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민주주의 사회과 교육 초등사회과에서 정말로 가르쳐야 할 것은 무엇일까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 지식에 생명력 불어넣기 문제해결력의 습관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회 민주주의 사회과 교육 초등사회과에서 정말로 가르쳐야 할 것은 무엇일까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 지식에 생명력 불어넣기 문제해결력의 습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문제제기
▪ 기준은 나의 힘
▪ 기준의 구멍
▪ 기준의 한계: 파파라치, 그 밖의 세상
▪ 선택의 몫

Ⅱ이론적 탐색
▪ 합리적인 문제해결력
▪ 현 교육의 문제점: 지식과 문제해결능력에로의 단절

Ⅲ대안 탐색: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방법
▪ 교육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삶으로 보여주는 것. 함께 해보기
▪ 수업시간 배운 지식에 생명력 불어넣기
▪ 스스로 실천: 자기주도적인 문제해결의 습관화

Ⅳ초등사회과 수업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가르쳐야 할 것은..

본문내용

낙서가 사라진다. / 쓴 글이 버려질 수 있고 여전히 실천을 안 하는 사람이 있다.
주민-낙서를 하다가 걸리면 벌금을 내게 한다./돈이 아까워서 조심한다./감시하기 어렵다.
주민-cctv를 설치한다./낙서를 하지 않게 된다./ 돈이 들고 감시당하는 것 같아 기분이 나쁘다.
내가 선택한 해결방안
어머니께 부탁을 해서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주의를 주도록 건의하게 하고 나부터가 낙서를 하지 않는것이 좋을 것 같다. 그리고 그런 글을 써서 아파트에 붙여야 겠다.
실행결과
낙서가 조금 줄어든 것 같고 내가 써서 붙여놓았던 글은 누가 떼었다.
사례3
내가 정한 우리 동네의 문제점: 놀이터에 쓰레기가 많다.
해결을 위한 주변사람들의 의견
이름/장점/단점
조건희-쓰레기통을 마련한다./ 지정된 곳에 쓰레기를 버리는 습관을 기를 수 있다./ 비용이 들고 실천을 안 하는 사람이 생길 수 있다.
황예지-감시한다./무서워서 못 버린다./ 아이들이 그 놀이터를 안 갈것 같다.
아빠-놀이터 주위에 쓰레기 버리지 않도록 안내문을 설치한다./쓰레기 버리는 것이 예방되고 깨끗한 놀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스스로 지키지 않으면 효과가 적다.
배재훈-직접 줍는다./ 봉사정신을 기를 수 있다. 깨끗해 진다./ 나 이외에 다른 사람이 버릴 수 있다.
내가 선택한 해결방안
지금 바로 깨끗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내가 직접 줍는 것이다. 그리고 안내문이나 쓰레기통을 설치하도록 건의하고 그래도 안되면 강력한 방안을 생각 해 본다.
실행결과
봉투를 들고 나가서 쓰레기를 주웠다. 깨끗해졌고 며칠동안은 좀 깨끗했던 것 같다.
사례4
내가 정한 우리 동네의 문제점: 아이들이 놀이터에 쓰레기를 묻는다.
해결을 위한 주변사람들의 의견
이름/장점/단점
신연우-쓰레기통을 크게 만든다./ 쓰레기가 줄어들 수 있다./ 비용도 들고 여전히 묻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정다솔-놀이터에 모래대신 푹신푸신한 매트를 깐다./쓰레기를 묻을 수 없다./ 아이들이 모래를 가지고 놀 수 없고 비용도 든다.
한지율-쓰레기 줍는 단체를 만든다./ 놀이터가 깨끗해 진다. / 쓰레기 줍는 단체가 힘들고 버리는 사람은 계속 버릴 것이다.
엄마-아이들의 눈높이에 맞게 캐릭터 쓰레기통을 설치한다./ 캐릭터를 보려고 그곳에 가다가 쓰레기를 버리도록 할 수있다./ 그 캐릭터를 싫어하는 아이가 있을 수 있고
싫증난다.
아빠-cctv를 달지는 않았지만 달았다고 안내문을 쓴다./아이들이 겁나서 버리지 않는다./사실이 아님이 밝혀지면 헛수고다.
내가 선택한 해결방안
쓰레기 줍는 단체가 있으면 놀이터가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을 것 같다. 단체가 쓰레기 줍는 것을 계속보면 사람들이 미안해서라도 안 버릴 것이다.
실행결과
내가 쓰레기 줍는 단체를 결성하기는 어려워서 먼저 동생과 쓰레기 줍기위원회를 만들어서 활동했다. 그전보다 놀이터가 깨끗해졌다.
듀이는 민주주의 학습이란 지식이나 진리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문제해결에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라고 했다.
바네스는 참된 시민은 위험신호를 인식하고 두려움 없이 밝힐 수 있는 사람, 정말 위험한 것은 잘못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라고 했다.
브루너는 학습에 참여하지 않고 학습 기술과 방법을 발전시킨 사람을 보지 못했다. 문제해결 능력은 문제해결에 참여함으로써 가장 잘 배울 수 있다. 라고 했다.
이렇게 학생 스스로가 자신이 느꼈던 곤란과 연결하여 주변을 비판적으로 보며 문제를 인지하고 다양한 대안들을 생각해보고 스스로 실천해가는 과정을 통해 아이들은 비록 큰 변화나 완전한 해결은 이룰 수 없었을 지라도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해가는 방법, 실천에 따른 조그마한 변화를 엿보며 살아있는 학습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었다.
초등사회과 수업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가르쳐야 할 것은..
아주 낯익은 물체라 하더라도..그 전에는 간과되었다가 지금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중요한 것이 되는 경우
직접 관찰이 필요하다. 이와 마찬가지 원리에서 한 편으로는 관찰을 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독서와 설명을 필요로 하는 부분이 있다.
직접 관찰은 당연히 생생한 감각을 준다. 그러나 그것은 그것대로 약점을 가지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개인의 직접적인 경험이 가지고 있는 편협성을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경험을 활용하여 보완하는 능력을 습득하는 일은 교육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Dewey 1916 157-158)
문제해결의 과정에서 요구되는 열린 마음이란 명료하게 밝혀야 할 필요가 있는 장면에서 그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도록
모든 관념과 사상을 청취하려는 적극적인 욕구를 포함한다. (Dewey 1933 41-43)
듀이의 문제해결 방식은 직접 관찰과 더불어 실험, 독서와 같은 인식론적, 논리적 기준을 포괄적으로 적용해보는 과학적인 판단의 유보 과정을 거치며 오히려 자의적이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개방적 태도 강조한다. 어려움을 느끼고 문제를 인지했을지라도 아직 가치관과 지식의 체계가 정립 되어 있지 않은 아이들이 해결책을 생각 해 보는 것은 무리이며 따라서 문제들이 발생했을 때 직접적인 해결책을 제시 해 주기보다는, 서적이나 주변어른과 또래집단과의 개방적인 대화, 열린 마음을 통해 대안을 탐색해보고 검증해보면서 합리적인 해결방법을 스스로 결정해 나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아이들은 문제를 인식하며 이것이 다른 문제들과 관련된다는 것도 알게 되고 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대안을 탐색해 보면서 그것이 다수의 결론일수도 소수의 결론일수도 복합적인 결론일수도 있음을, 즉 타당한 이유를 갖고 있는 여러 가지 답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입장에 도달하는 것보다는 문제의 복합성 그 자체를 이해하게 되는 것도 실제로 더 유익하며 그 문제들을 해결 할 사람은 바로 나 자신임을 깨달아 갈 것이다.
교과서 \"안\"에 들어있는 지식을 끌어내어 \"삶\"과 연결 지어 가르치고 스스로 바로바로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지식에 생명력을 갖도록 하는 일. 그리고 반성적 문제해결이 \"습관화\"되도록 하는 일. 그것이 초등사회과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가르쳐야 할 부분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6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