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주민연구] 직장에서 북한이탈주민과 함께 일하는 동료(남한주민)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이탈주민연구] 직장에서 북한이탈주민과 함께 일하는 동료(남한주민)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문제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인식

제2절 선행연구 검토




제3장 연구방법


제1절 반구조화된 면접


제2절 연구대상


제3절 연구절차



제4장 연구결과 및 해석


제1절 함께 일하고 있는 동료 남한주민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


제2절 동료 남한주민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변화


제3절 북한이탈주민의 인식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5장 결 론


제1절 연구결과 요약


제2절 연구의 시사점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울시 내 북한이탈주민을 고용한 종합사회복지관 두 곳에서 근무하는 3명의 남한주민과 제조업체 한 곳의 남한주민 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녹음된 면접 내용을 전사한 후 연구문제로 설정한 3가지에 따른 주요 질문에 대한 응답 내용을 1차 분류하고, 각 질문에 대한 하위범주에 해당되는 내용을 정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함께 일하고 있는 동료 남한주민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에 대해 3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북한이탈주민과 동료로 근무하기 전 단계와 함께 근무하기 시작한 초기 단계에서는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걱정, 염려, 갈등, 어려움)이 있었으며, 현재 같이 근무하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는 4명 모두 긍정적으로 이야기를 하였다.
둘째, 3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본 동료 남한주민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결과는 2가지로 볼 수 있었다. 2개 기관 2명의 응답자는 처음에는 부정적 인식이 컸다가 현재는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고 하였으며, 1개 기관의 2명의 응답자는 처음에도 긍정적이었지만 현재는 더욱 긍정적으로 발전했다고 이야기하였다.
셋째, 면접 대상자의 내용을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의 인식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 각 개인의 성격, 의지, 가치관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조직구성원, 동료애, 조직문화 등과 같은 직장 환경적 요인이 있다.
결론적으로 3개 기관(직장)의 4명의 남한주민을 대상으로 면접을 진행한 결과 동료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에는 변화가 있었으며, 그 변화는 긍정적인 것으로 각 개인의 노력과 조직(직장)의 영향으로 빚어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은 면접 대상자가 근무하고 있는 직장에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은 모두 3년 이상 근무를 하고 있는 것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면접 대상 선정 시 직종에 따라 다를 것으로 가정하고 3명과 달리 제조업체에서 근무하는 1명의 면접을 진행하였는데, 이번 면접 대상자의 경우 직종에 따른 차이보다는 위에서 언급한 개인적 요인의 차이로 인한 인식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제2절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이 상호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기존연구들과는 달리 구체적이고 특정한 집단, 곧 북한이탈주민이 취업한 직장 내에서의, 북한이탈주민과 직접 관련이 있는 남한주민의 인식과 관련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또한 동료 남한주민의 인식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이 취업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볼 수 있게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본 연구는 특정 기관의 4명의 면접 대상자의 경험에 따른 개인적 의견이므로 참고는 할 수 있지만 일반화할 수는 없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후속 연구가 진행될 시에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해 알아보는 선행 연구로서의 의미는 있다.
후속연구를 위해서는 고려해야 하는 점들이 많다.
연구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좁혀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가령, 특정 직종의 직장으로 한정을 해보는 것, 직장 내 북한이탈주민 직원의 개인적 변인들만 살펴보는 것, 직장의 환경적인 부분만을 조사해보는 것, 북한이탈주민 직원의 개인적 변인 중 정착기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보는 것, 또는 이 중 몇 개를 같이 해보는 것 등과 같이 좀 더 세분화하여 연구를 진행해보는 것이 연구자가 본 연구를 통해 하고자 했던 북한이탈주민의 최적의 직장 적응에 대한 직장 및 동료의 역할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고용주 및 직장내 남한 주민 대상으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제안을 하는 데 적절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북한연구방법론』, 한울, 2004.
김혜경, “북한이탈주민 직장 적응 인식에 대한 Q 방법론 적용 연구 = (An)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to job adap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김화순, “남한기업의 탈북이주민 노동력 평가”, 『북한연구학회보』, 제15권 2호, 2011.
, “북한이주민의 노동시장 진입과 정착”,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인력개발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신미녀,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상호인식을 통해 본 통일준비”,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윤인진,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상호인식 : 정체성과 사회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0.
윤택림,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 방법론』, 도서출판 아르케, 2005.
이은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 차에 따른 남한주민의 사회적 지지 차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이종은, “북한이탈주민의 직장생활 유지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 - A Phenomenological Analysis Regarding Maintaining their Jobs in South Korea”,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이재민 황선영,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2008.
전우영 조은경, “북한에 대한 고정관념과 통일에 대한 기대감”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14(1), 2000.
조정아 정진경, “새터민의 취업과 직장생활 갈등에 관한 연구”, 통일정책연구 15권 2호, 2006.
주은주 오정수, “새터민에 대한 지역사회주민의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최순미, “통일 및 북한이주민에 대한 인식의 성별에 따른 차이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통일학협동과정, 2010.
한국여성개발원,『새터민의 문화갈등과 문화적 통합방안』, 보건복지부, 2006.
한평민,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신뢰감에 대한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
  • 가격2,2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8.11.20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0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