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생활주기별 정신건강(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중장년기 노년기의 정신건강 문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생활주기별 정신건강(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중장년기 노년기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족생활주기별 정신건강

I. 영유아기의 가족관계
1. 영아기
2. 유아기
3. 주요 정신건강문제

II. 아동기의 가족관계
1. 아동기
2. 주요 정신건강문제

III. 청소년기의 가족관계
1. 청소년기
2. 주요 정신건강문제

IV. 중장년기의 가족관계
1. 장년기
2. 중년기
3. 주요 정신건강문제

V. 노년기의 가족관계
1. 노년기
2. 주요 정신건강문제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식 간의 가족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셋째, 자녀양육으로, 결혼하여 자녀를 낳아 키우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양육 스트레스란 부모로서 역할부담에서 오는 내적 긴장이나 자녀양육과 관련하여 증가된 가사노동이나 통제하기 힘든 자녀의 행동 등으로 인해 부모가 인지하게 되는 부담감 등을 말한다.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에게서 양육 스트레스가 높으며, 자녀 발달과정에서 오는 행동과 문제행동, 자신의 역할에 대한 감정이나 생각, 배우자의 지원 부족 등으로 양육 스트레스는 가증된다.
넷째, 직무 스트레스로, 장년기와 중년기에는 활발한 사회활동을 하면서 경제적인 소득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정체성을 찾기도 한다. 하지만 직장생활을 하면서 직장상사와 동료와의 갈등, 과다한 업무 스트레스, 직업 환경의 부적절한 요소와 처우개선 부족 등으로 직무 스트레스가 발생하게 된다.
다섯째, 실직 및 정년퇴직으로, 직장생활을 하면서 본인의 의지 또는 타의에 의해 직장을 그만두게 된다. 특히 정규직의 조기퇴사, 계약직, 시간직 등으로 인해 실직을 하게 되면 경제적인 어려움과 동시에 실직에 따른 심리적 정서적 어려움을 호소하게 된다. 또한 직장생활을 하다가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에 정년퇴직을 하게 되는데, 이때 자녀는 20대 중반이나 30대인 경우가 많은데 자녀가 결혼하기 전까지 그리고 수명이 증가되면서 죽음을 맞이하는 시기까지 소요되는 경제적인 부분을 고려할 때, 지금의 정년퇴직시기는 매우 빠르다는 의견이 많다. 이런 점에서 정년퇴직의 시기를 늦춰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V. 노년기의 가족관계
1. 노년기
노년기(65세 이상)는 신체적 노화현상과 감각기능의 쇠퇴, 기억력 감퇴가 이루어진다. 이 시기는 직장생활의 은퇴로 경제적 소득활동보다는 소비활동에 초점을 두고 은퇴 이후의 생활에 적응해야 하며, 직장생활로 인해 참여하지 못했던 관계형성에 관심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손)자녀와의 관계, 친구들과의 모임, 취미(여행, 등산 등)생활을 시작하는 등 새로운 여가활동에 관심을 갖는다. 이처럼 인간관계의 형성을 위해 노력하면서 동시에 배우자의 죽음에 대해 적응과 수용을 위한 준비를 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최근 미국 워싱턴대학교 건강측정평가연구소(IHME)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평균 79.7세이지만 건강수명은 70.3세라고 언급하였다.
즉, 9.4년 동안은 각종 질병 등에 시달리다가 숨을 거둔다는 해석이 된다. 따라서 노년기에는 건강수명을 높이기 위한 질병예방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노년기의 부부관계는 자녀에 대한 관심보다 배우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부모로부터 분리된 자녀와, 비슷한 연령대에 있는 친구들의 죽음으로 자신과 함께 거주한 기간이 긴 배우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생의 반려자로서 소중히 하게 되고 서로 의지하면서 도움을 주고받는다.
실제로 장애인 가족과 치매노인 가족을 대상으로 주 돌봄자가 누구인지 조사하면 '배우자'인 경우가 높다는 점에서 결혼을 하면서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인생의 동반자로 매우 소중히 생각해야 할 대상이 바로 '배우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배우자가 얼마나 소중한지 인식하지 못한 채 외도와 폭력 그리고 의사소통의 부재 등으로 이혼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배우자와의 사별은 살아남은 배우자에게 가장 심각한 외상 후 스트레스를 주게 되며, 우울증, 죄의식, 괴로움 등을 경험하게 되면서 자살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는 점에서 가족구성원의 관심이 요구된다.
노년기의 형제-자매관계는 자신의 가족이라는 점에서 서로에게 정서적 지지와 도움을 주므로 자녀들은 노년기에 있는 부모의 형제-자매관계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면 매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노년기는 자녀에게 경제적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으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려고 노력하지만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것은 자녀를 양육하고 사회구성원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노력한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남은 것이 없을수록, 노화가 심해 질병이 깊을수록 그런 경우가 않고 이로 인해 갈등관계가 만들어지게 되어 최근 자녀에게 피해를 줄까봐 자살을 선택하는 부모가 있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관심도 요구된다.
2. 주요 정신건강문제
노년기에 가장 많이 제기되는 정신건강문제는 노인우울증과 치매, 자살 등이 있다.
첫째, 신체적 질병과 기능, 역할 상실 그리고 배우자와의 사별 등과 같은 생활사건, 부족한 사회적 지지와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심리적 정서적인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면서 우울증을 않고 있다.
둘째,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를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는 뇌의 병변에 의하여 기억력, 언어, 지적인 능력, 기타 능력들이 점진적으로 쇠퇴해가는 진행성 뇌장애이다. 치매는 알츠하이머형 치매, 혈관성 치매, 파킨슨병, 루이소체 치매 등이 있다.
치매환자는 2024년 100만 명을 넘는 등 20년마다 두 배씩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치매환자뿐만 아니라 치매노인과 함께하고 있는 가정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요구되며, 현재 주 돌봄자가 배우자와 며느리인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이들에 대한 관심도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치매관련 기관이 많이 만들어지면서 치매관련 전문가 양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노인자살로 우리 사회에서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의 자살도 증가하고 있다. 노인자살의 주요 원인은 경제적 빈곤과 신체적 질병, 사회적 고립 때문으로 노인자살 예방을 위한 사회적 관심이 요구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가격3,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03.21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09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