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 무어(Mary E. Moore)의 교육사상에 대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메리 무어(Mary E. Moore)의 교육사상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사상적 배경

1) 철학적 배경

2) 신학적 배경
  (1) 과정 신학
  (2) 과정 신학의 특징

3) 해석학적 방법

2. 교육 이론

1) 전통화 모형
  (1) 전통화 모형의 형식
  (2) 전통화 모형의 특성
  (3) 전통화 모형의 교육과정

2) 연속성과 변화성

3) 심장으로부터의 가르침

3. 교육 방법

1) 사례 연구 방법
2) 게슈탈트 방법
3) 현상학적 방법
4) 이야기 방법
5) 의식화 방법

결론

본문내용

phenomenological method)
현상학은 모든 추상적인 체계나 이론을 벗어나서, 우리의 의식 속에 경험되는 본래의 사물인 현상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강조한다. 그래야지만 모든 지식의 기초가 되는 근거를 확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지식에 대한 선입관, 이론, 주장을 배체하고 사물 그 자체로 돌아가라는 것이다. 메리 무어는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나와 관계하고 있는 사람만이 아닌, 존재하는 모든 것과의 관계 속에서 사람의 경험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메리 무어는 현상학적 방법을 강화하기 위해 교사가 해야 할 지침을 제공한다. 첫째, 학습의 핵심이 되는 경험을 강화한다. 둘째, 경험에 대한 자신의 선입관과 전제를 확인하고 그들을 괄호로 묶는다. 셋째, 경험을 관찰하고 묘사한다. 넷째, 경험을 분석한다. 다섯째, 경험과 경험으로부터 기인된 분석적 통찰을 통해 신학적으로 고찰한다. 마지막은 행동을 위한 결정을 한다.
그녀가 제시하는 교사의 역할은 전통적인 가르침에서와는 다르다. 교사는 학생의 느낌, 의견을 존중하고, 각 개인의 인간성과 존재가치를 인정하면서, 학생들에게 자유와 삶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촉매제가 되어야 한다.
4) 이야기 방법(narrative method)
메리 무어는 전체는 알지 못한 상태에서 일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거나, 일부분을 전체인 것처럼 해석하는 기존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그러면서 그녀는 나누어진 지식의 파편들을 학생들이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관심을 둔다. 이야기를 하면서, 우리는 당면해 있는 현실을 제대로 알 수 있고, 현실에 대한 일관성 있는 시야를 가질 수 있으며, 내가 경험하지 않은 또 다른 현실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야기 방법은 이야기하기, 구연동화와 같은 테크닉을 전달하기 위함이 아니라, 이야기를 의사소통의 중요한 양식으로 보기 위함이다. 이야기는 문화를 뛰어넘을 수 있고, 깊은 이해 속에서 사람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다.
하지만 이야기 방법이라는 교육방법은 생소하다. 메리 무어 스스로도 이야기 방법에 관한 자료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한다. 이처럼 이야기 방법을 도입하여 교육의 현장에 접목하고자 하는 열망은 많으나 많은 시행착오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5) 의식화 방법(conscientizing method)
메리 무어가 20세기에 있어서 가장 발전된 교육방법론 중의 하나로 본 것은 파울로 프레이리(Paulo Freire)의 의식화 방법론이다. 인간이 보다 완전한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자유하게 하는 교육에 대해 해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교사의 인격, 교사와 학생 간의 질적인 관계, 직관과 상상을 인정하는 교육 등을 주장하는 이론이다.
메리 무어가 기독교교육에 의식화 방법을 도입하고자 하는 이유는 첫째, 인식론 위주의 추상적인 교육방법에 대해 각성하고, 삶의 현장에서의 실천을 강조하면서, 균형 있는 교육을 위해서다. 둘째, 그녀의 교육목표는 하나님이 주신 것을 시대 속에서 보존, 변형하면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그녀는 끊임없이 자기를 개방하고 변화하는 노력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의식화 방법을 도입하였다.
결론
기존의 기독교교육의 대표적인 방법인 지식전달식 교육방법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현재 그들이 처해있는 상황을 정화하게 인식하도록 돕는데 실패하였다. 또한 그들의 삶을 과거에 기록된 성서의 내용과 의미 있게 연결시켜 해석해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에도 미흡했다.
텍스트와 컨텍스트의 조화, 내용과 경험의 통합, 과거와 현재, 미래의 통합 등을 주장하는
메리 무어의 전통화 모형은 기존의 기독교교육 방법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바람직한 이론이고 사상이라고 본다. 그녀의 교육방법 역시 부분이나 분리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와 통합을 지향한다는 면에서, 기독교교육 현장에 바로 접목시킬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했다고 본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녀도 강조했었던 실천이라 생각한다. 실천 없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듯이, 실천 없는 교육사상과 교육방법은 무용지물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Mary Moore 이정근 박혜성 역,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모형』,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91
Mary Moore 장대현 역, 『심장으로 하는 신학과 교육』, 한국신학연구소, 1998
오인탁,『기독교교육』, 종로서적성서출판사, 1996
박진형,『메리 엘리자베스 무어 교육이론의 해석학적 접근과 그 적용』, 목원대 신학대학원, 2003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12.12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36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