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삶 A 형)영국의 내셔널트러스트 운동의 배경과 의의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자연유산 보전(호)을 위한 트러스트 운동의 배경과 내용 자연유산 보전(호)을 위한 트러스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숲과삶 A 형)영국의 내셔널트러스트 운동의 배경과 의의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자연유산 보전(호)을 위한 트러스트 운동의 배경과 내용 자연유산 보전(호)을 위한 트러스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국의 내셔널트러스트 운동
1) 영국의 내셔널트러스트 운동 개요
2) 영국의 내셔널트러스트 운동의 배경
3) 영국의 내셔널트러스트 운동의 의의

2. 우리나라의 자연유산 보전(호)을 위한 트러스트 운동
1) 우리나라의 트러스트 운동의 배경
2) 우리나라의 트러스트 운동의 내용

3. 우리나라의 트러스트 운동의 사회적 의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술사학자 최순우의 거주지
동강 제장마을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덕천리
2004년
자연환경과 역사문화유적 보전
나주 도래마을 옛집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풍산리
2006년
전통 한옥 마을 보전
권진규 아틀리에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선동
2006년
조각가 권진규의 작업실
연천 DMZ 일원 임야
경기도 연천군 중면 적거리
2007년
DMZ 일원의 생태적 요충지
원흥이 방죽 두꺼비 서식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산남동 205
2009년
대표적 두꺼비의 집단서식지
내성천 범람원
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신음리 463
2012년
습지 복원 및 하천-산림생태계 연결
3. 우리나라의 트러스트 운동의 사회적 의미
환경문화적 자산을 보전하고 유지하기 위한 영국의 내셔널트러스트 운동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는 전통과 문화 보전업무란 정부가 맡아서 하는 업무이지 민간이 하는 것이 아니라는 인식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런 인식의 전환이 없이는 영국과 같은 내셔널트러스트운동이 활성화될 수 없다. 따라서 진정한 보전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또한 주도할 때 가능하다고 본다면, 이것이 현실에서 가능하기 위하여서는 정부만이 할 수 있고 또한 해야 한다는 국가주의 인식을 바꾸지 않고서는 아니 된다. 이 같은 인식전환 없이는 국민의 집합적 주체로서 시민단체가 수행하는 보전을 위한 공공적 역할이 사회적으로 정당화되지 못할 것이고, 나아가 이를 용인하고 인정하는 제도화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 영국 내셔널트러스트 운동 사례와 관련해 유념할 것은 영국의 내셔널트러스트운동이 전국적인 틀을 갖고 있는 것은 그저 활동의 전국적 규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시민적 소유를 위한 자산의 운영관리 방식이 전국적으로 통일된 법적 조건과 틀을 부여해주기 위해서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내셔널트러스트운동의 원리가 제대로 구현되기 위하여 그 운영규칙이나 법적 규정들이 자연스럽게 전국적으로 표준화되고 획일화되어야한다. 물론 실제 운영에서는 해당 지역의 지역성과 현장성을 반영할 수 있다. 즉, 운동의 지방화와 제도나 틀의 전국화는 구분되어야 한다.
Ⅲ. 결론
영국의 시민들의 자발적 모금과 자산헌납을 통해 환경보전을 도모하는 영국의 내셔널트러스트 운동은 환경의 사회적인 이념성과 개인적 차원의 실천조건을 매개하는 운동양식으로 의의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실에서도 환경은 갈수록 토지의 시장적상품적 논리에 따라 그 가치가 결정되고 있어서 그 대안적 가치인 보전가치를 현실에서 관철시키기가 갈수록 힘들어지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대대적인 그린벨트 해제조치가 취해지는 상황은 이런 우리의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이런 점에서 우리사회에서 트러스트 운동은 환경운동이 직면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시민운동으로의 의미를 충분히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의 한국사회 적용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은 여러 측면에서 의의가 크다고 본다. 한국사회에 트러스트 운동을 도입할 때 지켜야 할 가장 중요한 두 원칙은 ‘환경자산의 공유화’란 이념성과 ‘시민들의 자발적인 자산기여’를 중심으로 하는 실천성이다. 이젠 우리나라의 시민환경운동은 이러한 원칙과 실천수단이 강구되지 않으면 더 이상의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룩할 수 없다. 대안운동방식으로 트러스트 운동의 가능성은 바로 여기에 있다.
Ⅳ. 참고문헌
박미호 등, 2018, 숲과 삶,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04, 한국 내셔널트러스트 가이드 북 : 자연과 문화유산의 100년 미래
환경부, 2004, 내셔널 트러스트 운동 활성화를 위한 법제연구
조명래, 2002, 한국의 자생 내셔널 트러스트 운동의 평가, 地域社會開發硏究 제27집 1호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3.11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56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