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웨이트와 카타르의 자원개발방식 비교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쿠웨이트와 카타르의 자원개발방식 비교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카타르와 쿠웨이트의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1인당 GDP 변화 그래프와 부가설명
(2000년경부터 카타르의 GDP가 급격히 성장)
- 카타르의 GDP 성장 요인은?

본론
1. 기본 용어 설명
- PSA(Production Sharing Agreement, 생산물분배협정)
- TSA(Technical Service Agreement, 기술서비스제공협정)

2. 카타르의 PSA
- 카타르의 자원 (천연가스) 개발 방식 = PSA
외국 기업들과 공동 개발 및 자원 분배
- Shell, ExxonMobil
- 외국 기업은 Shell과 ExxonMobil과 같은 IOC를 통해 간접 수주

3. 쿠웨이트의 TSA
- 쿠웨이트의 자원 (원유) 개발 방식 = TSA
외국 기업들의 기술력으로 자원 획득
- KOC(쿠웨이트 국영 원유 공사)
- 쿠웨이트는 KOC를 통한 직접 수주

4. PSA와 TSA의 공통점과 차이점
- 공통점: 지하에 매장된 석유 및 가스의 소유권이 개발회사에 속하지 않는다는 점
- 차이점: 생산물 지급의 차이점

결론
- 두 국가의 자원개발방식의 차이가 두 국가의 경제 성장률의 차이를 가져 왔으며 특히, 카타르의 PSA 자원개발방식이 카타르의 경제 성장의 원동력 중 하나이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떻게 최소화하거나 이를 사전에 방지할 것인지의 문제가 모든 자원 개발 협정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 중 하나이다.
⑥ 운영에 대한 통제와 관리
생산물 분배협정에서 개발의 운영에 관한 권한과 책임이 ‘명목적’으로는 자원보유국 또는 그 국영석유회사에 부여되지만, 실질적으로 현장에서의 일상적 운영은 개발회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 이유는 국영석유회사가 석유 및 가스전의 개발에 대한 기술력과 전체적 노하우가 부족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비록 협정서에는 국영석유회사가 운영권자로 되어 있더라도 내부를 자세히 살펴보면 결국 개발회사가 전체적인 운영을 실질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이와 달리 개발회사가 운영을 포괄적으로 책임지는 경우도 있다.
⑦ 자원 보유국 정부의 참가
대부분의 생산물 분배협정에서는 자원보유국에게 상업적 발견을 조건으로 참가할 수 있는 선택적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Ⅲ. 카타르의 PSA
1. 카타르에서 사용되는 PSA: 카타르의 생산물 분배협약이란, 점차적인 채굴권을 대체한 계약으로, Shell,이나 ExxonMobil 과 같은 IOC 메이저 급 석유회사들의 이익을 최대한 배제함과 동시에 산유국에 유리하게 체결되는 협약을 말하며, 오늘날의 카타르에서는 산유국이 채굴한 석유의 82%를 갖게 되며 석유회사가 18%를 갖게 된다.
2. 카타르의 생산물분배협약의 예
Pearl GTL은 카타르 도하의 라판 산업 도시에 위치한 세계적인 프로젝트이다.
전체적인 용량에서 작동할 때, 펄 GTL은 가스에서 액체로의 GTL 제품의 140,000 배럴을 매일 생산 할 수 있는 제품의 세계 최대의 플랜트이다. 공장은 하루 오일 120,000 배럴의 천연 가스 액체 에탄을 생산 할 수 있다.
Ⅳ. 쿠웨이트의 TSA
쿠웨이트 에서는 쿠웨이트정부가 석유분야의 개발의 모두를 소유·관리하고 있다. 또한, 총리가 회장을 맡는 최고석유심의회(SPC)가 석유분야를 감독하며 석유정책을 설정하고 있다. 천연가스 자원 및 석유 개발 프로젝트에서의 외국기업과의 생산물분배계약(PSA)의 체결을 금지하고 있으며, 곤란한 프로젝트에서의 기술서비스협정(TSA)의 체결은 허가하고 있다. 쿠웨이트석유공사(KPC)는 국내외의 석유 투자를 관리하고 있으며, 쿠웨이트는 석유와 마찬가지로 천연가스 자원의 모두를 쿠웨이트석유공사(KPC)가 소유하고 있으며, KPC의 자회사 국영석유개발(KOC)이 석유분야의 상류측 개발 · KPC의 자회사 쿠웨이트국영석유정제(KNPC)가 석유분야의 하류측 사업을 관리하고 있다. 쿠웨이트의 정유소로는 국내에 미나 알-아흐마디(46.6만bpd)정유소·미나 압둘라 정유소(27.0만bpd)·알슈아이바 정유소(20.0aksbpd)의 3곳의 정유소가 있으며 원유 정제능력 합계는 93.6만bpd이다. 이들 정유소는 모두 쿠웨이트시티의 남쪽 및 50㎞이내의 페르시아만 연안에 위치하여 쿠웨이트국영석유정제(KNPC)가 소유·운전하고 있다.
Ⅴ. PSA와 TSA의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 서비스 제공계약과 생산물 분배협정은 지하에 매장된 석유 및 가스의 소유권이 개발회사에 속하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중요한 공통점이다. 자원 민족주의의 영향에 의해 석유나 가스는 자원보유국의 절대적 소유이므로 그 개발과 처분이 자원보유국의 결정에 따라야 한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서비스 제공계약과 생산물 분배협정은 그 정치적 목적 실현을 위한 계약적 수단으로 발생되었고 그 목적에 맞게 기능을 수행해 오고 있다.
차이점: 이런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제공계약에서는 서비스제공의 대가로 생산된 석유나 가스가 아닌 대금을 지급받는 반면, 생산물분배협정에서는 생산물 자체로 지급받는다는 점에 가장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동시에 서비스 제공계약은 생산물 분배협정보다 훨씬 강화된 자원보유국의 통제가 이루어지며, 서비스 제공계약에서는 생산에 필요한 시설 및 자산도 그 설치 또는 건축과 동시에 자원보유국에게 귀속되도록 하고 있다. 즉 서비스 제공계약은 자원보유국의 입장이 가장 많이 반영된 형태의 개발협정인 것이다.
결 론
위의 내용을 살펴보았을 때, TSA방식과 PSA방식이 쿠웨이트와 카타르의 경제 성장에 커다란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나 이것만이 그 두 국가의 경제성장을 주도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카타르는 자원개발방식에서 PSA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괄목할 만한 성장률을 기록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2008년 말 리먼브라더스 사태로 인해 두 국가가 각 경제에 충격을 받은 것과 2006년 카타르 도하 올림픽 유치로 인한 경제 성장의 차이를 보여준 것 또한 이 두 국가의 커다란 경제 변화를 가져온 요인이라 볼 수 있다.
우리 조가 강조하고자 하는 점은 두 국가의 자원개발방식의 차이가 두 국가의 경제 성장률의 차이를 가져 왔으며 특히, 카타르의 PSA 자원개발방식이 카타르의 경제 성장의 원동력 중 하나라는 점이다.
참고문헌
일본 석유에너지 기술 센터
http://blog.daum.net/graedos/7369048
글로벌 파이넨스, 쿠웨이트 리포트
논문: Variance Analysis of GDP for GCC Countries by M. Shafiqur Rahman
논문: Kuwait’s O&G Contractual Framework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Natural Gas Industry by Alexandro Bacci 2011
http://www.industriesqatar.com.qa/IQ/IQ.nsf/1b062ad0012c89ef4325723d0021a7d5/c7f6a16bd7bb05924325737d0025046d/$FILE/IQ%20PUB%20UNK%20010101%20Eng.pdf Research Profile, State of Qatar
논문: Production Sharing Agreement by Central Bank of Russia 2011
논문: 석유 가스 전 개발에서의 생산물 분배협정 저: 류권홍
외교통상부: 최근쿠웨이트 주요 프로젝트 동향
외교 통상부: 카타르 경제 동향
- http://prezi.com/lsmkvxapkfo_/_tsa_psa/

키워드

중동,   쿠웨이트,   카타르,   자원,   석유,   가스
  • 가격1,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12.30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13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