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 사상과 윤리교육 - 개념과 본질 - 초등도덕교육에의 적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효 사상과 윤리교육 - 개념과 본질 - 초등도덕교육에의 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 고찰

Ⅱ. 효의 개념과 본질
1. 효의 어원과 개념
2. 공자와 ????효경????의 효관
3. 효와 인(仁)․애(愛)․경(敬)

Ⅲ. 효 사상의 윤리․교육적 함의
1. 친친의 논리와 예(禮)의 형식
2. 가정 윤리․교육적 함의
3. 사회 윤리․교육적 함의
4. 효의 종교윤리적 성격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랑을 베풀 수 있는 가능성의 근거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가 윤리에 있어서 효는 그 근원이 될 수 있는 것이다.
4. 효의 종교윤리적 성격
효의 가장 기본적인 성격은 설문해자의 규정처럼, 자식으로서 자신을 낳아주고 길러주신 부모를 잘 섬기는 것이다. 說文解字 “孝, 善事父母者 從老省 從子 子承老也.”
그러나 유교에서는 단순히 부모와 자신간의 관계만을 효의 범주에 포함시키지는 않는다. 자신의 조상을 추모하여 제사를 지내는 것, 현실 속에서 자식이 부모를 사랑하고 잘 봉양하여 모시는 것, 그리고 자손을 낳아 가문의 대를 잇는 것, 이러한 세 가지를 아울러 효라고 표현한다.
가지 노부유끼(加地伸行)는 유교적인 사유가 시간의 연속선상에서 ‘조상-부모-나-자식-후손’이라는 관계가 효라는 관념을 매개로 유지되고 있다고 말한다. ‘생명의 연속’이라는 관념, 선조에 대한 제사는 선조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을 말하는데 선조가 없다면 지금의 자신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여기는 것이다. 선조가 있다는 의식을 통해서 선조로부터 자기 자신에 이르기까지 생명이 연속되어 왔음을 확신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이라는 개체는 어쩔 수 없이 죽음으로 소멸되지만 자손이 있으면, 자신의 생명은 후손을 통해 계속 존재한다는 믿음이 유교 및 동아시아 사회의 전반을 이끌어 온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증자가 말하였다. “(부모님의) 상(喪)을 신중하게 치르고, 먼 조상까지 추모하면 백성의 덕이 후하게 된다. (민심이 각박하지 않게 된다.)” 論語 學而 篇: “曾子曰 愼終追遠 民德歸厚矣”
위의 증자의 말은 유교의 종교적 의미 내지는 효 개념의 종교적 성격을 잘 표현 하고 있다. 우리 인생의 대표적인 사례(四禮)는 관(冠), 혼(婚), 상(喪), 제(祭)이다. 이 중 관(冠), 혼(婚)은 삶의 제식이고, 상(喪), 제(祭)는 죽음의 제식이다. 즉 여기서의 상(喪)은 부모님의 죽음을 의미하고 제(祭)는 오래된 조상에 대한 제사를 의미한다. 즉, 자신의 조상의 죽음에 대한 의식은 생명의 근원과 그 연속성에 대한 깨달음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김용옥은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증자의 ‘신종추원’이라는 말은 전통적 조상숭배의 수직적 관계를 수평적 관계로 대치시키는 말이다. 즉 상제(喪祭)의 궁극적 의미가 ‘귀신을 달램’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역사성 속에 내재하는 하나의 축제일 뿐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나의 죽음은 나의 유한성의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손의 유한성과의 연속의 계기라는 것이다. 즉, 나의 죽음이 나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나의 자손에 의하여 추모됨으로서 어떤 연결의 고리를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나의 존재의 유한성의 단절이 다시 단절될 타의 유한성과 접함됨으로써 무한하게 된다는 것이다. 유한한 시간의 연접은 무한하다. 그 연접의 고리가 바로 상(喪),제(祭)의 제식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귀신에 대한 공포가 아니라, 나의 존재 의의 유한성의 두려움에 대한 수평적 유대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한 수평적 유대가 곧 인간의 역사이다. 나는 죽는다. 그러나 나는 외롭지 않을 것이다. 나는 죽는 순간 매정하게 단절되거나 내가 사랑했던 그들로부터 외면당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생각이 나를 편하게 할 것이라는 것이다. 제사의 궁극적 의미는 죽음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삶에 있다. 죽는 자의 삶에 있고 살아남은 자의 삶에 있다.” 김용옥, 도올논어 1, 서울; 통나무, 2000, p.246.
이렇게 효 개념을 “생명의 연속성에 대한 자각”이라는 의미로 바라본다면 현재적 존재인 내가 죽고 나서, 나를 대신하여 조상에 대하여 제사를 지내고, 나의 상에 주체가 될 자식이나 후사의 존재는 아주 중요하게 된다. 맹자는 “불효가 세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 후사를 잇지 못하는 불효가 가장 크다” 孟子 梁惠王 “孟子曰, 不孝有三 無後爲大”
라는 말로써 후사를 이어 생명의 연속성을 연장시키는 종교적 성격으로서 효 사상을 표현했다. 후사를 잇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불효라 함은 유가 철학의 시작인 효의 불효를 의미하는데, 유가 사상에 있어서 후사를 잇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고 또한 나아가 종교적 성격을 강하게 갖는 것인지를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원전류
『論語』, 2006, 김석환 역. 혜원출판사.
『孟子』, 이기석 한용우 역. 흥신 문화사.
『孝經』, 2000, 권영한 역. 전원문화사.
『禮記』, 1982, 보경문화사
『中庸』, 1991, 김영수 역, 일신서적출판사
『小學』, 2006, 주희 유청지. 홍익 출판사.
『童夢先習』, 2007, 성백열 역. 전통문화연구회.
『萬言詞』, 2006, 김주곤, 국학자료원.
2.단행본
교육인적자원부(2007),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바른생활(1~2학년)』.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교육인적자원부(2007),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도덕(3~6학년)』.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공덕성, 1995, 『효란 무엇인가?, 서울 한국 정신 문화 연구원.
김용옥, 2000, 『도올논어 1』, 서울 통나무.
조준하, 2000, 『전통윤리의 핵심과 덕목』, 「한국인의 가정논리」, 서울 : 學文社.
3.학위 논문
강석봉, 1994, 『전통적 효 요소에 의한 효의식 조사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금종현, 2003. 『유가의 논리와 효 사상』.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관옥, 1999, 『한국전통사회에서의 효사상의 전개와 현대적 의의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설혜숙, 2009. 『효사상의 교육적 의의와 지도 방안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은정희, 1966, 『원시유가에 있어서의 중용과 인의 문제』. 논리교육 연구.
전용세, 1980. 『효 사상의 본질과 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상봉, 1996, 『유가철학에 있어서의 윤리문제』.「유가사상연구」.
정상봉, 2000. 『유학에서의 효와 그 현대적 의의』. 건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 총론 제 34집.
曺奎南, 1982, 『孝思想의 韓國敎育的 發展過程의 分析的 硏究』. 전주대학교
  • 가격1,6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2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