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사랑 사회 E형) 한국사회에서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과정에서 자신감 있게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기 어렵게 만드는 몸과 마음의 이유는 무엇이 있으며 여기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 사랑 사회 E형) 한국사회에서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과정에서 자신감 있게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기 어렵게 만드는 몸과 마음의 이유는 무엇이 있으며 여기서 벗어나기 위해서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불평등이란
1) 기능론적 관점
2) 갈등론적 관점
3)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

2. 한국사회에서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과정에서 자신감 있게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기 어렵게 만드는 몸과 마음의 이유는 무엇
1) 계층의식
2) 계급사회
3) 교육불평등
4) 차별
(1) 성차별
(2) 장애차별
5) 고정관념과 편견
6) 외모지상주의

3. 여기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지
1) 계층의식에 따른 노력
2) 계급사회에 따른 노력
(1) 상대빈곤선으로 전환
(2) 노동시장구조의 유연화 정책 실시
(3) 사회안전망
3) 교육불평등에 따른 노력
(1) 학교간 격차의 제거
(2) 학교의 소규모화
(3) 최소수혜자를 배려하는 교육과정
4) 성차별
5) 장애차별
6) 고정관념과 편견
(1) 개인자부심
(2) 정의로운 사회
(3) 개인적 성취
7) 외모지상주의

4. 여기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 지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
1) 계층의식 - 양극화 문제의 해결
2) 사회계급 – 사회 안전망
3) 교육불평등 - 교육불평등 해소 위한 교육 정책 강화
4) 성차별 - ‘도련님, 처남’ 등 성차별적 가족 호칭 개선
5) 장애차별 - 장애·비장애 차별없는 '열린 놀이공간’
6) 고정관념과 편견 - 장애인과 비장애인, 편견 없는 세상
7) 외모지상주의 - 편견에 가린 아름다움의 진실

5.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받는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절도 우려와 통로의 위험한 물건과 관련된 신고를 하며, 청각장애인은 곤란한 상황 속에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느껴 부득이 지구대로 방문했던 경우가 더러 있다.
우리나라 장애인은 약 251만 명(국가통계포털 2016년 기준)으로 전체 인구의 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듯 이미 우리 사회의 하나의 구성원으로 자리 잡은 장애인을 가장 힘들게 하는 것은 바로 ‘편견’으로 대하는 우리의 태도다. ‘다름’을 ‘차별’로 느끼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와 관심이 필요한 시점에서 장애인을 대하는 올바른 에티켓으로 어떤 것들이 있을까?
시각장애인은 목소리로 사람을 구분하기 때문에 먼저 인사를 건네고 자신이 누구인지 밝혀야 한다. 함께 걸을 때는 반보 앞에 서서 팔꿈치 위를 잡아줘야 하며, 안내견을 쓰다듬거나 먹이를 주면 집중력이 떨어지므로 삼가야 한다.
청각장애인이라고 수화로만 대화하는 것은 아니다. 구화, 필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정면에서 입모양이 보일 수 있도록 차근차근 말해야 하며, 중요한 정보는 글로 전달하는 것이 좋다.
지체장애인은 목발, 휠체어 등 신체의 일부나 다름없는 물건들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간혹 지체장애인을 마주칠 때 도움을 주기 위해 휠체어를 밀곤 하는데 허락 없이 만지거나 옮기면 안 된다. 또한 물건을 전달할 때 무릎 위에 올려놓는 행동도 유의해야 한다.
<경기신문, 장애인과 비장애인, 편견 없는 세상, 2018.09.03>
7) 외모지상주의 - 편견에 가린 아름다움의 진실
편견에 가린 아름다움의 진실
정의란 무엇인가’를 쓴 미국의 정치철학자 마이클 샌델은 “현대인이 외모에 집착하기 때문에 생긴 한 가지 부작용이 바로 경제적 불평등의 악화다.”라고 말했다. 현대 사회의 외모지상주의는 경제적 관점에서도 심각한 문제다. 아름다움을 둘러싼 편견은 단순히 심미적인 이슈에만 머물지 않는다. 법적·정치적 이슈로 다뤄야 외모로 인한 편견과 차별을 없애고 진정한 사회적 정의와 평등을 이룩할 수 있다. 외모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지 않고 사회 정의와 도덕을 말하는 것은 공허하다. 외식(外飾)없는 내면의 아름다움이 정당한 대접을 받는 사회가 정의사회다.
많은 이들이 영국의 무명가수 수전 보일에 열광했다. ‘볼품없는’ 외모지만 천상의 목소리를 선보인 그의 동영상은 인터넷 조회수 1억을 넘겼다. 사운드 오브 뮤직’의 줄리 앤드루스 같은 목소리를 타고나도 ‘외모’가 달리면 좌절을 맛볼 수밖에 없는 사회라면 얼마나 잔인한가. ‘편견의 제국’은 힘이 세다. 우리는 너나없이 ‘아름다움 중독자(beauty junkies)’다. 이제 아름다움이란 이름의 편견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우리 스스로 변해야 한다. 지금 여기서 인간의 절대적 욕망인 ‘아름다움’에 대해 얘기하는 이유도 바로 거기에 있다.
<오가닉라이프신문, 편견에 가린 아름다움의 진실, 김종면 논설주간, 2018.08.30>
5. 나의 의견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병폐 중의 하나로 인식되어 온 것은 출신지역에 따른 편견, 차별 및 갈등이다. 이를 해소하려는 노력은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지속되어 오고 있으며, 사회심리학계에서도 끊임없는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전국민이 지역 감정을 철폐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출신지에 의한 차별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함에도 불구하고, 지역감정은 여전히 존재할 뿐더러 출신지역에 따른 차별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더욱이 이 시대의 대학생들은 지역 감정에 대해서 단순히 언급하는 것조차도 오히려 지역감정을 조장하는 것이라고 하거나 젊은 세대에는 지역감정이 없다고 항변함에도 불구하고, 지성임을 자부하는 대학생들을 비롯한 20- 30대의 젊은이들조차도 여전히 타지역민에 대한 편견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 대통령이나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즉 타지역민에 대한 편견이나 적대감은 투표행동에서 적나라하게 나타나, 후보자의 개인적 능력이나 자질보다는 단지 출신지역만을 고려하여 투표하는 양태가 젊은 층에서도 그대로 나타나는 것이다. 더욱이, 타지역 출신자에 대한 편견은 타지역 출신자와의 직접적인 접촉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들에게서조차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한국사회에서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과정에서 자신감 있게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기 어렵게 만드는 몸과 마음의 이유는 무엇이 있으며, 여기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 지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면서 서술해 보았다. 사회 불평등의 현상은 인간 역사에서 초점의 대상이 되어왔을 뿐만아니라 또한 많은 사람들에 의해 논의되어온 문제이다. 이처럼 사회 불평등의 현상은 특히 그 배분의 문제와 관련되어 심지어 오늘날까지도 사회구조의 매우 중요하면서도 근본적인 쟁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어느 사회든 불평등 문제가 논의되지 않는 경우는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평등을 부르짓는다는 것 자체가 불평등하다는 사실이 존재하고 또 이를 인정한다는 것일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해서 설명하고 또 때로는 불평등을 정당화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김원영(2018).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사계절.
장혜영(2018). 어른이 되면 - 발달장애인 동생과 함께 보낸 시설 밖 400일의 일상. 우드스톡.
록산 게이(2018). 헝거 : 몸과 허기에 관한 고백. 사이행성.
수전 웬델(2013). 거부당한 몸 - 장애와 질병에 대한 여성주의 철학 l 그린비 장애학 컬렉션 2. 그린비.
돈 쿨릭 외(2011). Fat 팻, 비만과 집착의 문화인류학. 소동.
신광영(2016). 한국의 불평등과 기회 불평등. 한국사회학회.
남찬섭(2006). 사회양극화와 사회복지의 과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유경준(2012). 소득 양극화 해소를 위하여. KDI Foxus.
장상수(2015). 한국의 교육과 사회이동 : 여성과 남성의 차이. 여성연구.
김영화 외(2013). 현장에서 본 사회문제. 양서원.
신광영(2013). 한국 사회 불평등 연구. 후마니타스.
신정완(2014). 복지국가의 철학. 인간과 복지.
이정우 외(2015). 불평등 한국, 복지국가를 꿈꾸다. 후마니타스.

키워드

한국사회,   불평등,   계층,   계급,   차별,   성차별,   여성,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8.09.04
  • 저작시기201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20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