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 박지원의 ‘허생전’에 대한 비평적 에세이 - 연암의 눈과 삶의 정신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암 박지원의 ‘허생전’에 대한 비평적 에세이 - 연암의 눈과 삶의 정신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논문요약: 여러 개의 논문을 참고하여 필요한 부분-현실인식-을 재구성했음>

◈ 연암 소설에 나타난 현실인식 - ‘허생전’을 중심으로 ◈

Ⅰ. 연암 소설 개괄
1. 사회적 ․ 사상적 배경
2. 연암소설의 문학성

Ⅱ. 허생전에 나타난 연암의 현실인식
1. 現存優先 思想
2. 平等思想(남녀평등/신분제도의 철폐)
3. 經濟優位 思想
4. 實用主義 思想

Ⅲ. ‘허생전’의 문학적 가치

Ⅳ. 마무리

◈ 참고 문헌 및 논문 ◈

본문내용

일을 택하여 독점하고 가격을 상승하게 하여, 양반들의 형식적, 허례적인 생활을 드러내기 위함이다. 이것은 백성의 재물을 빼앗아 간 지배계층의 호주머니로부터 백성의 재물을 도로 찾아내고자 함이 의도되었다 볼 수도 있다.
그리고 허생이 유학자로서 서민들과 같이 상업을 하게 하는 것은 조선시대의 유학자들이 도학에만 치중되어 허식만 차리고, 일하지 않고 가만히 앉아서 서민계급에 기생하여 무위도식하면서도 군자인체 하고, 실천 없는 經論을 高論하는 유학자들을 꼬집는 것이다. 즉 생활이 곤궁하면 무능하게 앉아있지 말고, 농업이나 상업, 공업에 종사하여 생활의 어려움을 타개하라 촉구인 것이다.
Ⅲ. ‘허생전’의 문학적 가치
「허생전」은 그 사용한 문자가 한자라 하여 이를 국문학 작품이 아니라고 말한 이들이 있다. 아무리 민족의 감상의 표현이며 문맥이라고도 순 한문으로만 쓰여진 것을 가지고 우리 국문학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허생전」은 직선적인 한 사념의 한 토막 문장이 아니라 입체적인 한 사회상을 완벽한 소설로 구성한 엄연하고도 특출한 문학작품이다. 그런데 이 작품이 한자로 기록되었으므로 이는 중국문학에 속하는 작품일까? 이 작품이 쓰여진 그 당시의 통용문자가 한자였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더욱이 이 작품의 정신은 내 나라를 부강케 하고 할 수만 있다면 만주의 故土도 차가운 눈을 없애고 하게 하자던 민족적 주체성에 근거를 두었는데 말이다.「허생전」이 쓰여진 시대에 통용되는 공용문자가 한자였고 그 형식이 작품이고 정신이 민족주의적이라면 「허생전」이 담당한 국문학 작품은 재언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또한 연암의 문학 정신은 근대성을 지니고 있었던 만큼 「허생전」우리 나라 근대문학의 한 효시라고 보는 것도 지나친 생각은 아닐 것이다. 허생이 봉건적인 자연경제로서의 농업보다 시민적인 활동경제 체제로서의 상업을 중시한 것과 계급과 빈곤이 없는 노동자의 理想社會建設觀을 거쳐 자본가의 매점행위로 인한 사회적 혼란까지를 예견했다는 것은 현대에 살고 있는 우리로서도 자못 놀라지 않을 수 없는 사실이다.
연암의 「허생전」은 그 몇 군데에 허황한 듯한 인상을 주는 곳도 있지만, 대체로 현실사회를 기저로 한 리얼리티가 충만해 있다. 그 작품의 끝부분이 시사적인 것 같은 느낌을 주는 것으로서도 충분히 증명이 될 만하다. 몇 군데 허황된 인상을 주는 곳이란 다름 아닌 허생이 자기가 건설한 낙토인 그 남해의 섬으로부터 나로 때 남은 배를 모두 불태워버림으로써 섬을 영원한 신비의 낙원으로 감추어 버린 것과 마지막 이완이 다시 허생의 집을 찾았을 때 허생은 이미 자취를 감추었다는 이야기 등이다.
그러나 철학자이자 문학가였던 연암의 성숙된 세계관이 이 「허생전」 속에 잘 투영되어 있음은 지금까지 살펴본 그의 ‘현실인식’을 통해 증명된다 할 수 있겠다.
Ⅳ. 마무리
지금까지 살펴본 「허생전」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가 있겠다. 다음의 요약된 것들은 결국 연암이 이 소설을 통해 하고 싶었던 내용들이다. 이러한 추구는 그가 바라본 현실인식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연암은「허생전」을 통해 봉건적 구습에서 탈피하려는 의식적인 변혁을 의도한 내용으로 조선후기의 정치, 경제의 후진성을 벗고, 근대적인 국가 건설을 목표로 현실 상황을 비판하고 지향해야 할 문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 내용을 말하자면 人間實存의 重視, 상업, 經濟立國, 人權尊重, 男女平等에의 지향, 道德社會 建設, 교통수단의 개발과 상업도로의 확충, 선진문화의 도입, 외국유학, 人材登用의 公正, 有權階層의 부조리 척결, 유교적 현실주의에의 지향 등이다. 탈선된 양반계급들의 자기 구명을 위해 빚어낸 불합리와 모순을 비판하고, 봉건적으로 곤한 국가의 후진성을 탈피하여 근대화에의 발전을 촉구한 작품으로 實學思想을 바탕으로 한 生活安定을 추구하고 있다.
◈ 참고 문헌 및 논문 ◈
1. 최강순, 「연암소설에 나타난 평등사상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2. 이상준, 「연암소설 등장인물의 성격과 현실인식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3. 이상옥, 「허생전 연구」, 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89.
4. 허직, 「연암 박지원과 허생전 考」, 한국장서가회, 1984.
5. 허직, 「연암 박지원의 사상적 세계관과 문학작품 攷」, 한국장서가회, 1989.
6. 임재영, 「연암소설의 공리성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1990.
7. 이미경, 「연암소설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1987.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11.27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6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