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배경론] 구운몽에 나타난 사상과 그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학배경론] 구운몽에 나타난 사상과 그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구운몽에 나타난 불교사상
1.1 소재의 측면의 불교사상
1.2. 주제형상 측면의 불교사상
2. 구운몽에 나타난 유교사상
2.1. 입신양명과 신하로서의 모습
2.2 효자로서의 모습과 남녀간의 도리
3. 구운몽에 나타난 도교사상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드러나 있다.
양소유의 부친인 양처사는 신선이 되어 떠나가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루는 처사가 부인에게 말하였다. 나는 세속 사람이 아니요, 봉래산 선관으로서 부인과
전생 연분이 있어 내려왔는데, 이제 아들을 낳았으니 나는 봉래산으로 가거니와 부인은
말년에 영화를 보시고 부귀를 누리시오. 하고, 학을 타고 공중으로 올라갔다.
이 부분을 통해 그 사실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뒤에 등장하는 남전산 도인을 통해 부친의 소식을 듣는 부분에서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사가 등장하는데 영웅소설처럼 주인공에게 무예적 공로의 출세를 위한 도구를 제공하는 도사가 아니다. 양소유가 난리를 피하여 산속으로 숨어들어 만나는 남전산 도인은 부친과도 교류하는 존재로서, 그 부친의 소식도 전하면서 주인공에게 음악을 가르쳐 준다. 이는 장래 만나게 될 배우자와의 인연을 풀어나가게 해주어 애정 실현의 도구로 제공된다. 도인은 거문고와 퉁소를 주면서 이후에 쓸 일이 있을 것이니 잃어버리지 말라고 당부한다. 이것은 정경패와의 인연에 큰 기여를 하게 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구운몽에 나타난 사상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구운몽에는 불교와 유교, 도교의 삼교에서 모두 소재와 주제를 취하였으며 그것이 작품속에 드러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교에서는 소제와 주제의 측면으로, 유교에서는 작품에 드러난 입신양명과 신하로서의 모습, 효자로서의 모습과 남녀간의 도리의 형상화의 측면으로 알아보았으며, 도교의 소재적 측면까지 알아보았다. 이처럼 구운몽은 삼교의 사상성을 심도있게 포섭하여 그 내적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구운몽이 고전소설 작품에서 주목을 받는 것은 이러한 사상성 만의 문제는 아니다. 그 독특한 서사구조의 짜임새있는 구조와 다양한 소재의 채용등 여러면이 존재할 것이다. 작품의 뿌리를 형성하고 있는 사상성은 작품을 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작품을 통해서 심오한 사상의 세계를 좀 더 이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작품에 나타난 사상의 측면을 이해하여 작품을 좀더 깊고 넓게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이 길러져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설성경, 구운몽연구, 국학자료원(1999)
설성경, 한국고전소설의 본질, 국학자료원(1991)
김광순, 한국고소설사, 국학자료원(2001)
김승찬외, 한국문학사상론, 세종출판사(1996)
http://www.classic.x-y.net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1.24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2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