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사] 부흥운동과 한국교회 - 평양부흥운동의 의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교회사] 부흥운동과 한국교회 - 평양부흥운동의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불과하다. 그 모자이크가 얼마나 실물에 가까운지는 누구도 확신할 수 없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재료는 절대적으로 제한되어 있지만, 그 재료들을 다시 관찰하고, 재해석하고, 새롭게 이어붙이는 시도를 함으로써 모자이크의 완성도를 조금 높일 수는 있을 것이다. 류대영, 『한국근현대사와 기독교』(푸른역사, 2009), 144.
우리는 이번 발제를 통해 1907평양 대부흥 운동을 바라보았을 때, 교단이나 교회의 입장에서 벗어나 사회적으로 더 범위를 넓혀, 역사적으로 내용을 의도한 바는 없는지, 한쪽으로 치우쳐 과장되거나 왜곡된 부분은 없는지 재해석해서 해보고자 했다. 발제를 준비하면서 우리도 많은 학자들의 긍정과 부정의 입장들을 보고, 우리 내면에 있는 생각이 어느 한쪽으로만 극단적으로 치우쳐서 바라보지 않으려고 많은 노력을 했다. 우리는 1907년 평양 부흥운동 자체를 비판하거나 길선주에 대해 비난하는 것이 아니다. 초기부흥운동이 한국에 잠잠해져있던 많은 기독교인들과 교회를 다시금 일깨워줄 수 있었고, 어지럽던 시국 상황 속에서도 민족들로 하여금 작은 희망을 발견할 수 있게 해줬다는 점과 우리 한국교회사 속에서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평양대부흥운동이 가지고 있는 의의와 영성운동에 대해서 인정한다. 그러나 오랜 기간을 거쳐 그러한 역사적 사건들이 주류층, 집권층의 이익에 맞춰 과장되거나 역사적으로 왜곡되어 지금에 까지 이어져 인식의 한계에 갇혀있지는 않았는지 깊이 있게 생각해 보게 되었다. 그러한 면에서 우리는 그 당시 우리나라 상황으로 보았을 때, 평양 대부흥운동을 이용해 개인적인 회개와 용서만을 주입시켜 사회적인 현실에 등한시하게 만드는 그런 의도된 바를 정확하게 재 짚어 1907 평양 대부흥 운동에 역사적인 사건을 올바른 시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하나의 역사적 사건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역사 전체가 바뀌게 된다. 그러므로 어떠한 하나의 사건을 똑바로 바라보고 평가해야 하는 것은 중요하다.
참고문헌
류대영, 『한국근현대사와 기독교』, 푸른 역사, 2009.
민경배, 『한국기독교사』, 연세대학교출판부, 2006.
김흥수, 『한국기독교사 탐구』, 대한기독교서회, 2011.
류장현, 『한국의 성령운동과 영성』, 2004.
서정민, <한국교회 초기 대부흥운동에 대한 사회적 반응>,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기독교와 역사, 제26호 2007.3, 81-113.
  • 가격1,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1.19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01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