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와논술 2) MeToo 운동의 의의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상읽기와논술 2) MeToo 운동의 의의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미투 운동의 등장배경과 의의
2, 미투 운동과 미디어
3, 뉴스 프레임과 선정성
4, 성범죄 보도의 특성과 관련연구
5, 뉴스 프레임의 정의와 효과
6, 성범죄 보도의 문제점

결론

목차

본문내용

인지)에 부분적으로 일정 수준 효과를 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차이가 크게 뚜렷하지는 않으나, 전반적으로 가해자 책임귀인프레임 유형의 뉴스 기사를 접할수록 이슈의 심각성과 영향력을 강하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김윤경과 연구자들(2013년)이 유추한 바와 같이 피해자에게 책임을 전가하기보다 범죄 행위를 행한 주체에 게 사건의 책임을 돌리는 것이 수용자의 범죄에 대한 경각심과 사건 상황에 대한 비판적 사고 등을 불러일으키기 용이하다는 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성폭력이 가해자와 피해자의 권력 관계와 연관성이 있다는 점에서6) 피해자 개인이 직접적으로 통제하기 힘든 상황임을 인식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반면 선정성의 개별 효과는 이슈 심각성과 영향력 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선정적 요소의 개별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이 두 변인의 상호작용효과를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는 성범죄 보도와 같이 부정적인 소재를 다루는 뉴스 기사에서 발현되는 선정적 요소는 대체로 부정적인 감정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으며(김세중·정용국, 2014년), 본 과제에서 이슈 지각의 측정 기준으로 삼은 이슈의 영향력에 대한 측면보단 여론 갈등의 양상 등 부정적인 측면을 더욱 강하게 인지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비롯되어지는 결과로 보인다. 한편 책임귀인 프레임이 이슈의 심각성 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다양한 관련연구를 통해 논의되어 왔지만, 이에 대한 실험적인 근거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본 과제를 통해 이슈 심각성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책임귀인 프레임이 일정 수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기존의 연구가 갖던 한계를 보완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가해자 책임귀인 판단 과정에서 두 변인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책임귀인 프레임의 유형에 따라 사건 발생과 후속 결과에 대한 수용자의 책임귀인 판단 결과에 차이가 있으며, 가해자 책임귀인 프레임에 노출될수록 행위주체에 대한 책임귀인 판단에 비해 높게 나타남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는 수용자가 미투 운동에 대한 이슈를 접할 때, 사건의 원인 혹은 후속 결과에 대한 행위주체의 책임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피해자보다는 가해자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주목할 점은 각 변인이 독립적으로 작용할 경우 가해자에 대한 책임귀인 판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나, 두 변인을 동시에 적용할 경우 가해자에 대한 책임귀인 판단이 유의하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두 변인이 상호작용하면서 각 변인의 영향력이 갖는 한계를 보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데에는 실험처치물에서 다루어지는 ‘성범죄’와 ‘폭로’, ‘자살’과 같은 키워드가 행위주체의 동작과 반응에 대한 내용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즉 선정적인 요소를 통해 행위주체의 반응을 강하게 인지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로 미루어볼 때, 수용자의 책임귀인 판단이 사건 당시의 상황과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 상황에 대한 대 여론의 형성과 갈등 양상 등 사건의 전체적 맥락을 고려해 이루어진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즉 Bradbury와 Fincham(1992년)이 주장했던 바와 같이 책임귀인은 사건의 특성과 여건, 맥락을 모두 고려한 상황에서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위계질서가 강하게 작용하는 한국 사회의 특성과 성폭력이 가해자-피해자 간 권력 관계와 맞물려 피해자에게도 범죄에 대한 책임을 묻던 사회 인식과 대비되는 결과라는 점에서 성폭력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전문가가 바라본 #Me Too 운동의 의미와 향후 과제, 한국 여성 정책 연구원 성평등전략사업센터, 2018
최은경(2019), 미투 운동의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성범죄 국민 인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Me Too, 반성폭력 운동의 윤리-정치적 전>, 권김현영, 문학동네, 2018
이태민(2019), 미투 운동 보도의 책임귀인 프레임과 선정성이 이슈 지각과 판단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일반국민이 바라본 #MeToo 운동,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권재현, 미투 운동의 기원 백인여배우가 아니라 흑인 여성이 시작, 주간동아, 2018. 03. 11. [http://news.donga.com/3/all/20180311/89044722/1]
  • 가격3,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3.28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36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