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 임상영양학)2018 국민건강통계를 참고하여 최근 (2018년) 19세 이상 성인의 성별 연령별 비만 유병률을 조사하여 제시 체질량지수 계산 방법 비만 진단기준 허리둘레를 이용한 복부비만 기준.good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 임상영양학)2018 국민건강통계를 참고하여 최근 (2018년) 19세 이상 성인의 성별 연령별 비만 유병률을 조사하여 제시 체질량지수 계산 방법 비만 진단기준 허리둘레를 이용한 복부비만 기준.good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2018 국민건강통계’를 참고하여 최근 (2018년) 19세 이상 성인의 성별, 연령별 비만 유병률을 조사하여 제시하시오.
(2)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체질량지수를 이용한 한국 성인의 비만 진단기준을 제시하시오. 또한, 본인 (또는 지인)의 체질량지수를 계산하여 (계산식과 값을 모두 제시할 것) 비만 여부를 판정하시오.
(3) 대한비만학회의 허리둘레를 이용한 복부비만의 기준을 찾아 제시하시오. 또한, 줄자를 이용하여 본인 (또는 지인)의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복부비만 여부를 판정하시오.
(4) 허리둘레 측정 시 어려웠던 부분을 기술하시오.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숨을 편안히 내쉰 상태에서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이때 측정 위치는 갈비뼈 가장 아래 위치와 골반의 가장 높은 위치(장골능)의 중간부위이다. 측정 시에는 줄자가 연부조직에 압력을 주지 않을 정도로 느슨하게 하여 0.1 cm까지 측정한다. 심한 비만인 경우나 출산 혹은 폐경 후 여성은 피하지방이 과도하여 허리와 겹쳐져 실제보다 길게 측정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직립자세에서 피하지방을 들어 올려 측정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상의 측정법 설명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허리둘레 측정 과정이 조금은 까다로워 보인다. 허리둘레 측정이 정확해야 복부비만 진단도 정확해지므로 권고한 측정법을 준수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처음에는 어려움이 다소 있었다. 가장 아래 갈비뼈는 비교적 쉽게 그 위치를 손으로 더듬어 가며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골반이라는 용어는 익숙하지만 정확히 어느 부위를 말하는지 알지 못했다. 따라서 골반의 가장 높은 위치인 장골능을 찾기 위해서 인터넷에서 골반과 장골능을 검색해 정확한 정보를 확인한 후 골반 주위를 만지면서 결국 찾았다. 맨 아래 갈비뼈와 장골능의 중간에 줄자를 위치해 놓고 허리둘레를 측정하면서 연부조직에 최대한 압력을 주지 않기 위해 신경을 쓰는 것이 측정과정에서 마지막으로 조금 힘들었던 부분이다.
(5) 참고문헌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대한비만학회 http://general.kosso.or.kr/html/?pmode=obesityDiagnosis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0.09.16
  • 저작시기2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6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