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너와 반듀라의 이론을 통한 아동의 올바른 도덕성 함양과 행동 발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키너와 반듀라의 이론을 통한 아동의 올바른 도덕성 함양과 행동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분석
Ⅲ. 나의 경험사례
Ⅳ. 초등교육에의 적용
Ⅴ. 나오는 말

본문내용

강화와 보상 그리고 때에 따라서 필요하다면 벌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그 행동의 반복을 증가 혹은 감소 시킬 수 있게 하고자 하여야 한다.
2. 강화와 보상 그리고 적절한 벌
스키너는 어떠한 행동의 발달 및 반복을 하게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 것은 적절한 강화와 보상 그리고 적절한 벌이었다.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행동의 반복과 도덕성 발달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상황과 때에 따른 적절한 강화와 보상 또는 적절한 벌을 택해 제시해야 한다. 이 때 주의할 점은 교사는 어떠한 상황에서 강화를 쓸 것인지 벌을 사용할 것인지를 명확히 판단해야 하고 또 분명하게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어물쩡대고 뚜렷하지 않게 강화나 벌을 사용했을 경우, 그것들은 학생들에게 자극을 제시할 수 없을 수 있고, 이는 행동의 반복이나 발달을 초래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벌과 부적강화를 많이 줘 학생들의 자신감을 깎아 내리고 소극적으로 만들기보다는 학생에게 긍정적인 정적강화를 많이 제시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감과 희망을 갖게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의 행동과 발달이 계속해서 외적인 보상이나 벌에 의해서만 행해져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진정한 행동의 발달과 반복, 도덕성 함양은 외적인 요소에서 자극을 얻어서만 행해지는 것이 아닌 학생 스스로 내면의 깨우침을 얻고 보람을 느껴 내면화 시키고 내적 동기화를 시켜 행동이 발달하고 반복할 수 있게끔 지도해야 한다. 공부를 하게 만들 때에도 시험을 잘 본 학생들에게 스티커를 준다거나 매번 새로운 상품을 준다거나 똑같은 칭찬을 해줄 수는 없다. 이러한 일을 반복했을 경우 외적 보상이 학생들 마음에 들지 않다거나 제시되지 않았을 경우 적절한 자극을 받지 못한 학생들은 공부를 할 마음을 잃게 될 것이고 더 이상 공부를 해야 할 이유를 알지 못할 것이다. 이런 학생들 보다는 스스로 공부하는 즐거움과 보람을 깨우쳐 외적 보상이 없다하여도 내적인 만족을 위해 공부를 하는 학생들을 만드는 것이 교사의 참된 의무와 보람일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는 외적 보상에 너무 의존하지 않도록 하고, 학생들이 진정한 내면화와 동기화를 할 수 있게끔 지도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3. 모델링의 선별과 관찰 학습
아동들은 스스로 호감과 매력을 느낀 모델에 대해 관심과 관찰을 갖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교사는 학생들을 자신이 원하는 방향의 행동을 습관화 시킬 수 있다.
먼저 교사는 자신이 원하는 행동을 학생들이 따라 하기에 적절한 모델이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본다. 이는 영화나 소설, 연극, 드라마 등에 나오는 허구적인 인물이여도 상관 없고, 실존하는 주변의 인물이여도 상관은 없다. 단지 이 때 주의 할 점은 학생들이 그 모델을 접함으로써 어떠한 영향을 받을 것인지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신의 일을 열심히 하고 있는 사람들’이라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을 때, 교사는 학생들에게 선정적인 자극을 줄 수 있는 아이돌의 모습을 제시할 것인지, 맡은 바 열심히 일을 하고 있는 미화원 아저씨의 모습을 제시할 것인지를 고민하여야 한다. 이 때 각 모델들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어떠한 영향을 받을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 어린 아이돌의 화려한 모습에만 관심을 갖게 된 아이들은 ‘자신의 일을 열심히 한다’라는 모습보다는 선정적이고 화려한 외적인 요소에만 관심을 갖고 그를 따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모델을 제시할 때에도 어떠한 결과와 영향을 불러 일으킬 것인지에 대한 교사의 깊은 고찰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 스스로나 주변사람들 모두가 학생들의 좋은 모델이 될 수 있고, 동시에 나쁜 모델이 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교사가 만약 책상에 앉아 무심결에 다리를 떠는 행동을 반복하고 이를 학생들이 무의식적으로 계속 접했다면, 다리를 떠는 학생들의 모습은 증가할 것이다. 또한 친구를 잘 도와주고 챙겨주는 모습의 같은 반 아이를 계속적으로 접했을 경우에도 학생들은 그와 일상적으로 같이 생활하고 관찰을 반복하여, 저절로 자신도 그렇게 행동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모델은 어느 한명으로 정해진 것이 아닌 주위의 모든 사람들이 학생들의 관찰 모델이 될 수 있고, 이 모델이 좋은 영향을 끼칠 수도, 어쩌면 동시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점은 판단력이 다소 떨어지는 아이들에게는 특히 무조건적인 수용과 행동의 반복, 그릇된 도덕성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Ⅴ. 나오는 말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와 반듀라의 관찰학습 이론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언제나 숨어있고 살아 있다. 우리는 가정에서 태어나서 자라고 성장하여 학교에서 친구들과 사회활동을 하고 발달함에 따라 항상 이러한 상황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동이 가정에서 자랄 때 부모님들이 어떠한 모습을 보여주고 반복하는 지에 따라 아동이 습득하는 도덕성과 반복하는 행동은 가정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학교에서 어떠한 친구들을 사귀고 접하는지에 따라서도 학생들의 행동과 도덕성은 달라진다. 교사의 역할 또한 학생에게 큰 영향을 끼친다. 어떠한 행동의 함양을 학생들이 하길 바랄 때에도, 어떠한 강화와 보상을 하는지 혹은 어떤 벌을 주는지에 따라 학생들에게 그것은 독특한 기억과 자극이 되며 이로 인해 행동이 증가하거나 감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스키너와 반듀라를 배우거나 공부하지 않은 모든 일반인들도 어떠한 행동을 증가시키거나 감소하게 할 때에는 적절한 보상이나 벌을 제시한다. 또, 인간은 자연스레 어떠한 모델을 선택하고 관찰하고 따라하게 된다. 이는 자연스럽고 일반적인 현상이다. 다만 여기에서 우리가 더 주의하고 고찰해야 하는 것은 이 같은 강화와 보상, 그리고 관찰을 어떻게 사용하고 이용해야만 학생들이 바른 행동과 올바른 도덕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인지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각각의 이론이 갖는 장점을 극대화 시키고 한계점과 단점은 최소화 시켜 그것을 학생들에게 제시할 때, 우리의 학생들은 보다 안정적이고 올바른 도덕관과 가치관을 갖고, 그 행동의 긍정적인 발달을 보여줄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6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