만들 수 있는지'를 묻는다.
(3) 치료목표
이야기치료사들은 문제의 해결사가 아니라 내담자와 함께 내담자가 자신이 속한 문화보다 더 큰 규모의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들에 대해 대안적인 새로운 이야기를 쓸 수 있도록 동반자 역할을 한다. White는 이야기 치료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첫째, 사람들이 자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사실' 을 다시 구성하도록 격려한다. 둘째, 사람들이 자신의 생활과 정체성에 대해서 갖고 있는 않고 빈약한 결론을 깨고 벗어나도록 지원한다. 셋째, 사람들이 자신의 생활과 정체성에 대해 두껍고 풍부하게 서술하는 대화를 하도록 지지한다. 넷째, 사람들을 풍부한 서술을 할 수 있는 생활 형태를 탐색하는 이야기에 끌어들인다. 여기에는 문제와 관련해서 설명하는 지식과 생활의 기술을 포함한다. 다섯째, 그들이 누구였는지 보다는 다른 사람이 되도록 선택권을 주는 것이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8.06.20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73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