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 휘몰이잡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시가론 - 휘몰이잡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휘몰이잡가의 개념과 흐름
(2) 휘몰이잡가의 작품들
(3) 잡가가 앞으로 나아갈 길

본문내용

줄 아는 명창의 수도 줄어들게 되었다.
이로 인해 잡가의 명맥이 끊길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잡가는 서양의 랩에 못지않은 재미와 특성을 지닌 우리의 노래이다. 따라서 이러한 잡가만의 고유한 특성을 잘 발전시켜 대중들에게 보급한다면 다른 어떤 노래보다도 더 대중적인 노래로 가꿀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작품
<장기타령>
‘장기타령’이라 하여 장기(將棋)에 관한 사설만 있는 것이 아니고 곡의 마지막 절을 장기에 관한 사설로 엮어나가기 때문에 ‘장기타령’이라 붙여진 것이라 한다. 1~4절까지는 갈매기 날아드는 중국 오호(五湖)의 풍경, 집을 짓고 고사를 지내면서 덕담하는 내용, 육로와 수로로 제주(濟州)에 들어가 한라산을 묻는 내용, 평양 기생들의 나비춤 추는 장면을 과장하여 읊는 내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진타령장단에 얹어 부르며, 노랫말은 아래와 같다.
① 날아든다 떠든다 오호(五湖)로 날아든다.범려(范)1)는 간곳 없고 백빈주(白洲)2) 갈매기는 홍요안(紅蓼岸)3)으로 날아들고 한산사(寒山寺)4) 찬 바람에 객선(客船)이 두둥둥 에화 날아 지화자 에-※ 아하아 에- 에헤헤 에헤요 아하하 아하야 얼사함마 두 둥둥 내 사랑이로다 에-② 계명산(鷄鳴山)5) 내린 줄기 학(鶴)의 등에 터를 닦아 앞으로 열두간(十二間) 뒤로 열두간 이십사간을 지어 놓고이집 진지 삼년(三年)만에 고사(告祀) 한번을 잘 지냈더니 아들을 낳면 효자(孝子) 낳고 딸을 낳면 효녀(孝女)로다.며느리 얻으면 열녀(烈女) 얻고 말을 놓면 용마(龍馬)되고소를 놓면 약대[駱馱]로다 닭을 놓면 봉(鳳)이 되고 개를 놓면 청삽사리 네눈백이 안마당에 곤드러졌다.낯선 사람 오게 되면 커겅컹 짖는 소리 지전(紙錢) 깔죽이 물밀듯 하누나 에-※ 니나 나 에- 니나나 니나나 니나나 니나나 널 너리고 나리소사 에-③ 수로(水路)로도 천리(千里)로다. 육로(陸路)로도 천리로다.이천리 들어가서 양태 겯는 저 처자(處子)야저 산 이름이 무엇이냐 이내몸이 사주팔자(四柱八字) 기박(奇薄)하여 양태결어 한달이면 육장(六場)보아 부모봉양(父母奉養) 하느라고 그 산 이름을 몰랐더니 옛 노인(老人)이 하시기를 제주(濟州) 한라산(漢拏山)이라고 합디다. 에-※ 지화자 에- 지화자 지화자 지화자 지화자 널 너리고 나리소사 에-④ 구경을 가자 구경을 가자 평양(平壤)이 좋다니 구경을 가자.연광정(練光亭)6) 사처(私處)7)를 삼고 대동강(大洞江) 소주(燒酒)를 삼아 모란봉(牧丹峯) 곁들여 안주(按酒)를 삼고 남북촌(南北村) 한량(閑良)이 다 모였구나. 팔십명 기생(八十名妓生)이 나비춤 출 제 새 장구(杖鼓) 복판(腹板)만 콰광쾅 울려라 에-※ 아하아 에- 에헤에 에헤요 아하하 아하야얼사함마 두 둥둥 내 사랑이로다 에-④ 만첩청산(萬疊靑山) 쑥 들어가서 호양목 한가지 찍었구나 서른두 짝 장기 만들어 장기일판(將棋一版)을 두어보자. 한수 한자(漢字) 유황숙(劉皇叔)이요 초나라 초자(楚字) 조맹덕(曹孟德)이라. 이차(車) 저차 관운장(關雲長)이요 이포(包) 저포 여포(呂布)로다.코끼리 상자(象字) 조자룡(趙子龍)이요 말 마자(馬字) 마초(馬超)로다.양사(兩士)로 모사(謀士)를 삼고 오졸(五卒)로 군졸(軍卒)을 삼아 양진(兩陣)이 상접(相接)하니 적벽대전(赤壁大戰)이 예로구나. 조조(曹操)라 대패(大敗)하여 화용도(華容道)로 도망을 할 제 관운장(關雲長)의 후덕(厚德)으로 조맹덕(曹孟德)이 살아만 가노라 에-※ 지화자 에- 지화자 지화자 지화자 지화자 널 너리고 나리소사 에-
* 주석
1) 춘추시대 월(越)나라의 공신. 원왕(越王) 구천(句踐)을 도와 오왕(吳王)을 자살하게 하였다. 그러나 구천을 더 이상 섬길 수 없는 군주라고 생각하여 월나라를 버리고 제(齊)나라로 갔다. 이름을 치이자치(隋夷子皮)라 고치고, 해변(海邊)을 일구어 거부가 되었다.2) 흰 꽃 피는 섬3) 붉은 꽃 피는 여뀌 언덕4) 중국 강소성(江蘇省) 소주부(蘇州府)에 있는 유명한 절 이름5) 충북 충주시에 있는 산6) 평양 대동강변에 있는 정자(亭子)7) 개인이 거처하는 사사로운 곳
*교과서 내의 <맹꽁이타령>을 학생들에게 가르친다면
- 요점정리
·작자 : 미상
·연대 : 미상(1900년경이라고 하지만 그보다 빠를 수도 있다.)
·형식 : 서울지방 휘몰이잡가(휘몰이는 빠른 속도로 몰아간다는 뜻을 가지고 있 는데, 이러한 이유로 휘몰이잡가를 부를 때는 대개 서서 부른다.)
·성격 : 해학적, 풍자적,
·표현 : 의인, 열거, 풍자법
·주제 : 인간 세계의 갖가지 모습을 맹꽁이들에 비유해 재미있고 해학적으로 세태 를 풍자, 구한말 서민들의 생활과 애환
·특징 : 익살스러운 노랫말이 재미있고, 볶는 타령장단을 쓰나 약간의 변화를 줄 때도 있다.
·줄거리 : 훈련원의 맹꽁이는 첫 남편을 잃고 둘째 남편을 얻었더니 도둑질하다가 감옥에 가고, 광천교의 맹꽁이는 통행금지 위반으로 잡혀가며 앙탈한다. 또한 경 모궁(景慕宮)의 맹꽁이는 너무 떠들기 때문에 강감찰(姜監察)이 함을 물려 벙어리 가 되는 등 해학과 은유로 풍자한 노래이다.
- 내용 연구
·동수구문 : 시체를 내가는 문, 사구문
·선유배 : 놀잇배
·갖은 풍류(風流) 질탕(跌蕩)하고 배반(盃盤)이 낭자(狼藉)하여 : 술잔과 그릇이 어 지럽게 널려 있다는 말로 유흥이 끝난 뒤의 모습을 일컬음
·잿돈 : 재를 올릴 때 쓰는 돈. 재전(齋錢)
·서퇴 : 천천히 물러감
·순라군 : 궁중과 도성 안팎을 순찰하는 군인
·가차운 : 가까운
-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인간 세계의 갖가지 모습을 맹꽁이들에 비유해 재미있고 해학적으로 세태를 풍자했다. 장단은 볶는 타령이 중심이 되며 장형(長型) 시조형식에 시조의 창법을 쓴다. 맹꽁이를 의인화하면서 맹꽁이에 대해 수식어를 붙여 노래한다. 내용을 살펴보면 훈련원의 맹꽁이는 첫 남편을 잃고 둘째 남편을 얻었더니 도둑질하다가 감옥에 가고, 광천교의 맹꽁이는 통행금지 위반으로 잡혀가며 앙탈한다. 또한 경모궁(景慕宮)의 맹꽁이는 너무 떠들기 때문에 강감찰(姜監察)이 함을 물려 벙어리가 되는 등 해학과 은유로 풍자한 노래로 당대 서민들의 우습고도 처절한 애환이 서린 내용들을 해학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9.03.2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23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