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방통대 글쓰기 기말시험] 1.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6.단락의 구조와 구성 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0년 방통대 글쓰기 기말시험] 1.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6.단락의 구조와 구성 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1) 그러고 나서(O)/그리고 나서(X)
   (2) 초생달(X)/초승달(O)
   (3) 떡볶이(O)/떡볶기(X)
   (4) 가십시오(O)/가십시요(X)
   (5) 그리이스(X)/그리스(Greece)(O)

2. 다음 밑줄 친 부분에서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1) 어제 보니까 동생이 참 잘생겼대(X)/잘생겼데(O)
   (2) 철수가 길을 가다가 차에 부딪쳤다(X)/부딪혔다(O)
   (3) 술에 크게 한번 데인(X)/덴(O) 이후에 좀 조심해서 먹고 있다
   (4) 눈에 눈곱(O)/눈꼽(X)이 끼었다고 눈살(O)/눈쌀(X)을 찌푸렸다
   (5) 어제가 어머니 사십구제(X)/사십구재(O)였어
   (6) 아이고, 놀래라(X)/놀라라(O), 왜 사람을 놀래키니(X)/놀래니(O)?
   (7) ‘예’나 ‘아니오(X)/아니요(O)’로 대답하세요.
   (8) 누구나 자신에게 걸맞은(O)/걸맞는(X) 행동을 해야 한다.

3. 다음 문장에서 단어의 쓰임에 문제가 있거나 문장성분 간의 공기관계가 적절하지 않은 것을 지적하고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올바른 문장으로 고쳐 쓰시오.
   (1) 나는 기차를 타고 시골로 가던 와중에 갑자기 초등학교 담임 선생님이 생각났다.
   (2) 그는 인간문화재인 김 선생님한테 창을 사사받았다.
   (3) 정체를 알 수 없는 일본식 영어가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한 번 더 비틀어져서 본뜻이 왜곡되는 안타까운 예가 심심찮다.
   (4) 편안하고 즐겁고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지 못하는 것은 생활 쓰레기를 늘리고 쓰레기 분리도 철저히 하지 않고 밤에 몰래 폐수를 갖다 버리고 이를 눈감아 준 개인과 기업 및 공무원들의 용서할 수 없는 비양심적인 행동 때문이다.
   (5) 환자의 인간다운 권리나 의료 사고로부터 환자를 보호하는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4. 수식의 관점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 다음 문장을 좀 더 바람직한 문장으로 고쳐 보시오.

5. 다음 논저들에 포함된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참고문헌란을 일관성 있게, 그리고 바르게 완성하시오.

6. 단락의 구조와 구성 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1) 단락의 개요
   (2) 단락의 구조와 구성방식
   (3) 단락의 구성 예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된 생각을 나타내는 글의 단위’라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제의 일부 하위 개념을 집중적으로 펼치는 일련의 문장들로 엮어진 조직체로서 그 형식이 명확히 구획된 글 속의 글’이라 할 수 있다.
한 편의 완성된 글은 여러 개의 단락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단락은 여러 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문장은 여러 개의 단어로 형성된다. 이를테면 단어들이 문법에 맞게 모여서 문장이 되고, 문장들이 유기적으로 모여서 단락이 되고, 단락들이 전체 글의 주제를 중심으로 모여서 한 편의 글이 된다. 그러므로 한 편의 글이 제대로 구성되기 위해서는 문장들을 순조롭게 연결하여 단락들을 구성해야 하고, 동시에 이것들을 체계적으로 펼쳐야 한다. 여기서 전제 조건은 단락마다 소주제가 선명하게 드러나야 한다는 점이다. 그래야만 소주제 중심의 단락들이 모였을 때 글 전체의 대주제가 독자들에게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2) 단락의 구조와 구성방식
단락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소주제문과 뒷받침 문장들로 구성된다. 맨 앞에 중심내용을 담은 소주제문이나 화제문이 나오고 이것을 상세하게 설명하거나 논증하는 뒷받침 문장들이 그 뒤에 오는 단락이 일반적인 구조이다. 정상적으로 구성되는 단락의 소주제문은 명료하면서도 간략하게 구성하여야 하며, 반드시 한 가지의 중심 생각이 담겨 있어야 한다. 곧 그 단락에서 전하려는 메시지가 뚜렷해야 하는 것이다. 만약 무슨 말을 하려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면 그것은 제대로 된 단락이 아니다.
단락은 그 형태, 곧 소주제문의 위치에 따라 두괄식 단락, 양괄식 단락, 미괄식 단락, 중괄식 단락, 무괄식 단락으로 나누어진다. 이를 다음의 표로 정리해 볼 수 있다.
두괄식 단락
단락의 앞부분에 먼저 소주제문을 제시한 후, 이어서 여러 문장들을 통하여 그것을 서술, 전개해 나가는 방식으로 논설문이나 설명문에서 많이 쓰인다.
미괄식 단락
두괄식 단락과는 반대로 먼저 일반적 문장들을 늘어놓다가 이와 연관된 소주제문을 결론식으로 제시하는 방식이다. 이는 결국 점층적 방법의 하나로 논설문, 설명문, 문예문 등에 고루 쓰인다.
양괄식 단락
두괄식에서처럼 단락의 앞부분에 소주제문을 제시하고 이어서 여러 문장들을 전개시켜 나간 후 마지막에 소주제문을 다시 한 번 제시하는 방식이다. 주제를 분명히 밝히고 강조하려고 할 때 많이 쓰인다.
중괄식 단락
소주제문을 단락의 중간 정도에 두고 앞부분에는 유도하는 문장을, 그리고 뒷부분에 다시 전개하는 문장을 두는 방식이다. 쓰기에는 편리하나 독자에게 소주제문이 뚜렷이 부각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무괄식 단락
소주제를 갖고 있는 단락이기는 하나, 소주제문을 직접 표현하지 않고 단지 뒷받침 문장들만을 늘어놓음으로써 숨겨진 소주제를 유추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객관적인 사실의 기술이나 묘사문, 서사문 등에 주로 쓰인다.
단락의 구성방식과 함께 중요한 것이 단락의 전개원리이다. 한 편의 완성된 글이 잘 쓰여졌다는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글의 주제가 선명하게 드러나야 한다. 자신의 생각과 주장과 정보를 남에게 전달하고 설득하기 위해 글을 쓰는 것이므로 필자의 중심생각이 온전히 전달되지 않는 글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글을 이루고 있는 단락 하나하나를 체계적으로 작성해야 하는데 바로 이때 단락의 전개원리가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단락의 전개원리는 통일성의 원리(The principle of unity), 연결성의 원리(The principle of coherence) 및 강조성의 원리(The principle of emphasis) 등의 세 가지가 있다. 이는 전통적으로 레토릭의 3대 원리라고 지칭되어 오던 것으로서 모든 글을 짓는 데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다. 단락의 경우에도 이 세 가지 원리는 그대로 적용된다. 글을 전개한다는 것은 사실상 각 단락을 펼치는 것이기 때문이다.
(3) 단락의 구성 예문
① 시립대학은 완전히 초만원이다.(소주제문) ② 공간이 부족하다는 것은 캠퍼스의 어느 곳에서나 쉽게 발견할 수 있다. ③ 강의실은 꽉 차서 학생들은 통조림 속의 생선 모양 같다. ④ 그들 중의 일부는 마룻바닥에 앉아서 강의를 들어야 한다. ⑤ 많은 학생들이 복도와 층계에 서서 공부를 할 정도로 도서관과 연구실은 빽빽하게 들어차 있다. ⑥ 학생들이 배가 고프거나 입맛을 잃었을 때 찾곤 하는 구내식당은 흡사 배불뚝이의 배처럼 금방 미어터질 정도로 붐빈다. ⑦ 캠퍼스는 어느 곳이나 초만원이어서 학문 탐구의 전당이라기보다는 싸구려 시장 같다. (②~⑦은 뒷받침문장들)
① 사람은 꿈이 있어야 한다.(소주제문) ② 왜냐 하면 큰 꿈이 있어야 현재의 행동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③ 다시 말하면 꿈은 인생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다. ④ 곧 단계별로 작은 목표를 세워 차근차근 달성해 큰 꿈에 가까이 가는 것이다. ⑤ 이 과정에서 인간은 성취감을 맛보며, 이 성취감이 곧 그 다음 목표를 향한 에너지로 작용한다. ⑥ 그래서 인생의 목표가 확실한 사람은 불분명한 사람에 비해 성공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 (②~⑥은 뒷받침문장들)
위의 두 단락에서 첫 번째 문장은 각각 중심 생각을 나타낸 소주제문이다. 두 번째부터 마지막 문장은 소주제문에 대해 부연설명을 하는 뒷받침문장들이다. 모름지기 한 단락은 이처럼 소주제문과 뒷받침문장들로 구성되는 것이다. 맨 앞에 중심내용을 담은 소주제문이나 화제문이 나오고 이것을 상세하게 설명하거나 논증하는 뒷받침문장들이 그 뒤에 오는 것이다.
7. 참고 문헌
1) 고성환ㆍ이상진(2019), 글쓰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 박수진ㆍ배혜진 외 3명(2019), 창의적 글쓰기, 소소담담
3) 네이버 국어사전, https://ko.dict.naver.com
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5) 나무위키, https://namu.wiki/w/국어사전
6)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44387
  • 가격4,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0.06.15
  • 저작시기2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24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