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작품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작품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는 것은 고려가요가 가지는 민요적 특성 때문이 아닌가 싶다. 몇안되는 작품 중에서 <만전춘별사>를 택한 것도 다른 작품에 비해 그 친숙함이 더 컸기 때문이다.
민요는 민중의 노래이며, 그렇기 때문에 자신들의 애환과 일상 등을 적나라하게 드러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민중의 노래인 민요에는 수용 못할 내용이 없고, 그것의 제재 또한 무제한적이다. <만전춘별사>와 같은 작품에서 남녀간의 애정문제를 직접적 노골적으로 다룰 수 있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 아닐까 싶다. 그 시대 사람들의 솔직한, 있는 그대로의 삶을 진실하게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김우창씨는 문학은 사람의 이야기이며 진정한, 진실한 사람의 이야기라고 말한다. 이런 맥락에서 고려가요, <만전춘별사>는 진솔한 문학이며 그렇기 때문에 긴 생명력을 가질 수 있었을 것이다. <만전춘별사>라는 작품을 통해서 고려시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2007년의 나와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이 그 증거일 것이다.
* 참고문헌
윤성현, 「<만전춘별사>를 다시 생각함 - 서정적 자아를 주로 하여」,『연세어문학』제24집(연세대 국어국문학과, 1992)
려증동, 「<만전춘별사> 가극론 시고」,『논문집』제1집(진주교육대학, 1967)
곽동훈, 「만전춘별사의 구조연구」『배달말』제7집(배달말학회, 1982.12)
『고전의 바다』(현암사, 1977)
현혜경, 「만전춘별사에 나타난 화합과 단절」,『고려시가의 정서』(개문사, 1985)
박노준, 「<만전춘별사>의 제명과 작품의 구조적 이해」,『고려가요의 연구』(새문사, 1998)
정민, 「한시와 고려가요 4제」, 박노준 편『고전시가 엮어읽기 上』(태학사, 2003)
황병익, 「<만전춘별사> 5연의 어휘 재고」,『한국시가연구』(한국시가학회, 2004)
조연숙, 「<만전춘별사>에 나타난 시공의식」,『어문논집』제5집(숙명여자대학 한국어문학연구소, 1995)
임주탁, 「고려시대 국어시가의 창작 및 전승 기반 연구」(서울대 대학원 박사논문, 1999)
──, 「역사적 생성문맥을 고려한 <만전춘별사>의 독법과 해석」,『한국시가연구』제11집(한국시가학회, 2002)
최동원, 「고려속요의 향유계층과 그 성격」,『고려시대의 가요문학』(새문사, 198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지식산업사, 2005)
김쾌덕, 「<만전춘별사>의 민요적 성격과 시적 화자」,『고려노래 속가의 사회배경적 연구』(국학자료원, 2001)
김상억, 「고려시가연구」3,『청주대논문집』7,(청주대, 1963)
성현경, 「만전춘별사의 구조」,『고려시대의 언어와 문학』(형설출판사, 1982)
김학성, 『국문학의 탐구』(성균관대 출판부, 1987)
장영우, 「만전춘별사의 일탈과 허위의식」, 임기중 편『문학과 사회학』(경운출판사, 1988)
허남춘, 「고려속요의 민속」ㅡ처용가 만전춘별사를 중심으로, 『성대문학』25, 1987
오정란, 「만전춘해석의 재고」,『고대어문논집』26호, 1986
강명혜, 「얼음과 녹음을 통한 소망의 미학」, 이정 정연찬선생회갑기념 국어국문학논총2, 『문학과 언어학』(탑출판사, 1999)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11.20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06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