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착화 신학 논쟁 - 한국교회 신학사상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착화 신학 논쟁 - 한국교회 신학사상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 유동식의 토착화론

2. 전경연이 유동식의 토착화론을 비판함

3. 이장식과 이규호, 이종성 등의 토착화론

나가는 말

본문내용

가지 게 된다.” 이종성, “기독교 토착화에 대한 신학적 고찰”,「기독교사상」(1963. 11), 29.
나가는 말
지금까지 “한국 감리교회의 빛나는 신학적 유산” 박종천,『상생의 신학』(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1), 20.
인 토착화 신학을 유동식과 전경연의 논쟁을 중심으로 하여 후에 가세한 여러 학자들의 논쟁까지를 비교하여 보는 것으로 정리해 보았다. 유동식은 1960년대 한국 기독교가 주체적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그저 서구만을 좇는 교회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우리의 주체성과 주체의식을 강조하였다. 복음의 진리와 가치를 고수하면서도 한국의 기독교, 한국의 신학을 만들기 위해 몸부림쳤던 것이다. 전경연도 비록 유동식과 대립하며 논쟁한 것처럼 보이나 기독교의 본질을 지키고 핵심 가치를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본다.
김광식은 “한국 신학의 역사를 한마디로 규정한다면 토착화신학 형성사라고 할 수 있다. 한국 신학사는 비단 토착화를 주제로 삼는 신학만을 토착화신학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모양으로든지 외국의 신학을 한국인의 신학으로 만든 신학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보면 토착화신학 형성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김광식, “한국토착화신학 형성사”,「기독교사상」(1991. 6), 7.
라고 말하였다. 과연 토착화 신학은 그 자체로나 그 후로도 계속되는 신학의 토착화로써나 그 의미가 매우 크고 중요하다고 하겠다. 무엇보다 한국인이 한국인으로서의 분명한 정체성을 확립하고 주체성을 지켜나가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것이 아닌가.
참고문헌
1. 단행본
박종천,『상생의 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1.
심일섭,『한국의 신학 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3.
이정배,『한국 개신교 전위 토착신학 연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3.
한국기독교역사학회,『한국 기독교의 역사 Ⅲ』,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2. 논문
김경재, “복음의 문화적 토착화와 정치적 토착화”,「기독교사상」(1979. 9)
김광식, “한국토착화신학 형성사”,「기독교사상」(1991. 6)
박봉배, “토착화 신학과 한국 개신교”,「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1987. 5)
연규홍, “한국 신학 100년의 성찰과 전망”,「신학연구」제43집 (2002. 12)
유동식, “복음의 토착화와 한국에서의 선교적 과제”,「감신학보」(1962. 10)
______, “기독교의 토착화에 대한 이해”,「기독교사상」(1963. 4)
이규호, “토착화론의 철학적 근거”,「기독교사상」(1963. 10)
이장식, “기독교 토착화는 역사적 과업”,「기독교사상」(1963. 6)
이종성, “기독교 토착화에 대한 신학적 고찰”,「기독교사상」(1963. 11)
전경연, “그리스도교 문화는 토착화할 수 있는가?”,「신세계」(1963. 3)
______, “기독교 역사를 무시한 토착화 이론은 원시화를 의미”,「기독교사상」(1963. 5)
D. T. Niles, “성서연구와 토착화 문제”,「기독교사상」(1962. 10)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1.11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9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