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학세미나] 서구 시민계급의 성장과 교육의 관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사학세미나] 서구 시민계급의 성장과 교육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시민계급의 개념
Ⅱ. 베버의 계층(급) 개념
Ⅲ. 시민계급의 형성과 새로운 교육의 요구
Ⅳ. 시민교육의 확산
Ⅴ. 주요 국가의 시민계급의 성장
Ⅵ. 시대에 따른 시민개념의 변화
Ⅶ.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초하여 부르주아의 지배가 관철되는 공간, 즉 부르주아 사회라고 보았다. 시민사회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은 자율적 시민들의 자발적 결사체가 아니라 생산관계에서의 위치에 의해 수동적으로 그 소속이 결정되는 계급집단들뿐이다. 헤겔의 주장처럼 국가가 합리적이고 공정하게 시민사회의 갈등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마르크스는 국가는 부르주아에 의한 시민사회 지배를 반영하는 사적·계급적 도구라고 봄(비판사회학회, 2014: 446).
Ⅶ. 결론: 시민계급의 성장과 교육의 상보적 관계
베버의 계급(층) 개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후기 중세 봉건사회부터 근대 시민혁명 전까지의 시민계급의 형성과 교육의 문제를 시기별 혹은 국가별로 살피면서 시민계급의 성장과 교육의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시민의 개념이 시대에 따라 변하고 있음을 정리하면서 시민계급의 성격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대 상황에 맞게 재정립되고 있음도 확인했다. ‘성장’의 개념에는 이미 ‘변화’의 개념이 내포되어 있으며, 시민계급이 성장하는데 있어서 주요한 역할을 한 요인에 ‘교육’이 위치하고 있었다.
중세 봉건사회의 주군과 봉신 간에는 쌍무적 계약을 기반으로 한 주종관계와 영주와 농노 간에는 장원제를 중심한 경제적 지배·예속관계를 기반으로 운영되었다. 십자군원정 등의 영향으로 이슬람과의 사회·문화적인 교류는 상공업을 발달시켰다. 이에 따라 새롭게 성장한 상공업 계층이 중세 도시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는데 이 계층이 시민계급의 초기 구성원들이었다. 마르크스가 의미한 부르주와 계급은 아닐지라도 이들은 부르주와의 어원적 의미인 경제력을 바탕으로 도시 안에 거주한 중간계급 혹은 시민계급이라고 볼 수 있다.
초기 시민계급은 자신들이 가진 경제적 부의 증대와 승계를 위해 기존의 종교 교육과는 차별된 언어와 산술 중심의 도시학교의 설립과 교육의 필요성을 요구했고, 자치 시는 이들의 필요와 지원, 그리고 상공업 발달에 필요한 인력 양성을 위한 시민학교를 설립·운영하였다. 또한 시민계급은 길드 조직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적 기술과 상공업, 법률, 의료 등과 관련된 도제식 교육을 정착시켰다. 중세에 발생한 대학 역시 넓은 의미에서 길드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12~13세기에 오늘날의 대학과 같이 정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학위를 수여하는 교수와 학생 공동체는 도제식 길드 교육과 유사했기 때문이다. 교수와 학생의 공동체 조합(universitas)이 결성되었고 현재의 대학을 의미하는 유니버서티(university)는 교수와 학생의 거대한 조합을 칭하는 명칭이었다.
시민계급의 교육적 요구의 충족, 시대 변화에 따른 교육의 확대 및 교육내용의 다양화는 시민계급의 기술적이고 지적인 측면을 더 한층 확대시켰으며, 이는 경제적인 풍요를 지속시키는데 기여를 했다. 중세 말의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그리고 절대군주 체제에서 계몽사상과 실학사상의 영향을 받은 시민계급은 새로운 교육을 통해 사회의 중간계층으로 성장했으며, 이렇게 성장한 시민계급은 다시 교육을 받는데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또한 교육을 통해 새로운 직업적 영역을 가진 중간계층이 배출되기도 했다. 그러므로 서구 시민계급의 성장과 교육은 상보적 관계를 가지면서 나선형으로 발전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공제욱·박형준·백욱인·서관모·이진경(1989). 사회계급론. 서울: 한길사.
김승현·윤홍근·정이환(1999). 현대의 사회과학. 서울: 박영사.
김준호(2003). 경제사. 서울: 나남출판사.
남영우(2011). 도시의 역사. 서울: 푸른길.
노명식 외(1995). 시민계급과 시민사회: 비교사적 접근. 서울: 한울.
비판사회학회(2014).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2판). 서울: 한울.
성기산(1999). 서양교육사연구. 서울: 문음사.
앤서니 기든스·필립 서튼(2013). 현대사회학(개정 7판). 김미숙 외 역(2014). 서울: 을유문화사.
우메네 사토루(1967). 세계교육사. 김정환·심성보 역(1994). 서울: 풀빛.
윌리암 보이드(1964). 서양교육사(개정·증보). 이홍우·박재문·류한구 공역(2008). 서울: 교육과학사.
임석진 외 편(2009). 철학사전. 서울: 중원문화.
장원동(2008). 교육사 및 교육철학의 이해. 서울: 태영출판사.
정칠화(1985). 시민계급의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영국의 제1차 선거법 개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경원 외(2008). 서양교육의 이해: 역사와 사상(개정판). 서울: 교육과학사.
조광익(2012). 여가 소비와 정체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 고찰. 관광연구논총, 24(4), 3-24.
차석기(1988). 교육사 교육철학. 서울: 교육출판사.
차하순(1988). 르네상스의 사회와 사상. 서울: 탐구당.
하우저, A.(1953).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2: 르네상스·매너리즘·바로크. 백낙청·반성완 역(1999). 서울: 창작과 비평.
한규원·이항재(2001). 서양교육사. 서울: 교육과학사.
홍두승(2010). 높은 사람 낮은 사람. 서울: 동아시아.
홍두승·구해근(2001). 사회계층·계급론(2판). 서울: 다산출판사.
황인술(2010). ‘참공약의 선택’ 매니페스토 운동. 독서신문. Retrieved from http://www.reader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970
The Columbia Encyclopedia. Bourgeoisie: Origins and rise. Retrieved Nov. 27, 2015 from http://www.infoplease.com/encyclopedia/society/bourgeoisie-origins-rise.html
Thrupp, S. L. (1962). The merchant class of Medieval London: 1300~1500. Ann Arbor: U of Michigan.
Tocqueville, Alexis de. (1955). Trans. by Stuart Gilbert. The old regime and the French Revolution. NY: Anchor Books.
  • 가격2,2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8.08.10
  • 저작시기201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03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