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신학 교육과 에큐메니즘 (평양신학교와 감리교신학교를 중심으로) [에큐메닉스 세미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신학 교육과 에큐메니즘 (평양신학교와 감리교신학교를 중심으로) [에큐메닉스 세미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평양(장로교)신학교의 설립배경과 신학

3. 협성(감리교)신학교의 설립 배경과 신학

4. 신학적 공통분모

5. 교육 내용 및 목표 비교

6. 1930년대 한국의 신학적 갈등
  1) 여권 문제
  2) 창세기 모세저작 부인사건
  3) 아빙돈성경주석사건

7. 박형룡과 정경옥

8. 교파별 지역 편차

9. 결 론

본문내용

다. 하나님은 실로 만유 위에 계시면서 만유 가운데 계셨고 만유를 통하여 존재하셨다.
그리고 마지막 수업을 향해 가면서 필자는 점점 왜 에큐메니컬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갖게 되었다.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 서로가 대화의 장을 마련하여 갈등과 오해의 소지를 풀고 연합 및 협력한다는 것은 매우 긍정적인 일이다. 그런데 에큐메니컬에 대한 이와 같은 긍정에도 불구하고 역사 속에서 그것은 이상적인 결과만을 초래하지는 않았다. 도리어 에큐메니컬 현장은 더욱 많은 갈등과 분열을 초래하기도 하였고, 또한 그것의 본래 의도와 다른 결과를 야기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평생을 에큐메니컬 신학적 입장에 계셨던 교수님도 그것을 포기할지 모른다는 폭탄선언까지 하셨으니 말이다. 그렇기에 필자는 왜 에큐메니컬인가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질문해보게 되었다.
역사란 결국 현실이다. 그렇기에 빛 좋은 의의뿐만 아니라 역사를 통해 드러난 결실을 근거로 그것의 필요성이 결정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 결실도 함부로 평가할 수 없는 까닭은 역사의 복잡다단함 때문이다. 물론 에큐메니컬 운동은 1910년 에딘버러에서 개최된 “세계선교대회”에서 출발한 이후 수많은 도전과 시련을 겪으며 줄기차게 발전해왔고, 많은 업적을 이루었다. 필자가 감히 그 업적을 폄하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 다만 에큐메니컬 운동을 옹호하고 이에 관심을 둔 필자에게 이것은 끊임없이 제기될 문제다. 복음의 순수한 열정을 잃어버리지 않으면서도, 편협하지 않고, 자기의 정체성을 잃어버리지 않으면서도, 화해와 협력의 장을 열어가는 역사를 어떻게 이룰 것인가. 성경에 근거를 둔 고상한 에큐메니컬 신학적 의의뿐만이 아니라, 실제로 얼마나 교회의 일치와 복음의 증거를 위한 아름다운 결실을 맺을 것인가? 바울 증거의 핵심이었던,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나라”를 전하기 위해 에큐메니컬 운동은 어떤 디딤돌이 될 것인가? 감히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나라”라는 하나의 견고한 목표점을 향해 열린 시각으로 전진하는 것이 에큐메니컬이라고 생각하며 글을 마치고자 한다.
참고문헌
강근환. 한국교회 신학의 흐름과 전망.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22
민경배.『한국기독교회사』(서울: 연세대학교출판사, 1993)
박용규.『한국기독교회사 1』 (생명의 말씀사, 2004)
박종현.『일제하 한국 교회의 신앙구조』 (서울:한들출판사, 2004)
백낙준.『한국개신교회사』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3)
서정민.『하룻밤에 읽는 한국교회사 이야기 상,하』(서울:말씀과 만남, 2002)
송길섭.『한국신학사상사』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94)
이덕주.『초기한국기독교사연구』 (서울: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5)
장동민.『박형룡의 신학연구』(서울: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8)
『장로회신학대학 100년사』 (서울: 장로회신학대학, 2002)
『한국기독교의 역사 1』한국기독교역사연구회 지음 (서울: 기독교문사, 1989)
『한국기독교의 역사 2』한국기독교역사연구회 지음 (서울: 기독교문사, 1990)
김의환 한국교회신학의 역사적 조명(1900~1945)-장로교와 감리교를 중심으로- 신학지남, Vol.65 No. 4. 1998
김성복. “한국과 미국의 개신교 신학교육 비교연구:장로교회를 중심으로”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1996년, 박사학위 논문)
김영명. 정경옥의 생애와 영성 그리고 신학.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소식, Vol. No. 79, (2007)
박용규. “한국교회 성장과 쇠퇴의 한국교회사적 평가” 교갱협
박용규. 정경옥의 신학사상. 신학지남, Vol.64 No.4 1998.
이장식. 한국신학사상의 사적 고찰. 신학사상 Vol. 47
  • 가격1,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1.11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9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