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모로코 정치 사회 연구 레포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모로코 정치 사회 연구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사우디아라비아

1.1 사우디아라비아 국가배경
1.1.1 국가개괄
1.1.2 사우디왕정과 와하비즘
1.1.3 사우디왕정과 부족주의

1.2 사우디왕정의 정치체제

1.3 사우디왕정의 특징
1.3.1 사우디 왕정의 정부형태와 주요조직
a. Royal family
b. 정부형태와 주요조직
1.3.2 사우디 왕정과 국내정치
a. 파이잘 국왕 이전 국내정치
b. 파이잘 국왕 이후 국내정치
1.3.3 사우디 왕정과 개혁세력
a. 개혁세력
b. 과격 이슬람세력
1.3.4 사우디의 대외정책


제 2 장 바레인

2.1 바레인 정치체제 및 사회
2.1.1 바레인의 국가배경
2.1.2 역사 및 정치. 사회적 특징

제 3 장 모로코
3.1 모로코의 국가배경
3.1.1 모로코 개관
3.1.2 모로코 약사

3.2 모로코 왕정의 정치체제
3.2.1 왕정체제
a.모로코 왕정체제의 기원
b.알라위트(Alaouite) 왕조 구축 이후
c.왕의 권한
3.2.2 정치제도
a.모로코의 의회
b.모로코의 정당제도
3.2.3 대외정책

제 4 장 세 국가 간의 정치. 체제적 특징

4.1 세 국가 간의 정치적 공통점과 차이점
4.1.1 공통점
4.1.2 차이점

4.2 향후전망

제 5 장 결론

본문내용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양 종파 간 사회적 지위의 고착화와 신분 변화 가능성의 희박 그리고 양 종파 간 갈등의 장기화 가능성은 바레인의 국가적 불안정을 초래하는 가장 첫 번째 요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바레인에서는 1990년대 이전까지 시아파에 의한 과격 활동이 빈번히 목격되었다. 이후 시아파 소요와 시위는 2011년 2월 이전까지 다소 소강상태를 보였다가 최근 아랍 민주화운동의 영향으로 다시 거세지고 있다.
<모로코>
민주화 전망에 관해 모로코의 경우 현재까지는 대중의 불만이 왕실에 대한 공격으로 표출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주변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사회 전반에 확산된 부패 문제, 취업 전망의 상실, 자유의 억압으로 인해 절망에 빠진 청년들이 행동에 나설 가능성은 높다. 게다가 종족적으로 주변국들에 비해 더 다원적인 모로코의 경우 종족갈등이 분출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영토가 길게 뻗은 지리적인 요인 등으로 인해 지역의 자율성이 큰 편이라 튀니지와 같이 소외받은 지역에서의 갈등이 분출할 가능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
제 5 장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왕정국가(사우디, 바레인, 모로코)의 지도층은 대체로 반사회주의를 표방하지만, 국가 경제는 정부의 절대적인 주도하에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석유 왕정국가인 사우디와 바레인은 본래 부족 기반의 사회로 근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도 여전히 부족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었고, 타 부족과의 세력 다툼을 통해 가장 막강한 부족이 현재의 왕실을 형성했다.
국가의 요직은 국왕의 출신 가문 인사들이 차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왕실은 사실상 국가와 동의어라 할 수 있었다. 또한 석유를 통해 벌어들인 막대한 부는 왕실의 정당성을 강화해 주는 중요한 자산이었다.
시민 신화 왕정이라 지칭되는 모로코는 석유 왕정과 구조적으로 뚜렷하게 구별이 가능했다. 석유 왕정국가에 비해 부족 전통이 약해 왕실의 정통성과 정당성이 상대적으로 취약 하였다. 또한 모로코 왕실은 정부를 장악하기에 수적인 한계가 있었고, 이에 따라 기술 관료를 등용하는 등 민간인의 정치참여를 허용하였다. 제한적이지만 비교적 진보적인 개혁조치를 통해 정치적 자유화를 추구하며, 석유 왕정에 비해 자유로운 의회가 존재했다. 정치의 자유화는 인근 보수 권위주의 국가들의 정책과 대비되어 정당성이 부재한 시민 신화 왕정에 상당한 힘을 실어 주기도 하였다. 하지만 계획적인 정체성 형성과 자유화 정책을 통한 정당성 확보는 목적이 강하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자유화로 발전하기에는 적잖은 한계를 지닌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한편으론, 왕정국가라는 공통점을 지닌 사우디, 바레인, 모로코는 국가운영 방식과 사회와의 관계에 있어 배제국가와 포섭국가의 중간에 위치한다고 여겨진다.
이들은 정권 유지를 위해 강압정책과 관료적 행정기구 운영의 두 가지 방식
을 모두 사용하며, 왕정국가답게 지도층의 전통에 기반을 둔 정당성은 역사, 문화적 유산에 크게 의존한다. 즉, 왕정으로서의 전통적 정당성, 사회보조정책, 왕실 호위부대를 통해 정치적인 안정을 도모해왔던 것이다.
비록 형태상으로는 왕국(kingdom), 술탄(sultanate)등 다양한 양태를 보였지만 세습적이고 가부장적이라는 점에서는 일맥상통 하였다. 사회 및 정치에 대한 통제 정도는 국가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존재했으며, 이들 중 바레인은 사회적으로 가장 자유로운 것으로, 사우디는 가장 억압적인 나라로 판단되었다.
사실상 이들의 정치체제와 권력구조는 표면적인 동질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마다 상이한 특성과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국가를 하나의 잣대나 지표로 평가하는 것은 어려움이 따르며, 객관적으로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사회. 정치체제의 특성과 분류를 통해 국가 간의 유사성과 상이성에 대한 비교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011년 1월부터 국내외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 해 온 중동의 민주화운동과 시민혁명은 한 튀니지 젊은이의 죽음으로 시작된 민주화운동은 대부분의 아랍 국가로 도미노처럼 전파되었다. 2012년 현재, 중동 아랍 국가들의 완전한 민주주의와 자유 실현을 낙관하기에는 여전히 많은 난제들이 상존해 있다. 단순히 빵과 일자리만을 요구하는 경제적 의미뿐만 아니라 수십 년간 이어져온 고질적인 내부 문제, 장기 집권에 대한 저항운동이라는 정치적ㆍ사회적 의미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랍 지역의 민주화운동은 사회 전반에 대한 총체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례가 없는 혁명적 사건이라고 평가할 수 있으며, 이들 왕정국가들에겐 큰 위협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왕정국가 내 기득권층의 절대 권력과 각 국가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뿌리 깊은 갈등과 균열의 요인이 여전히 상존하기에 민주화운동에 성공하더라도 민주주의를 위한 절차나 협의가 매우 더디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한다.
참고문헌
1.「사우디아라비아 왕정 체제와 이슬람」, (박종평, 『중동연구』 제23권 제1호, 2004)
2.「중동사」(김정위,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7)
3.「사우디 압둘라 국왕 즉위 후 중동정치질서 변화 전망」,
(인남식, 『주요국제문제분석』, 2005)
4.「사우디아라비아 부족주의 연구」, (금상문, 『한국중동학회논총』 제27-1호, 2006)
5.「바레인의 정치, 경제적 상황과 석유산업」
(홍성민, 한국석유개발공사 『석유』 통권74호, 1997)
6.「중동사」(김정위,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7)
7.「이슬람문화사」(김정위, 문학예술사, 1985)
8.「주요 중동국가들의 정치권력구조」(황병하, 김강석, 김선하, 김화선, 최지원,
9.『경제인문사회연구회 세계지역 종합연구 협동연구총서』연구자료 11-66, 2011)
10.「북아프리카 민주화운동의 성격과 전망」
(엄한진, 『경제와사회』통권 제90호 133-165, 2011)
11.「주요 중동국가들의 정치권력구조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세계지역 종합연구 협동연구총서 연구자료(11-66호), 2011
12.「모로코의 입법체계」, 한국법제연구원, (최신)외국법제정보(2011-6호), 2011

키워드

아랍,   중동,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모로코,   정치,   사회,   연구,   과제
  • 가격2,000
  • 페이지수60페이지
  • 등록일2019.12.30
  • 저작시기201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14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