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과 양명학 (발생배경 주요학자들 대학 논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리학과 양명학 (발생배경 주요학자들 대학 논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성리학과 양명학의 발생배경
Ⅱ. 송대의 주요 학자들
Ⅲ. 성리학의 특징
Ⅳ. 양명학의 특징
Ⅴ. ⟪大學⟫을 둘러싼 논쟁
Ⅵ. 나오는 말

본문내용

” 傳習錄 上, 1조목: 愛問 在親民 朱子謂當作新民 後章作新民文之 似亦有據 先生以爲宜從舊本作親民 亦有所據否 先生曰 作新民之新 是自新之民 與在新民之新不同 此豈足爲據 作字與親字相對 然非親字義 下面治國平天下處 皆於新字無發明 如云君子賢其賢而親其親 小人樂其樂而利其利 如保赤子 民之所好好之 民之所惡惡之 此之謂民之父母之類 皆是親字意 親民猶孟子親親仁民之謂 親之卽仁之也 百姓不親 舜使契爲司徒 敬敷五敎 所以親之也 堯典克明峻德 便是明明德 以親九族至平章協和 便是親民 便是明明德於天下 又如孔子言修己以安百姓 修己便是明明德 安百姓便是親民 說親民便是兼敎養意 說新民便覺偏了.
2) 보망장에 대한 논쟁
주희가 수정하고 보완한 대학은 격물치지 부분을 보완하였다. 이것은 ‘격물치지’로부터 평천하에 이른 수양과 행위의 논리를 명실상부하게 그 첫 머리에 놓여있는 격물치지를 바라보고자 하는 의도가 바탕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반면 왕양명은 ‘성의’의 개념을 근간으로 대학을 이해하고 있다. 주희의 격물치지는 “사물의 이치를 관찰하는 것(격물)”을 통하여 “지식을 확장한다(치지)”를 지니고 있으며, 왕양명에게 있어서 양능은 마음속에 내재하고 있는 이치가 아니라 이치를 드러낼 수 있는 능력이었다. 그가 이해하는 ‘격물’은 사물의 이치를 바르게 만드는 것이었다. 박상환, 고쳐읽는 중국철학 이야기, 서울: 도서출판 상, 2011. 129~131쪽 참조.
Ⅵ. 나오는 말
신유학은 기존의 선진 유학의 사상을 새로이 리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도·불의 사상에 대항할 수 있었다. 인간의 도덕성을 사상긔 기초로 삼고 있는 송·명 리학을 통하여 중국은 다시 공·맹의 사상을 이어받으며 전대의 유학과는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 성리학과 양명학은 무엇을 理로 보는가에 있어서는 각기 성과 심을 말하지만, 근원자를 말하는데 있어서는 리를 공통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성리학과 양명학은 정반대의 대립개념으로서 이해하는 것 보다는 각도가 다른 사선의 방향으로 있다고 이해하는 것이 나을 듯하다. 이런 신유학을 통하여 중국은 후에 새로운 사상이 성립하고, 발전하는 모태가 되었으며, 현재의 중국 뿐 아니라 한국 및 동아시아의 보편적 윤리의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論語
中庸
孟子
浙江出版聯合集團, 王陽明全集, 杭州: 浙江古籍出版社, 2010.
陳榮捷, 王陽明 傳習錄詳註集評, 上海: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9.
王明, 정인재ㆍ한정길 역, 傳習錄 1,2권, 고양: 청계출판사, 2001.
단행본
박상환, 고쳐읽는 중국철학 이야기, 서울: 도서출판 상, 2011.
안은수, 정이,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2.
陳來, 전병욱 역, 양명철학, 서울: 예문서원, 2012.
陳來, 안재호 역, 송명 성리학, 서울: 예문서원, 1997.
陳來, 이종란 외 역, 주희의 철학, 서울: 예문서원, 2002.
Carsun, Chang, 이진표 옮김, 신유학사상의 전개(Ⅰ), 서울: 형설출판사, 1997.
최재목, 내 마음이 등불이다, 서울: 이학사, 2003.
함현찬, 장재,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2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23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