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회복지발달과 서구의 사회복지발달의 차이점에 관해서 서술하세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사회복지발달과 서구의 사회복지발달의 차이점에 관해서 서술하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구 사회복지의 발달
1. 전문 사회복지실천의 태동기(19세기 말~1900)
2. 사회복지실천의 성장기(1990~1920)
3.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직 분화기(1921~1950)
4. 전문 사회복지실천의 통합기(1951~1960)
5. 전문 사회복지실천의 발전기(1961~1990)
6. 전문 사회복지실천의 확장기(1991~)

II.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1. 외원단체의 활동과 영향
2. 제도적 발전
1) 사회복지교육의 발달
2)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3) 사회복지관의 발달
4) 사회복지전담공무원
5) 사회복지실천의 과제

* 참고문헌

본문내용

Committee of Canada) 등을 들 수 있다.
한국의 경제성장이 급성장하는 1970년대에 들어서자, 외원단체들은 서서히 사업을 종결하고 한국을 떠나기 시작했는데, 당시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수준은 수용보호 중심의 전통적 방법에서 탈피하지 못한 상태였고, 전문적 실천이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였다. 때문에 한국 자체의 사회복지실천이 모색되기 시작하면서 미국식의 전문 사회복지실천이 무비판적으로 수용되고 적용됨으로써 한국사회에 알맞은 토착적 사회복지실천 방법이 개발되지 못하였다.
2) 제도적 발전
(1) 사회복지교육의 발달
한국 최초의 사회복지교육은 1947년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 내 사회사업전공이 설치되면서부터이다. 이후 1953년 중앙신학교(현 강남대학교)에 사회사업학과가 설치되었고, 그 후 1959년에는 서울대학교 학부과정과 대학원에 사회사업학과가 설치되었다 1960년대 이후에는 전국의 여러 대학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1970년대까지는 대다수의 학과가 사회사업학과의 명칭을 사용하다가 1970년대 들어오면서 점차 사회복지학과로 개칭하게 되고, 사회복지학과가 대학에 집중적으로 설립되었다.
(2) 사회복지사 자격 제도
1970년에 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은 사회복지법인, 시설, 인력 등에 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민간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와 더불어 정부가 주관하는 공적 사회복지제도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1983년 5월에는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에 따라 그간의 \'사회복지사업종사자\'에서 \'사회복지사\'로 법적 명칭이 변경되었다. 사회복지사자격은 1997년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라 1999년 입학생부터는 새로운 사회복지사 자격제도가 적용되어 이들이 졸업하는 2003년부터 사회복지사 1급 국가자격시험이 시행되기 시작하였다. 새로운 법을 통해서 사회복지사는 세 개의 등급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 사회복지사 1급은 4년제 정규대학 및 대학원 졸업생으로 사회복지학 교육을 받고 졸업과 함께 국가자격시험에 응시해 합격한 자이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을 위하여 1996년 시행된 정신보건법에 의해 정신사회복지사가 탄생하여 지역사회 중심의 정신보건센터와 사회복귀시설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를 실천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3) 사회복지관의 발달
우리나라 최초의 사회복지관은 태화여자관이었으며, 이후 주로 외원기관에 의해 운영되어 오다가 본격적인 정부의 개입에 의해 설립된 것이 1980년대 초였다. 1983년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을 통해 사회복지관의 운영 및 설립의 근거가 마련되었고, 1989년 사회복지관 설치운영규정이 만들어지면서 정부에서는 저소득층 주민밀집지역에 사회복지관 설치를 권장하게 되었다. 이에 많은 사회복지법인, 종교단체, 학교법인에서도 사회복지관의 위탁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이후 1990년을 전후하며 사회복지관이 급속히 증가하였고 많은 사회복지인력이 사회복지관을 통해 전문가로서 역량과 기술을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기존의 사회복지서비스가 수용시설 중심으로 전개되어왔다면 이용시설인 사회복지관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사회복지관 사업의 확대는 커다란 의미를 갖는다. 즉, 지역주민과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서 사회복지실천 방법 및 기술이 보다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4)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사회복지관의 확산과 함께 1987년 7월 1일부터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에서 49명을 임용한 것을 시작으로 1991년에는 1,660명을 임용하는 등 1994년까지 모두 3,000명의 사회복지전문요원이 배치되었다. 이는 저소득층에 대한 빈곤예방 및 대상자들의 욕구충족과 사회적 자활을 지원하기 위해 사회복지행정을 전문화시키고자 한 것이다. 1999년부터 사회복지전문요원은 별정직에서 사회복지직으로 전환되었고, 사회복지전문요원에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들의 주요 업무는 국민기초생활보호대상자의 조사, 선정 등의 공공부조 업무와 지역사회의 노인, 장애인, 아동, 한부모가정 등에 대한 각종 사회복지서비스를 담당하는 것이다.
(5) 사회복지실천의 과제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전통적인 사회복지기관 이외에도 시민단체를 포함한 민간조직들의 참여가 확대되었다. 또한 지방분권화가 가속화되면서 로컬 거버넌스의 개념이 확산되고 민관협력, 파트너십, 네트워크 등이 실천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게 되었다. 1997년에는 사회복지공동모금법이 제정되었고, 기업의 사회공헌활동도 활성화되면서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등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중범위적 실천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2000년 이후 한국사회는 고령화와 고실업, 저성장과 저출산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고, 세계적인 신자유주의의 경향에 따라 사회복지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성이 크게 강조되었다. 또한 책임성에 대한 요구가 강화되면서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프로그램 기획, 평가 및 효과경과 효율성을 입증하는 조사연구가 주요한 역량으로 강조되고 있다. 최근 북한 이탈주민과 다문화가정의 증가는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임파워먼트와 문희적 다양성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사회복지실천은 관련 전문직과의 파트너십, 민간과 공공부분의 협력 속에서 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과 사회정의적 참여에 대한 요구를 강하게 받게 되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 가격3,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0.05.19
  • 저작시기2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10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