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 보고서 -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 보고서 -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2. 이해조의 생애3. 신소설의 개념 및 특성4. 이해조의 작품세계와 「자유종」분석

본문내용

이해조는 당대 최고의 계몽주의자로 중세적 구소설을 국민주의에 입각한 새로운 소설로 개량해 우리 소설의 리얼리즘 발전에 있어 중대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하고, ‘동농 이해조 기념사업회’에서도 이해조 전집을 낼 계획이라고 하니 그 빛을 이제야 빛내고 있다.
부 록
- 작가 연보 - 최원식, 「이해조문학연구」, 『한국근대소설사론』, 창작과비평사, 1986. 참고.
1869년 2월 27일 종친 이철용과 청품 김씨의 장남으로 포천에서 출생. 인조의 아들 인평
대군의 10대손. 대원권의 종친 우대정책으로 가세가 불어남. 조부 재만이 대원군
의 측근으로 활동함
1883년 대원군 실각과 함께 조부 재만 처형됨.
1906년 부 철용, 사재를 들여 포천에 화야의숙 건립, 교육운동에 참여. 이해조 《소년한
반도》에 백화체 한문소설 「잠상태」연재. 계몽주의 지식으로 활동 개시.
1907년 이종일, 양기탁, 이준, 주시경 등 44명과 함께 ‘광무사’ 발기인으로 참여, 본격적으
로 애국계몽운동에 투신. 구한말 대표적 민족언론인 《제국신문》에 입사. 애국계
몽단체 ‘대한협회’에서 교육부 사무장, 평의원 역임. 《제국신문》에 「고목화」,
「빈상설」발표.
1908년 ‘기호홍학회’ 참여 평의원, 기호학교 교감, 《기호흥학회월보》편집인 역임. 그 월
보에 「윤리학」기재. 『고목화』. 『빈상설』을 단행본으로 간행. 『홍도화』,
『화성돈전』, 『철세계』, 『구마검』 간행.
1909년 「원앙도」, 「현미경」발표.
1910년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입사. 일제 강점의 와중에서 타협의 길을 선택함. 합
방 이전에 「박정화」발표, 『자유종』간행. 합방 이후에 「화세계」발표, 『만월
대』간행. 친일적 문예단체 ‘신해음사’ 발기인.
1911년 합방 이후 수년간 《매일신보》를 통해 많은 작품을 발표했으나, 예술적 성과는
오히려 퇴보함. 「월하기인」, 「화의 혈」, 「구의산」, 「소양정」을 《매일신
보》에 발표하고 『모란병』, 『쌍옥적』을 간행.
1912년 「춘외춘」, 「옥중화」, 「탄금대」, 「강상련」, 「연의 각」, 「소학령」, 「토
의 간」, 「봉선화」, 「비파성」을 잇달아 《매일신보》에 연재함. 판소리를 신
소설로 재구성하여 발표함.
1913년 『누구의 죄』간행. 매일신보를 퇴사함. 일체의 사회활동에서 은퇴. 시사금을 벗
하며 울적한 세월을 보냄.
1914년 『정선조선가곡』을 신구서림에서 펴냄.
1918년 『홍장군전』, 『한씨보응록』을 오거서창에서 발간.
1919년 부친상을 당함.
1920년 친일 유생단체인 ‘대동사문회’에 관여, 보수적 유생으로 퇴행.
1921년 친일유생단체 유도진흥회의 기관지 《유도》창간호에 「온고지이신」이란 글 발
표.
1922년 『구미호』를 덕흥서림에서 발간.
1925년 『강명화실기』를 회동서관에서 발간.
1927년 포천 향리에서 죽음.
- 작품 연보 - 차옥덕, 「<自由種>에 나타난 페미니스트의식 연구」, 『성신어문학 제9집』, 돈암어문학회, 1997. 2.
pp. 74~75. 각주 참고.
※ 그의 작품세계는 크게 두 흐름으로 나눌 수 있다.
<애국 계몽기>
1. 잠상태, 소년 한반도, 1906. 11~1907. 4, 미완의 한문소설
2. 고목화, 제국신문, 1907. 6~10, 박문서관, 1908.
3. 빈상설, 제국신문, 1907. 10
4. 홍도화(上), 유일서관, 1908.
5. 화성돈전, 1908. 11, 번역문학.
6. 철세계, 1908. 11, 번역소설.
7. 구마검, 대한서림, 1908. 12.
8. 원앙도, 중앙서관, 1909.
9. 현미경, 대한민보, 1909. 6~7, 단편소설.
10. 박정화(산천초목), 대한민보, 1910. 3~5, 유일서관, 1912. 1.
11. 홍도화(下), 유일서관, 1910. 5.
12. 자유종, 광학서관, 1910. 7.
<식민지 시대>
13. 화세계, 매일신보, 1910. 10~1911. 1, 동양서원.
14. 만월대, 동양서관, 1910. 12.
15. 월하가인, 매일신보, 1910. 1~4., 보급서관, 1911.
16. 모란병, 박문서관, 1911. 4.
17. 화의 혈, 매일신보, 1911. 4~6, 보급서관, 1912.
18. 구의산, 매일신보, 1911. 6~9, 신구서림, 1912.
19. 소양정, 매일신보, 1911. 9~12, 신구서림, 1912.
20. 쌍옥정, 보급서관, 1911. 12.
21. 춘외춘, 매일신보, 1912. 1~3, 신구서림, 1912.
22. 옥중화, 매일신보, 1912. 1~3, 보급서관, 1912.
23. 탄금대, 매일신보, 1912. 3~5, 신구서림, 1912.
24. 봉선화, 매일신보, 1912. 7~11, 신구서림, 1913.
25. 우중행인, 매일신보, 1913. 2~5, 신구서림, 1913.
26. 누구의 죄, 보급서관, 1913, 번역소설.
27. 정선 조선 가곡, 신구서림, 1914.
28. 홍장군전, 오거서창, 1918, 역사소설.
29. 한씨보웅록, 오거서창, 1918, 역사소설.
30. 구미호, 덕흥서림, 1922.
31. 강명화실기, 1925.
※ 참고문헌 ※
고영학, 『개화기소설의 구조연구』, 청운, 2001.
김성렬, 「이해조 신소설의 재평가 - 소설미학적 성취와 한계 및 그 연원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어문 제39집』, 국제어문학회, 2007. 4.
이용남, 『李海朝와 그의 作品世界 : 新小說의 葛藤樣相硏究』, 동성사, 1986.
이해조, 「자유종」, 『한국소설문학대계 1』, 두산동아, 1996.
설성경, 『신소설 연구』, 새문사, 2005.
차옥덕, 「<自由種>에 나타난 페미니스트의식 연구」, 『성신어문학 제9집』, 돈암어문학회, 1997. 2.
최원식, 「이해조문학연구」, 『한국근대소설사론』, 창작과비평사, 1986.
최성윤, 「이해조의 「자유종」에 나타나는 교육구국론의 의미와 한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11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1, 6.
이재선, 「한국개화기소설연구」, 일조각, 1972.
조동일,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한국문화연구소, 1973.
송민호, 「한국개화기소설의 사적연구」, 일지사, 1975.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3.14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01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