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 독후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 독후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도 신분 때문에 현장학습이나 수학여행을 가지 못하는 것, 통장이 없어 교육비를 현금으로 내서 이중으로 내는 경우 등 제약을 받는다.
학교는 평등한 기회와 접근권을 보장하지만 동시에 차별과 배제를 만들어내는 장소이다.
한국에 온 지 10년이 넘은 버마 소수민족 출신 니사는 합법적인 체류 자격을 얻은 난민으로 대학에 진학해서 한국인으로서 간호사라는 꿈을 꾸며 일을 하고 있다. 그러나 미등록 상태의 청소년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 대학에 진학할 수도, 직장에 취업할 수도 없는 사회적 진공 상태에 놓이게 된다. 보호 연령을 넘긴 스무 살의 방글라데시 여성 자넷은 미등록 이주자라는 이유로 학교를 졸업해도 고등학교 졸업 자격을 인정받지 못하고, 수능을 볼 자격이 없기에 대학에 진학할 길조차도 없었다. 이들은 희망을 조정하며 부모가 다니는 공장이나 가게에서 일을 한다. 이는 미등록 이주자들이 가장 열악한 3D업종에서 일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미등록 이주 아동은 기회 구조의 하위체제로 종종 편입된다. 결국 한국에서 태어났다고 하더라도 이주 아동들은 부모와 똑같은 힘든 일을 하게 된다. 한국인의 기준은 뭘까? 이들이 말하는 한국인의 기준은 한국어, 한국음식, 한국 학교, 한국 친구 등 이런 것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한국인은 혈연에 초점을 맞춘다. 한국인의 피가 섞이고 한국어를 못하고 한국 문화를 아무거도 모르는 사람과 한국인의 피가 섞이지 않았다고 해도 한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고 누구보다 한국문화를 잘 알고 적응하는 외국인 중 과연 전자를 한국 사람이라 할 수 있을까. 한국인의 기준에 대해 다시 생각 해 볼 필요가 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11.23
  • 저작시기201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08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