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곡(文谷) 김규동론 - 작가의 생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곡(文谷) 김규동론 - 작가의 생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작가의 생애와 문학 활동
Ⅱ. 작가의 작품경향과 문학적 특성
Ⅲ. 시론 - 『새로운 시론』(1959) 중심으로
Ⅳ. 문학사적 의의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바탕으로 한 그의 ‘과학적 시학’은 ‘지성’에 의거하여 ‘제작’된 주지적 방법의 시를 지향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2. 추상적 심상
그의 시론은 정신적 지향에 있어서는 당대의 현실을 비판적 지성의 눈으로 직시하고, 그 현실이 빚어내는 혼동과 무질서의 현상들을 뚫고 나갈 수 있는 정신적 질서의 세계를 탐색하였지만, 그것을 구현하기 위한 시적 방법론의 측면에서는 ‘추상적 심상’이라 할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이고 의미지향적인 이미지의 기능을 강조했다. 이는 시인 내면의식의 형성과정과 그 논리를 언어화하는 방법적 접근을 통해 초현실적이고 신즉물주의 <문학> 1920년대 후반에 독일에서 일어난 예술 운동. 표현주의에 반대하면서, 주관적·환상적인 경향을 배제하고 사물에 대한 냉정한 관찰과 정확한 묘사를 강조하였다. 케스트너, 그로스가 대표적 인물이다. ≒신객관주의·신현실주의.
적인 시형의 산출을 모색하려 한 것이다.
⇒ 이처럼 김규동이 구성적, 공간적 즉물적인 것에서 시의 현대성을 찾고자 한 것은 무엇보다 변화무쌍하게 진보하는 현대사회의 현실을 따라잡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자신의 과학적 시학을 현실의 재구성 혹은 재생산을 위한 이론적 토대로 삼고자한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김규동이 이 시기 전개한 모더니즘 시론의 요체는 심상미학의 정립을 통한 모더니즘시의 개혁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에 있다고 할 수 있다.
Ⅳ. 문학사적 의의
첫째, 1950년대 김규동의 시들은 모더니즘적 특성과 함께 외세와 매판이 결탁하여 왜곡된 전후의 현실에 대한 비판과 절정의 목소리로 새로운 인식을 유도했다. 이는 그의 시에서 전후의 황폐한 풍경 및 전쟁이 당시 국민들에게 안겨준 내면적 상처 등을 진솔하고 감동 깊게 형상화한 방식으로 드러난다.
둘째, 1970년대 이후 그의 시세계는 실향민으로서 남한 사회의 주류에서 소외된 소수자로 살아온 그지만, 소수자가 내는 곧은 목소리, 실천이 담보된 행동만이 역사를 바꿔놓는 원동력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절실한 체험에 입각한 분단의 아픔과 통일에의 염원을 시로 형상화 하였다.
참고문헌
김경복(1992), ‘195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론 연구’, 한국문학논총
윤여탁(1997), ‘1950년대 모더니스트의 자기모색 -김규동의 경우-’, 서울대학교사범대학국어교육과
간호배(2002), ‘『후반기』동인의 시에 나타난 모더니티 연구’, 중한인문과학연구회
문혜원(2004), ‘전후 주지주의 시론 연구- 김규동, 문덕수, 송욱의 시론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김학동 외 9인(2005), 『한국 전후 문제시인연구 04』 , 예림기획
박몽구(2006), ‘모더니티와 비판 정신의 지평 김규동론-’, 한중인문학회
한강희(2006), ‘분열과 부정에서 통일 염원에 이르는 도정 - 김규동론’, 현대문학이론학회
김규동(2011), 『나는 시인이다』, 바이북스
맹문재(2012), 『김규동 깊이 읽기』, 푸른사상
류병곤(2013), ‘김규동 시의 변모과정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14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05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