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사』 「악지」에 대하여 - 속악정재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려사』 「악지」의 구성
1.1. 『고려사』의 구성
1.2. 『고려사』 「악지」의 구성
2. 『고려사』 「악지」의 내용
2.1 아악과 당악의 기술구조와 내용
2.2 속악정재의 기술구조와 작품
Ⅲ 결론

본문내용

를 지어 이 노래를 풀이하였다.
★ 자하동(紫霞洞)
지은이 채홍철은 일찍이 자기 집 북쪽에 전단원을 지어 선승을 기거하게 하는 한편 많은 사람들에게 의약과 의술을 베풀었으며, 집 남쪽에는 중화당을 두어 국로(國老) 8인을 맞아 기영회라 칭하였는데, 그 모습을 노래하고 강호자연에서의 유유자적한 정취를 드러낸 작품이다.
★ 한송정(寒松亭)
<한송정>은 강릉대도호부 동쪽 15리에 있는 정자를 배경으로 지어진 작품이다. 세상에 전해지기는 이 노래는 슬(瑟) 밑바닥에 씌어져 강남(江南)에까지 흘러갔으나 강남 사람들은 그 가사의 뜻을 풀지 못했다. 광종조(光宗朝)에 국인(國人) 장진공(張晉公)이 사명을 받들고 강남에 갔는데 강남 사람들이 그에게 가사의 뜻을 물었다. 진공은 시를 지어 노래의 뜻을 풀이하였다.
달빛 밝은 한송(寒松)의 밤, 물결 가라앉은 경포(鏡浦)의 가을
슬프게 울며 왔다가는 또 가버리는, 소식 지닌 한 마리의 갈매기
★ 총석정(叢石亭)
총석정은 기철(奇轍)이 지은 것으로, 강원도 북동부에 있는 수십 개의 돌기둥과 정자를 배경으로 지어진 작품이다. 철은 원나라 순제(順帝) 중궁(中宮)의 동생이다. 평장(平章)벼슬을 하다가 사명(使命)을 받들고 동쪽 고려로 돌아왔는데 강릉에 이르러 이 정(亭)에 올라가 사선(四仙)의 유적을 구경하고 큰 바다를 가까이 내다보면서 이 노래를 지었다.
★정과정(鄭瓜亭)
정과정은 내시낭중(內侍郎中) 정서(鄭敍)가 지은 것이다. 서는 과정(瓜亭)이라 자호(子號)했고, 외척(外戚)과 혼인을 맺어 인종(仁宗)의 총애를 받았다. 의종(毅宗)이 즉위하자 그의 고향인 동래(東萊)로 돌려보내면서 이르기를, 오늘 가게 된 것은 조정(朝廷)의 의논에 몰려서이다. 머지않아 소환하게 될 것이다. 서는 동래에 오래 머물러 있었으나 소환명령이 오지 않았다. 그래서 거문고를 잡고 이 노래를 불렀는데, 가사가 극히 처비(悽悲)하다. 이제현이 시를 지어 이 노래의 뜻을 풀이하였다.
임금을 생각하여 어느날 치고 옷을 적시지 않은 적이 없으니, 봄철 산의 뻐꾹새와도 같다. 옳고 그른 것은 사람들이여 묻지 마라. 넘어가는 달과 새벽별만은 알고 있을 것이다.
★ 동백목(冬栢木)
충숙왕조(忠肅王朝)에 채홍철(蔡洪哲)이 죄로 먼 섬에 유배되어 갔는데, 덕릉(德陵)을 사모하여 이 노래를 지었다. 왕이 그 이야기를 듣고 그 날로 소환했다.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옛부터 이 노래가 있었는데, 홍철이 그 노래, 즉 가사를 고치어 자기의 뜻을 붙였다고도 한다.
★ 양주(楊州)
양주는 곧 고려의 한양부(漢陽府)로, 북으로는 화산에 기대어 있고, 남으로는 한강에 임해있으며, 토지가 평탄하고, 생산이 풍부하고, 시가(市街)가 번화한 것이 다른 고을에 댈 것이 아니다. 양주 고을의 남녀들이 봄을 만나, 놀기 좋은 시절을 즐기면서 불렀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화려한 유희요(遊戱謠)로 창작전승된 노래로 보인다.
★ 원흥(元興)
원흥진(元興鎭)은 동북 방면에 있는 화녕부(和寧府)의 속읍(屬邑)으로, 큰 바닷가에 자리잡고 있다. 읍인이 배로 장사하러 나갔다가 돌아오면 그 아내들은 기뻐서 이 노래를 불렀다.
★ 거사련(居士戀)
객지에 나간 사람의 아내가 이 노래를 지어 까치와 갈거미에 부쳐서 그가 돌아오기를 바란 것이다. 이제현(李齊賢)이 시를 지어 이 노래를 풀이하였다.
★ 서경(西京)
서경의 유래는 이러하다. 고조선(古朝鮮)은 즉 기자(箕子)를 봉했던 땅으로, 그곳의 백성들은 예양(禮讓)을 배워 임금을 존경하고 윗사람을 받드는 의리를 알아 이 노래를 지었다. 그 뜻은, 군장(君長)의 가득찬 인애(仁愛)와 은혜는 초목에까지 미치어 꺾인 버들까지도 살아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대동강(大同江)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이 은(殷)나라의 태사(太師)였던 기자(箕子)를 조선에 봉했는데 기자는 팔조(條)의 가르침을 베풀어 예의를 숭상하는 풍속을 일으키니 조야(朝野)에 일이 없었다. 백성들은 기뻐하여 대동강을 황하(黃河)에, 영명령(永明領)을 숭산(嵩山)에 각각 비유해서 그들의 임금을 송축했다. 이 노래는 고려로 들어온 이후에 지어진 것이다.
★ 장단(長湍)
태조는 민간의 풍속을 순찰하고 부족한 것을 보급하여 백성들과 즐거움을 같이 했다. 백성들은 그 덕을 사모하고 오래되어도 잊지 않았으니 후대(後代)의 왕이 장단에 갔을 때 악공이 태조의 덕을 노래하고 그 후대의 왕을 송축하며 또 그를 경계한 것이다.
★ 풍입송(風入松)
왕덕(王德)을 송축한 것으로, 한국 시가와는 거리가 먼 중국계에 속하는 악장이다. <야심사(夜深詞)>와 함께 궁정연회가 끝날 무렵 부른 노래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작품 외에도 <동동>, <무애>, <처용>, <송산>, <야심사>, <한림별곡>, <삼장>, <사룡> 등의 작품의 설명이 있다.
Ⅲ 결론
『고려사』 「악지」는 고려시대에 공연된 음악과 그 가사, 춤에 관한 기록이라는 점에서 소중한 가치를 지닌다. 아악과 당악에 관련된 부분은 고려시대의 음악과 제향연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남아 있는 기록이 자세하지 않은 당송 시대의 중국 음악과 송시대의 사문학을 연구하는 데에도 소중한 자료이다. 또한 속악에 관한 기록은 고려시대의 음악이나 무희에 관한 것과 삼국 및 고려시대의 가요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문헌적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 『고려사』 「악지」에 관한 부분에 대한 연구가 많은 것 같지는 않다. 『고려사』 「악지」에 실린 세부적인 작품 내용뿐만 아니라 책 자체가 지니는 사료적 가치도 중요하므로 그 부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선기(1998), 어문연구 제 30집, 「고려사 속악가사의 표기방식과 이어체 작품 24편에 대하여」
김선기(2000), 한국시가학회, <한국시가연구> 8권0호, 「『고려사』악지의 속악가사 (俗樂歌詞)에 관한 종합적 고찰」, pp.33-58
김창원(2011),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고전과 해석 [KCI 등재후보] 제10집, 「『高麗史』 樂志에 나타난 三國~高麗歌謠의 相」, pp.29-52
여운필(2009), 신라대학교 논문집 제 59집,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 대하여」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8.11.24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2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