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반응 중심 학습 모형의 기본 가정
2. 반응 중심 모형 수업의 실제
(1) 배경 지식 활성화하기
(2) 최초의 반응 교환하기
(3) 작품에 대한 반응 쓰기
(4) 집단 과제 제시
(5) 특별 과제 제시
3. 반응 중심 모형의 의의
4. 반응 중심 모형의 적용
(1) 적용상의 유의점
(2) 단계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
5. 반응 중심 모형의 수업 지도안
2. 반응 중심 모형 수업의 실제
(1) 배경 지식 활성화하기
(2) 최초의 반응 교환하기
(3) 작품에 대한 반응 쓰기
(4) 집단 과제 제시
(5) 특별 과제 제시
3. 반응 중심 모형의 의의
4. 반응 중심 모형의 적용
(1) 적용상의 유의점
(2) 단계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
5. 반응 중심 모형의 수업 지도안
본문내용
또 무엇일까?
- 시적 화자는 자신의 마음 상태를 어떠하다고 표현하고 있는가? 그 이유는 무엇일까?
4연에서
- ‘서(西)’쪽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 ‘서(西)으로 가는 달‘이 주는 이미지는 어떤 것인가?
- 시적 화자가 인식한 것은 무엇인가?
5연에서
- ‘바람이 파도를 밀어 올리’는 것과 그네(운동)와의 공통점은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는가?
- 시적 화자는 좌절하는가?
- 시적 화자는 어떤 처지에 놓여 있다고 보는가?
그네, 너를 알고 싶다.(1)
- 그네의 속성을 고려할 때, ‘그네’의 상징적 의미는 무엇인가?
- ‘그네’와 대응되는 의미의 시어도 찾아보자.
‘
반응을 명료화하는 과정이므로 개별적인 반응도 존중해야 하지만 반응의 검증을 확인하는 측면에서 모둠별로 협의를 거쳐 자신의 빈응을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도록 한다.
반응의 명료화
형식 탐구를 통한 시 보기
이 시는 ( )이/가 ( )에게 이야기를 하고 있는 대화체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런 형식이 갖는 효과는 어떤 것일까?
이 시에서 운율과 의미와의 관계를 알아보자.
- 3연에서 ‘나를 밀어 올려 다오.’를 반복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이러한 감정을 잘 드러내고 있는 시적 장치는 무엇인가?
- ‘서(西)으로 가는 달 같이는 / 나는 아무래도 갈 수가 없다.’에 담긴 정서를 제대로 드러내기 위해 어떤 장치가 설정되어 있나?
- 시의 이러한 특성을 종합해 정리해 보자.
(시행/시구의 길이, 시의 호흡/읽을 때의 빠르기, 시적 화자의 심리 상태 등)
‘그네’ 너를 알고 싶다. (2)
- 각 연의 길이가 서로 다른 까닭을 그네의 속성과 결부지어 설명해 보자.
- 이 시에서 ‘그네(운동)’는 시 운율 형성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
반응을 명료화하는 과정이므로 개별적인 반응도 존중해야 하지만 반응의 검증을 확인하는 측면에서 모둠별로 협의를 거쳐 자신의 빈응을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도록 한다.
반응의 심화
시 크게 보기
시 속의 인물 되어 보기
시 고쳐보기
이 시에서 대립되고 있는 세계(이미지)에 대해 말해 보기.
이야기 속의 인물 되어보기
- 춘향이. 너는 누구인가?
- 결국, 이 시가 말하고 있는바(주제)는 무엇인가?
한 발 더.
- 이 시에서 다르게 표현하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말해 보기.
이야기 속의 인물이 되어 자신의 생각을 작품 속에 이입시켜보도록 한다.
시의 형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고칠 수 있도록 유도 한다.
반응의 일반화
정리하기
시의 느낌 가지기
- ‘추천가’에서처럼 이상향에의 열망을 그리고 있는 시가 있다면 얘기해 보자.
- 이 시를 읽고 난 느낌은 어떠한가?
소리 내어 작품 다시 읽기
문학작품을 수용하고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한다.
◆ 참고 문헌 ◆
박영목한철우윤희원 공저, <국어교육학 원론>, 박이정, 2003
최미숙 외, <국어 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0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5
김흥규 지음,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986
- 시적 화자는 자신의 마음 상태를 어떠하다고 표현하고 있는가? 그 이유는 무엇일까?
4연에서
- ‘서(西)’쪽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 ‘서(西)으로 가는 달‘이 주는 이미지는 어떤 것인가?
- 시적 화자가 인식한 것은 무엇인가?
5연에서
- ‘바람이 파도를 밀어 올리’는 것과 그네(운동)와의 공통점은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는가?
- 시적 화자는 좌절하는가?
- 시적 화자는 어떤 처지에 놓여 있다고 보는가?
그네, 너를 알고 싶다.(1)
- 그네의 속성을 고려할 때, ‘그네’의 상징적 의미는 무엇인가?
- ‘그네’와 대응되는 의미의 시어도 찾아보자.
‘
반응을 명료화하는 과정이므로 개별적인 반응도 존중해야 하지만 반응의 검증을 확인하는 측면에서 모둠별로 협의를 거쳐 자신의 빈응을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도록 한다.
반응의 명료화
형식 탐구를 통한 시 보기
이 시는 ( )이/가 ( )에게 이야기를 하고 있는 대화체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런 형식이 갖는 효과는 어떤 것일까?
이 시에서 운율과 의미와의 관계를 알아보자.
- 3연에서 ‘나를 밀어 올려 다오.’를 반복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이러한 감정을 잘 드러내고 있는 시적 장치는 무엇인가?
- ‘서(西)으로 가는 달 같이는 / 나는 아무래도 갈 수가 없다.’에 담긴 정서를 제대로 드러내기 위해 어떤 장치가 설정되어 있나?
- 시의 이러한 특성을 종합해 정리해 보자.
(시행/시구의 길이, 시의 호흡/읽을 때의 빠르기, 시적 화자의 심리 상태 등)
‘그네’ 너를 알고 싶다. (2)
- 각 연의 길이가 서로 다른 까닭을 그네의 속성과 결부지어 설명해 보자.
- 이 시에서 ‘그네(운동)’는 시 운율 형성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
반응을 명료화하는 과정이므로 개별적인 반응도 존중해야 하지만 반응의 검증을 확인하는 측면에서 모둠별로 협의를 거쳐 자신의 빈응을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도록 한다.
반응의 심화
시 크게 보기
시 속의 인물 되어 보기
시 고쳐보기
이 시에서 대립되고 있는 세계(이미지)에 대해 말해 보기.
이야기 속의 인물 되어보기
- 춘향이. 너는 누구인가?
- 결국, 이 시가 말하고 있는바(주제)는 무엇인가?
한 발 더.
- 이 시에서 다르게 표현하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말해 보기.
이야기 속의 인물이 되어 자신의 생각을 작품 속에 이입시켜보도록 한다.
시의 형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고칠 수 있도록 유도 한다.
반응의 일반화
정리하기
시의 느낌 가지기
- ‘추천가’에서처럼 이상향에의 열망을 그리고 있는 시가 있다면 얘기해 보자.
- 이 시를 읽고 난 느낌은 어떠한가?
소리 내어 작품 다시 읽기
문학작품을 수용하고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한다.
◆ 참고 문헌 ◆
박영목한철우윤희원 공저, <국어교육학 원론>, 박이정, 2003
최미숙 외, <국어 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0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5
김흥규 지음,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986
추천자료
문제해결학습의 사회교육적 의의와 적용의 실제
[구성주의][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의 배경, 구성주의의 유래, 구성주의의 필요성, 구성주의의...
[화법이론]말하기, 듣기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고찰
중학교(중등) 국어교육(국어과) 교육과정운영, 중학교(중등) 국어교육(국어과) 교수학습모형,...
역할극(역할놀이, 롤플레이)의 개념, 특성, 필요성, 역할극(역할놀이, 롤플레이)의 적용조건...
반응중심학습모형(반응중심문학교육)의 개념과 유형, 반응중심학습모형(반응중심문학교육)의 ...
국어과(국어교육) 특성과 교육중점,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운소지도, 초등학교 국어과(...
토의학습을 활용한 반응중심 수업모형 적용 연구
교수 학습 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