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도 영유권 분쟁에 관한 고찰 - 백두산정계비의 건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도 영유권 분쟁에 관한 고찰 - 백두산정계비의 건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간도 영유권 분쟁
1. 무인 중립지대의 형성
2. 백두산정계비의 건립
3. 국경회담
4. 대한제국 이후
Ⅲ. 맺음말

본문내용

후 북한과 중국은 다시 국경조약을 통해 압록강-백두산천지-홍토수-두만강을 양국의 경계로 확정함으로써 간도는 한국의 손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간도는 미해결된 땅이다. 중국과 북한이 국경조약을 맺었다고는 하나 현재 대한민국은 북한을 정식 국가로 인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향후 통일한국에서 국경문제가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 물론 현재 남과 북이 분단되어있고 북한이 중국에 매여 있기 때문에 영유권 주장이 쉽지 않은 현실이다. 그러나 옆에 있는 나라는 전혀 자기들 것이 아닌 섬 하나를 자기네들 것이라고 우기는데, 반면 우리는 충분한 우리의 역사적 권원(權原) 어떠한 행위를 법률적으로 정당화하는 근거.
을 갖고 있는 땅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해 단 한마디도 하지 않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
참고문헌
-논문
노계현,「간도 영유권에 관한 역사적 연구」,『한국경제학보』9권 1호,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02.
엄찬호,「조·중간의 경계분쟁과 고지도」,『한일관계사연구』제42집, 한일관계사학회, 2012.
이강원,「조선후기 국경인식에 있어서 두만강·토문강·분계강 개념과 그에 대한 검토」,『정신문화연구』제30권 제3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이범관 외5명,「청·일 간도협약의 부당성과 간도영유권문제의 해결방안(중)」,『한국지적학회지』제26권 제1호, 한국지적학회, 2010.
이상태,「백두산정계비 설치와 김지남의 역할」,『역사와실학』제33집, 역사실학회, 2007.
이화자,「대한제국기 영토관과 간도정책의 실시」,『전북사학』제35호, 전북사학회, 2009.
최장근,「간도와 독도 영토문제의 비교분석」,『일어일문학』제38권, 대한일어일문학회, 2008.
-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간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512, 2015.06.1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간도협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6163, 2015.06.1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백두산정계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058, 2015.06.1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033, 2015.06.15.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2.05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4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