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신생아와 적응
II. 신생아의 반사작용
가. 동공반사
나. 정향반사
다. 탐지반사
라. 빨기반사
바. 모로반사
사. 바빈스키반사
아. 괄약근 반사
III. 신생아의 두개골과 생리작용
* 참고문헌
II. 신생아의 반사작용
가. 동공반사
나. 정향반사
다. 탐지반사
라. 빨기반사
바. 모로반사
사. 바빈스키반사
아. 괄약근 반사
III. 신생아의 두개골과 생리작용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도인데 땀선의 발달이 미흡하여 체온조절이 잘 안 된다. 또 식생아는 혈압이 최고 70mmHg(성인은 연령 +90) 정도이며, 혈행의 속도는 약 12초이다. 피부는 출생 직후엔 검푸르게 보이는 수도 많은데 이유는 출생 시 혈행장해로 일어난 현상이며, 호흡이 정상화됨에 따라 차츰 정상의 피부색을 찾게 된다. 그러나 생후 4-5일경에 얼굴에 누런빛이 나타나 가슴과 손발에까지도 번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아기황달'이라 하며 7-10일경에는 사라진다. 아기황달의 원인은 분명치 않으나 대체로 간장의 기능이 불완전한 데서 온다고 알려졌다.
신생아는 피부가 태지로 싸여 있다. 즉 태내의 태지를 그대로 지닌 채 태어나는데, 이를 피지라고 한다. 주로 얼굴, 귀, 겨드랑이에 많이 덮여있으며 조산아일수록 더욱 많다. 신생아의 위는 출생 당시 이미 소화하기에 충분한 효소를 분비시킬 수 있도록 발달되어 있으나, 위의 모양이 수직형이어서 많이 먹으면 토한다. 그러므로 1회에 30~40cc 정도밖에는 수용할 수 없으므로 하루에 7-8회 수유를 하게 된다.
출생 후 1-2일간에는 약 80g의 태변(胎便)을 배출하는데, 그 빛이 검푸른색 또는 누른 갈색이다. 이것은 태중에서 손가락을 발거나 할 때 양수(羊水)를 삼킨 것이 직장에 고였다가 배출된 것이다. 산모의 초유(初乳)로서 태변의 배출이 촉진된다. 신생아는 출생 후 24시간 내에 약 30-40g의 소변을 배설하는데 수분이 적고 요산염이 많아, 기저귀가 황적색으로 물드는 수도 있다.
신생아의 뇌는 그 무게가 약 350~400g으로 그 속에 140억 개의 뇌세포가 있다고 한다. 자람에 따라 뇌의 무게는 증가하나, 세포수가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세포가 성숙하여 세포간에 신경섬유가 발달하는 것이며, 이것이 뇌의 기능을 좌우한다. 신생아의 수면시간은 하루에 17-20시간으로서 거의 잠자면서 자란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신생아는 피부가 태지로 싸여 있다. 즉 태내의 태지를 그대로 지닌 채 태어나는데, 이를 피지라고 한다. 주로 얼굴, 귀, 겨드랑이에 많이 덮여있으며 조산아일수록 더욱 많다. 신생아의 위는 출생 당시 이미 소화하기에 충분한 효소를 분비시킬 수 있도록 발달되어 있으나, 위의 모양이 수직형이어서 많이 먹으면 토한다. 그러므로 1회에 30~40cc 정도밖에는 수용할 수 없으므로 하루에 7-8회 수유를 하게 된다.
출생 후 1-2일간에는 약 80g의 태변(胎便)을 배출하는데, 그 빛이 검푸른색 또는 누른 갈색이다. 이것은 태중에서 손가락을 발거나 할 때 양수(羊水)를 삼킨 것이 직장에 고였다가 배출된 것이다. 산모의 초유(初乳)로서 태변의 배출이 촉진된다. 신생아는 출생 후 24시간 내에 약 30-40g의 소변을 배설하는데 수분이 적고 요산염이 많아, 기저귀가 황적색으로 물드는 수도 있다.
신생아의 뇌는 그 무게가 약 350~400g으로 그 속에 140억 개의 뇌세포가 있다고 한다. 자람에 따라 뇌의 무게는 증가하나, 세포수가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세포가 성숙하여 세포간에 신경섬유가 발달하는 것이며, 이것이 뇌의 기능을 좌우한다. 신생아의 수면시간은 하루에 17-20시간으로서 거의 잠자면서 자란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신생아기의 특징
출산에서 영아기까지 발달과업
신생아의 특징, 신생아의생리적 현상,신생아의 특징 ,신생아의생리적 현상,신생아기신체적특...
[신생아발달] 신생아기 발달 - 신생아기의 신체적 특징, 생리기능, 반사운동, 신생아의 지각...
[신생아기 발달특징] 신생아기의 신체적 특징, 신생아의 생리적 기능, 감각기능, 반사운동, ...
[신생아발달]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 생리적 기능, 신생아기 반사운동 및 감각기능
신생아기 발달(신생아의 신체적 특징 및 생리적 특성, 신생아기 반사운동), 신생아기 정신건강
[신생아기 신체발달] 신생아의 성장과 발달 - 신생아기 신체발달 운동발달 생리적 기능발달 ...
[신생아기 발달특성] 신생아기의 발달특징(신생아의 지각발달 반사운동 신생아기 발달과 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