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실학사에서 서학연구의 위치 - 정약용을 중심으로 [천주교회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실학사에서 서학연구의 위치 - 정약용을 중심으로 [천주교회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 실학을 둘러싼 국내외 정치 사회적 배경
1-1. 국내 정치적 사회적 배경
1-2. 중국의 정치적 배경
1-3. 일본의 정치적 배경

2-1. 초기 실학의 사회사적 배경
2-2. 실학자들의 서학 연구사

3. 다산의 사회정치 경제사상과 서학과의 관계
3-1. 다산의 사회정치 경제사상
3-2. 목민심서에서의 서학사상과 다산의 신관

4. 나가는 말: 서학연구의 위치

5. 참고문헌

본문내용

帝)를 유일신으로 부각시킴으로써 천주실의와 상통하게 하였다. 이 견해는 천주교의 천주로서 마태오리치와 부합하는 것이다. Ibid., 147.
다산은 감정과 의지가 결여된 비인격적 존재를 최고원리로 삼아 우주원리와 인간개념을 설명하려는 주자성리학의 허구성을 지적하였다. 다산은 주자의 이기론과 음양론을 무너뜨림으로써 이기나 음양 개념을 도외시한 서학을 따랐다. 그러나 다산은 원시공맹 사상의 천 개념에 이기와 음양을 모두 함축시킴으로써 서학의 천주신과 결합시켰다. 그리고 태극론에서 이기와 음양을 태극 개념으로 용해시켜 이 용해된 태극이 창조주이자 주재자가 되게 하였다. 여기서 다산은 서학을 통해서 한국 기독교의 최초의 토착화를 시도하였다고 볼 수 있다. Ibid., 147-148.
4. 나가는 말: 서학연구의 위치
한국 실학사에서 서학연구는 1801년을 정점으로 실학연구와 함께 쇠퇴하였고 오직 은거 생활 속에서만 연구될 수 있었다. 서학은 실학자들의 비판과 긍정 그리고 조화 속에서 한국사회에 수용되고 대중 속으로 스며들었다. 그리고 그 이후로의 실학과 관련한 서학의 공개적 연구는 문일평 홍이섭 선생이 식민지하의 조선이 질곡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실사구시학풍이라고 붙이면서 새로운 연구 오가와 하루히사, 실사구시의 눈으로 시대를 밝힌다, 하용성 옮김, 도서출판 강, 1999, 12-123.
가 불붙기까지 실학과 함께 자취를 잠시 감추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실학에 있어서 서학연구의 위치는 어디에 있다고 볼 수 있는가? 필자는 실학의 중심부에 서학이 있었다고 본다. 실학자들의 비판과 긍정과 조화를 통하여 서학은 실학의 중심부에 자리잡게 되었다. 그리고 우리의 역사속에서 이 실학과 함께 서학이 면면히 명맥을 이을 수 있었던 것은 귀향살이 가운데서도 포기하지 않았던 불굴의 향학열로 불태운 다산에게 그 공을 돌려야 할 것이다. 실로 다산은 실학의 집대성자로서 그 학문의 계승전달적 사명을 충실하게 한 사람이다. 다산의 글 속에 나타난 서학사상과 신관을 살펴보므로써 다산이 실학의 중심부에 서학을 두었음을 확인하는 기회를 가진 것이 기쁨이었다.
5. 참고문헌
계명대학교 철학연구소 홍원식 외 지음, 실학사상과 근대성, 예문원, 1999.
강의기, 다산 정약론의 서학사상 - 우주관과 인간관을 바탕으로 한 토착적 한국 기독교사상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4.
김인규, 북학사상의 철학적 기반과 근대적 성격, 도서출판 다운샘, 2000.
박영택, 실사구시의 학적 전통과 개화사상, 한중 실학사 연구, 한국실학연구회, 민음사, 1998,
백민정, 정약용 철학의 형성과 체계에 관한 연구-주자학과 서학에 대한 비판적 수용과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송영배, 다산 철학과 『천주실의』의 패러다임 비교 연구, 한국실학연구, 2000. 제2호, 한국 실학연구회, 민창문화사, 2000.
신용하, 조선후기 실학파의 사회사상연구, 지식산업사, 1969.
오가와 하루히사, 실사구시의 눈으로 시대를 밝힌다, 하용성 옮김, 도서출판 강, 1999,
오가와 하루히사,한국실학과 일본, 하우봉 옮김, 한울아카데미, 1995.
오영교, 실학파의 정치 사회 개혁론, 도서출판 혜인, 2008.
정성철, 실학파의 철학사상과 사회정치적 견해(상), 도서출판 백의,1989.
주칠성, 실학파의 철학사상, 예문서원,1996.
최동희, 서학에 대한 한국실학의 반응,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8, 48.
허권수, 조선 후기 남인과 서인의 학문적 대립, 법인 문화사,1993.
홍동선, 조선후기 실학의 대외의식- 중농파와 북학파의 비교적 시좌에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1985,
  • 가격1,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1.11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9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