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이후 한국의 민중신학에 관한 논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70년대 이후 한국의 민중신학에 관한 논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민중신학에 관한 논쟁
Ⅲ. 최근 민중신학의 논의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대항하여 여성 운동을 일으키며 일본 정부로부터 책임을 묻고 보상을 요구하고 한국 정부와 사회에 여성 문제에 대한 사회적 환기와 지원을 이끌어내고 있음을 상세히 기술한다. Miriam C. Y. Louie, “Minjung Feminism,” 417-430.
Ⅳ. 결론
그동안의 우리 한국 교회는 구약 레위기의 희년 사상, 또는 고아와 과부, 객을 돌보라는 하나님의 음성을 외면한 채 살아온 지 오래되었다.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권력과 합세해 권력자들이 듣기 원하는 메시지를 전해 왔으며 선교와 봉사라는 명목으로 좋은 일도 많이 했으나 그것 역시 약자들의 내밀한 고통에 대한 인식 없이, 동등한 인간성을 지닌 존재로 보기 보다는 은혜를 베푸는 차원에서 위에서 아래로 일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었다. 한편, 사회 참여의 힘을 잃어버린 오늘의 현실 속에서 반기독교적 정서는 더욱 심해지고 기독교인들은 이런 현실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개혁의 의지를 보이기보다는 굳은 성벽을 쌓듯 끼리끼리 모여 그 속에서 안주하며 더욱더 강한 철공성을 쌓고 있는 것 같다.
민중신학이라는 신학적 운동은 그저 한 시대를 풍미했던 지나간 신학적 조류 중의 하나로 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민중신학 논쟁을 통해 당대 최고의 지성과 실천이 만나 한국적 토착 신학을 이루어냈다면 그것으로 멈추지 말고 그것을 다시 시대에 맞게 재발견, 재생산해냄으로써 그 시대, 시대마다 처한 현실 속의 ‘민중’이 누구인지를 찾아내어 예수가 하셨던 것처럼 소외된 상황 속에서 그들의 동지가 되어주고 하나님의 미슈파트와 츠다카를 현실화시키는 일에 쓰이기를, 그리고 이 글의 마지막에서 간략하게 밝힌 것과 같이 다문화사회의 이주민들과, 독특한 역사를 바탕으로 억압의 굴레를 쓰고 한(限)의 정서를 품은 이 땅의 여성들을 위한 민중신학적 노력이 계속 활발하게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Ⅴ. 참고문헌
NCC신학연구위원회 편. 『민중과 한국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2.
강원돈. “신학적 해석학의 새로운 모색.” 「신학사상」. 53/여름 (1986).
고재식. “이데올로기와 신앙.” 「기독교사상」. 300/6월 (1983).
김경재. “역사의 주체는 민중이다.” 「기독교사상」. 213/3월 (1976).
김경재, 김광식, 이종성, 정호경, 현영학, 안병무. “심포지움: 서남동박사와 민중신학.” 「신학사상」. 46/가을 (1984).
김용복. “민중신학과 아시아 신학.” 「신학사상」. 56/봄 (1987).
김용복, 김정준, 백낙청, 서남동, 유동식. “심포지움: 한국신학으로서의 민중신학의 과제.” 「신학사상」. 24/봄 (1979).
_______. “민중신학의 사회전기와 신학.” 「신학사상」. 24/봄 (1979).
김정준. “신학의 아레오바고-신학사상 창간에 부쳐.”「신학사상」1/여름 (1973).
김종서 외. 『최근의 해방신학』.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김창락. “복음의 수혜자로서의 가난한 사람들.” 「신학사상」. 53/여름 (1986).
김형효. “이달의 쟁점; 혼미한 시대의 진리에 대하여.” 「문학사상」. 31/4월 (1975).
류장현. “다문화사회의 떠돌이 민중에 대한 신학적 이해.”「신학사상」. 148/봄 (2010).
민영진 외. 『한국민중신학의 조명』. 서울: 대화출판사, 1984.
서남동. “민중의 신학.” 「신학사상」. 24/봄 (1979).
_______. “예수, 교회사, 한국교회.” 「기독교사상」. 201/2월 (1975).
안병무. “한국의 신학의 현황과 과제.”「신학사상」1/여름 (1973).
_______. “민족민중교회.” 『민중과 한국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2.
_______. “민중의 교회.” 「신학사상」. 53/여름 (1986).
_______. “민중의 하느님.” 「신학사상」. 54/가을 (1986).
이종구 외, “1970년대 산업화 초기 한국노동사 연구: 노동운동사를 중심으로.” 노동부, 2002.
장일조. “한국 민중신학에 대한 몇가지 테에제.” 『한국 민중신학의 조명』. 서울: 대화출판사, 1984.
전경연. “민중신학의 평가.” 『한국 민중신학의 조명』. 서울: 대화출판사, 1984.
Louie, Miriam C. Y. “Minjung Feminism: Korean Women\'s Movement for Gender and Class Liberation.”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18/4 (1995).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1.11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9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