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대 중간과제 인간과 교육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의 과학적 인간관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2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대 중간과제 인간과 교육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의 과학적 인간관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인간존재의 목적
2, 인간다움의 회복3, 후기 현대철학에서의 인간성에 대한 이해 1)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
2) 아렌트, 레비나스, 롬바흐
3) 자크라캉의 욕망이론과 프로이트 4) 에리히 프롬의 소유적 실존양식과 존재적 실존양식4, 과학적 무신론시대의 부상
5, 과학적 인간관에 대한 이해6, 피아제 인지발달단계이론
1) 전조작기
2) 구체적 조작기7,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이론의 의의
8, 피아제 인지발달단계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구분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텔레비전 속 그릇에 담긴 팝콘이 텔레비전을 뒤집었을 때 엎질러진다고 생각한다. 4~5세의 경우 TV 프로그램의 현실 판단에 있어 실재 배우의 존재에 의미를 두고 실제 살아있는 배우가 나오기 때문에 등장인물의 설정된 역할에 상관없이 ‘진짜’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5~7세가 되면 아이들은 지각적 단서에 집중되어 허구의 프로그램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한다. 이와 비슷하게 Wright, Huston, Reitz, & Piemyat(19의 연구에서 5세는 비현실적이고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사건이면 현실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7세는 실제와 허구의 자극을 더 분명하게 차별화하여 뉴스가 실제 상황인지 아니면 허구인지를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아이들의 현실에 대한 인식은 주변 세계로부터 자신을 분리하고 실제와 허구를 차별하는 것을 배워가는 발달단계를 거친다. 그러나 점차현실 세계와 비슷한 영상물들을 보여줌으로서 실제와 가상을 구별을 더어렵게 만들고 있다.
④ 타율적 도덕성
타율적 도덕성이란 성인이나 신 등에 의해 만들어져 맹목적으로 따라야 하는 법이나 규칙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덕적 판단을 할 때 동기가 아닌 현재의 결과 근거하여 판단을 하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엄마를 도우려다 컵을 15개 깬 경우와 과자를 훔치려다가 컵을 1개 깬 경우의 이야기를 들려주면 전조작기의 아이는 15개를 깬 경우를 더 나쁘다고 판단을 한다(Crain, 2005, p197에서 재인용). 이러한 아이들의 도덕적 판단은 영상시청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Rosenkotter, Huston, Wright(1998)는 텔레비전 시청량에 따른 도덕적 태도와 가치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 유아의 경우 프로그램의 장르와 상관없이 시청량이 많을수록 도덕적 추론에 덜 진보적인 경향을 나타났다. 또한 텔레비전 폭력과 아이들의 도덕적 추론의 관계를 연구한 Krcmar & Valkenburg (19는 텔레비전에서의 판타지 폭력물을 많이 접한 아이일수록 도덕적 딜레마에서 폭력을 정당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어린아이들의 도덕성은 권위 있는 인물들이 제공하는 규칙, 가해자 행동의 결과와 처벌의 유무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영상 속 영웅이 행사하는 폭력은 미화되어 아이들의 도덕적 진보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2) 아이의 학습과 영상매체
Piaget에 따르면 고전적으로 학습은 자극-반응 도식(schema)에 기초한다. 여기서 도식이란 각 개인이 과거의 경험에 의해 형성한 개인의 인지구조로서 동화, 조절, 평형화 과정을 통해 발달하며, 개인이 어떤 문제나 대상에 대하여 개념화하고 판단하여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아이들은 다양한 체험을 통해 도식을 형성하는데, 영상매체는 직접 경험하고 체험할 수 없는 부분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해줌으로서 영상매체를 통해 세상을 경험하고, 세상에 대한 도식을 형성하게 된다. 영상매체는 아이들에게 세상에 대한 도식 형성에 자극을 주지만 잘못된 ‘고정관념(Stereotype)’을 심어줄 수 있다. Lippmann(1999)에 따르면 ‘고정관념(Stereotype)’은 우리가 어떠한 대상에 대한 정의나 판단을 내릴 때 속해있는 문화에서 이미 정의한 고정된 형태를 그대로 지각하려는 경향을 말한다. 우리 주변의 세상을 이해하는 데 사용하는 ‘머릿속의 그림’의 역할을 하며, 행동의 관점, 배경, 차원 등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미디어에서 나타나는 고정관념은 인종차별주의. 계급주의, 성차별, 동성애 혐오 등의 중립적이지 않은 형태를 보인다. 실제 유아용 TV 애니메이션 뽀뽀로의 성차를 분석한 김희연, 김명희(20에 따르면 애니메이션 속 캐릭터는 남성의 경우 에피소드에서 좀 더 주도적이고 반사회적이며 언어사용에서도 부정적인 어휘 사용하는 등의 특징을 보이는 반면, 여성은 의존적이고 여성성을 상징하는 색깔로 묘사되거나 장신구를 착용하는 등의 차별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화 : 이전에 확립된 도식이나 인지구조의 틀에 의거 하여 현재의 대상이나 사건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 조절 : 자신이 가진 기존의 도식이나 인지구조가 새로운 대상이나 사건을 동화하는 데 적합하지 않을 때 그 새로운 대상에 맞도록 이미 가지고 있는 도식이나 구조를 바꾸어 나가는 것 평형화 : 새로운 대상이나 사건에 대한 개인의 이해와 해석을 동화와 조절을 통해 모순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려는 것이다.
결론
교육은 인간의 성장 발달과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것 이다. 교육을 인간이 가진 잠재력의 개발로 본다면 교사는 학생의 개별적 발달단계의 특성을 파악해야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음악교육을 행하는 목 적이 인간의 음악적 잠재력을 개발하는데 있다고 한다면 음악교사는 학생의 발달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결정하고 지도방법을 개발할 필요 가 있다. 이러한 교육의 중요성은 특히 우리나라에서 크게 강조된다. 근래에 들어 예능분야에서 조기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음악교육을 시작하는 연 령이 점점 낮아지는 추세에 있다. 유아기에는 음악 감각능력이 급속히 발달하기 때문에 음악교육에 아주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므로 유아기 교육의 중요성은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유아의 발달 단계적 특성을 고려한 교육 과정과 지도방법의 개발은 필수적인 것이다. 여기에 학문적 기초를 제공해주는 것이 심리학이다. 그 중에서도 피아제 (Jean Piaget 1896-1980)를 중심으로 한 인지발달론은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 해 준다. 피아제는 생물학자요 심리학자며 교육학자다. 그는 자기자녀들을 대상으 로 성장과정에서 인지가 어떻게 발달하는가를 연구하여 아동발달 이론과 이 후 학자들의 교육의 실천적 연구에 영향을 끼친 발생적 인식론자이다. 피아제는 음악교육에도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편집부(2014), 인간과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이서규(2003), 현대철학의 이해, 건국대학교출판부
홍승식(2009), 현대철학입문, 철학과현실사조화태, 김계현 외 1명(2011), 인간과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가격5,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9.09.10
  • 저작시기201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08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