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문화 )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의 공복제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복식문화 )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의 공복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구려의 공복제도

Ⅱ. 백제의 공복제도

Ⅲ. 신라의 공복제도

Ⅳ. 고려의 공복제도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 사실상 관직자들 만이 아니라 향리 등 사실상 모든 지배층을 대상으로 하였다. 하지만 아직 관계와 관직이 동시에 공복 착용 기준으로 적용되어 공복 착용 상에 혼란한 상황이 있었던 것으로 예상 된다.
성종대에 들어서 고려의 관제는 대대적으로 변하여 중서문하성, 상서성, 6부로 대표되는 중앙관서가 등장하고 지방관이 파견되었다. 그에 따라 공복의 기준이었던 기존의 관계와 관직에도 변화가 발생하였다.
현종대 장리 공복이 개정되는 가운데 자색, 비색, 녹색의 3색으로 정리되고 단색이 사라진 것이다. 이는 성종대 관제 개편에 따라 향리의 공복만이 아니라 공복제가 자색, 비색, 녹색의 3색 공복제로 개정되었다고 판단된다.
문종 이후 고려는 예제를 강조하면서 정치 및 사회질서의 회복을 도모하였다. 성종대 이래 3색으로 운영되던 복색은 공복제의 표준으로 남게 되었고 3색의 구별은 인종대 고려에 온 서긍의 견문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즉, 4품 이상, 상참 6품 이상, 9품 이상의 셋으로 나누어 3색의 공복을 입었다는 것이다. 복색에 따라 서긍이 진술한 관직들은 대체로 의종대의 공복 규정과도 대부분 부합함이 확인되는데 이런 구조를 서긍은 고려의 공복제가 송의 것을 모방했기 때문이라 평가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서긍의 말처럼 고려가 송의 제도를 모방했다고 해석하는 것 보다는 고려가 성종대 이래 ‘송제화된 당제’에 다른 관제를 수용한 결과가 공복제에 반영된 것이라는 설명이 더욱 합리적이다.
Ⅴ. 참고문헌
김보광, 『고려전기 공복제의 정비 과정에 대한 연구』, 2016.
서미영, 『백제 공복제도에 관한 연구』, 2006.
  • 가격2,1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5.19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9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