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소장계』의 특징과 그 의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옥소장계』의 특징과 그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옥소장계』 편찬의 배경
3. 『옥소장계』의 구성 및 내용상의 특징
3.1. 구성상의 특징
3.2. 내용상의 특징
4. 『옥소장계』의 시가사적 의의
5. 결론

본문내용

曲의 승경 감상에 대한 자신의 정서를 표출하고 있다. 김문기, 앞의 논문.
장정수, 「<黃江九曲歌>의 창작 배경 및 구성 방식」, 『시조학논총』 21, 한국시조학회, 2004 참조.
권상하에 대한 존숭과 회고의 정을 표출하고 있는 것은 이 작품의 핵심적인 요소이며, 이이의 <고산구곡가>와 구별되는 특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작품의 제1수에서 볼 수 있듯이 石潭, 巴谷과 황강을 동등한 위치에 올려놓아 고산구곡, 화양구곡, 황강구곡을 동일한 선상에서 파악하고 있다. 즉, ‘주자-이이-송시열-권상하’로 이어지는 도통의식을 제1수에서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황강구곡가>는 이이의 <고산구곡가>를 하나의 전범으로 삼아 자신이 『옥소장계』를 편찬하며 생각한 도통의식을 드러내고, 백부 권상하가 경영한 황강구곡의 승경과 이에 대한 감흥을 표출하며, 권상하에 대한 회고의 정을 표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내용상 因物起興적 성격과 因物回憶적 성격을 동시에 가진 작품인 것이다.
4. 『옥소장계』의 문학사적 의의
본 장에서는 권섭의 『옥소장계』 편찬이 가지는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구곡시가는 주자의 <무이도가>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이후 20세기에 이르기까지 활발하게 창작되었던 문학양식 중 하나이다. 특히 당시 성리학자들에게 있어 구곡시가는 단순한 문학이 아니라 예술, 문화와 결합한 하나의 도학적인 이상향이었다. 따라서 구곡시가 역시 당시 성리학자들을 중심으로 한 유교문화 전반에 있어 중요한 위치에 있는 것임에 틀림없다. 이에 대해 좀 더 문학사에 초점을 맞추어 그 의의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옥소장계』가 여러 구곡에 대한 창작물을 집대성하여 엮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그 대상이 기호지방의 구곡문학에 한정되어 있으며 편집자인 옥소 권섭의 의식에 따라 선별적으로 수록된 것이지만, 구곡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주자의 <무이도가>에서부터 조선으로 이어지는 구곡문화와 관련된 문학의 전개를 담아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당시 구곡문화의 전개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가와 산문을 종합적으로 수합하여 엮고 있다는 점이다. 구곡문화는 九曲園林, 九曲詩歌, 九曲圖, 九曲批評 등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김문기·강정서, 『경북의 구곡문화』, 역락, 2008 총론 참조.
즉, 문학에 있어서도 詩歌, 散文을 가리지 않고 종합적으로 전개가 되었다. 『옥소장계』는 漢詩는 물론 국문시가, 記, 書, 圖說 등의 산문을 종합적으로 수합하여 엮어놓은 것이다. 이는 구곡문화 전반에 대한 권섭의 의식을 보여주는 것으로 당시 성리학자들이 폭넓게 구곡문화를 향유하였다는 점을 나타내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당대의 성리학 도통의 문제를 문화적 차원에서 문학과 결합하고 있다는 점이다. 성리학자들에게 있어 道統은 아주 중요한 문제 중에 하나이다. 특히 도통의식은 사상적, 정치적, 문화적 측면 등 모든 측면에서 성리학자들을 지배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옥소장계』는 도통의식과 관련된 권섭의 의식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권섭 개인의 의식 만을 표출하고 있다기 보다는 당시 기호사림이 가졌던 도통에 대한 의식과 이에 따른 문학의 창작, 향유의 일면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러한 측면에서 『옥소장계』는 성리학 道統의 문제가 문학적으로 어떻게 표출되는지를 보여주는 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옥소장계』는 당대 구곡문학의 총합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옥소장계』는 당시 성리학자들이 꿈꾸었던 이상적 세계에 대한 열망을 담고 있으면서도 현실에서의 의식을 다분히 반영하고 있는 저작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옥소장계』는 기호사림의 구곡문화 전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에 틀림없다.
5. 결론
이상을 통하여 『옥소장계』의 편찬배경과 구성, 내용상의 특징,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결국 『옥소장계』는 당시 성리학자들이 가졌던 구곡에 대한 의식을 충실히 반영하면서도 당시 사상적, 정치적 동향, 권섭의 의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옥소장계』는 구곡문화에 대한 접근과 연구에 있어 상당히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만큼 국문학사 상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 『옥소장계』는 옥소 권섭, 구곡문학에 대한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기 때문에 『옥소장계』는 아직까지 정확한 번역조차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권섭에 대한 연구가 어느 정도 축적되고 있는 만큼 『옥소장계』의 정확한 번역이 선행되는 것이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일 것이다. 권섭이 우리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인물이며 그의 문학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만큼 『옥소장계』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玉所藏』
권혁대, 「玉所 權燮의 漢詩 硏究」, 경북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김문기, 「玉所 權燮의 九曲歌系 詩歌 연구」, 『한국고전문학연구』, 역락, 2000.
김문기·강정서, 『경북의 구곡문화』, 역락, 2008.
박요순, 「玉所 權燮의 詩歌 硏究」, 동국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6.
장정수, 「<黃江九曲歌>의 창작 배경 및 구성 방식」, 『시조학논총』 21, 한국시조학회, 2004.
이권희, 「玉所 權燮의 文學觀 硏究」, 『어문연구』 66, 어문연구학회, 2010.
이상원, <道統歌>와 <黃江九曲歌> 창작의 정치적 배경, 한민족어문학 43, 한민족어문학회, 2003.
이상주, 「華陽九曲·仙遊九曲의 完成科程과 華陽九曲圖」, 『한문학보』 18, 우리한문학회, 2008.
조성산, 「玉所 權燮(1671~1759)의 學風과 現實觀」, 『동양학』 41,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007.
조지형, 「17~18世紀 九曲歌 系列 詩歌文學의 展開 樣相」, 고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최호석, 「옥소 문집의 서지적 고찰」, 『국제어문』 36, 국제어문학회, 2006.
_____, 「旅行의 즐거움 옥소 권섭의 산수 기행 -」, 『온지논총』 21, 온지학회, 2009.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8.11.24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2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