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설론과작가 3학년] 다음 고소설의 유형 가운데 세 유형을 선택하여 그 특징, 의의 등에 관하여 서술하시오.(70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소설론과작가 3학년] 다음 고소설의 유형 가운데 세 유형을 선택하여 그 특징, 의의 등에 관하여 서술하시오.(70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전기소설
1) 전기소설의 의의
2) 전기소설의 특징

2. 군담소설
1) 군담소설의 의의
2) 군담소설의 특징

3. 애정소설
1) 애정소설의 의의
2) 애정소설의 특징

4. 세태소설
1) 세태소설의 의의
2) 세태소설의 특징

5. 판소리계소설
1) 판소리계소설의 의의
2) 판소리계소설의 특징

6. 우화소설
1) 우화소설의 의의
2) 우화소설의 특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면 지금까지는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등과 같이 판소리로 불리어지고 있는 一群의 작품에 대해 판소리계 소설이란 명칭을 부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범주에 한계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상세한 논의는 본고에서는 생략하기로 하고 가능한 본고의 주제인 풍자성에 맞추어 범주를 한정하고자 한다.
판소리계 소설의 범주를 설정하게 되는 여러 가지 근거로 설정이 되겠지만 판소리와 소설이 관련을 맺고 있는 양상에 의해 대략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과거에 판소리로 불려졌고 현재까지도 불려지고 있는 작품
둘째, 과거에는 판소리로 불려졌지만, 현재는 불려지지 않고 있는 작품
셋째, 과거에는 판소리로 불려지지 않았지만 현재 불려지고 있는 작품
첫째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토끼전>, <적벽가> 등 다섯 작품이 있다. 이들 작품을 판소리계 소설로 보는데는 이의가 없다.
둘째의 경우는 문제가 간단치 않다. <배배장전>이나 <변강쇠가>와 같이 과거에 판소리로 불려졌다는 기록과 함께 그 자료가 남아있는 경우는 여기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지만 그와는 달리 과거에 판소리로 불려졌다는 기록만 있고 그 자료가 남아 있지 않거나 자료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판소리계 소설”이라 부르는 데 주저하게 된다.
‘판소리 열 두 마당’, ‘여섯 마당’, ‘다섯 마당’이라는 말은 흔히 우리가 듣는 말이다. 이러한 것들을 정설로 인정하느냐는 차치하고라도 그 중 열 두 마당에 해당하는 작품들도 이견이 있다. 우선 일반적으로 열 작품까지는 공감하지만 나머지 두 작품을 놓고는 분분하다. 이렇게 볼 때 판소리 열두 마당이라는 것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후대 사람들에 의해 붙여진 명칭임을 알 수 있다. 이같은 이론을 배경으로 볼 때 판소리계 소설 역시“열 두 마당 외에도 더 많은 작품들이 있었으리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6. 우화소설
1) 우화소설의 의의
우화소설이란 우화의 수법을 구사한 소설로 소설 작품의 구성에서 우화(寓話)가 중심적인 기능을 할 때, 그러한 작품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우화소설은 사람이 아닌 자연물을 의인화해서 인간의 허위를 풍자하고 진실을 일깨워주는 소설이다. 인간의 심성(心性)을 비롯해서 식물을 의인화하기도 했으나 대부분의 우화소설은 동물에게 인격을 부여해서 소설화했다. 우화소설은 등장인물 및 작품의 배경을 동물과 동물세계에 비유하여 인간세계와 다를 바 없이 그려내고 있어 학습자에게 흥미를 더해 줄 뿐만 아니라, 사람을 동물로 바꾸어 놓았을 뿐 거기에 숨어있는 의도는 인간사회를 풍자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와 교훈의 이중적 효과를 줄 수 있다. 특히, 시대를 초월한 인간의 보편적 사유와 정신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고전소설에서 나타나는 주인공들의 영웅적이고 재자가인형(才子佳人型)의 전형적인 인물유형의 틀에서 벗어나 있어 학생들에게 다양한 국어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2) 우화소설의 특징
우화소설의 작품으로는 <화사>, <수성지>, <천군연의>, <천군본기>,<두껍전>, <서동지전>, <서대주전>, <서주기전> 등이 이에 해당된다. <천군연의>, <천군본기> 등은 천군소설로 그 갈래를 나눌 수도 있다. <토끼전>도 여기에 해당되나 판소리계 소설로 분류했다. 조선후기 동물우화소설 중 하나인 <서동지전>은 ‘쥐’를 주인공으로 한 대표적인 우화소설이자, 인물간의 갈등을 재판이라는 형식을 통해 풀어내는 송사소설이다. 이 소설은 조선 후기 다양한 인물 유형을 의인화함으로써 조선 전기 사회와는 다른 사회상이나 가치관의 변화를 드러내고 있다.
소설 속 등장인물의 유형 및 성격을 파악하는 것을 소설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는 우화소설이라고 예외일 수 없다. 더욱이 우화소설은 우화라는 장치를 통해 인간 세상을 이야기 하고 있기 때문에 우화에 나타나는 인물유형은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고전 소설은 인물의 성격이 결국 인물의 유형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에 인물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인물의 성격을 먼저 살펴야 한다. 인물의 성격을 파악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우선 작품의 서술자가 직접 인물의 성격을 제시해 주는 방법이다. 이는 서술자가 인물의 성격을 직접 제시해 주기 때문에, 인물의 성격을 파악하기가 쉽다. 또는 인물들의 대화와 행동을 통해 인물의 성격을 제시해 주는 방법인데 이를 간접적 제시 방법이라고 한다. 이는 인물들의 대화와 행동의 의미를 파악하고 성격을 이끌어 내야하는 방법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고소설의 유형 가운데 세 유형을 선택하여 그 특징, 의의 등에 관하여 서술해 보았다. 문학 교육이란 문학 작품을 바르게 이해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길러서 학습자가 풍부하고 다양한 문학적 체험을 하게 하고 이를 통하여 학습자의 미적 인식력과 인간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 바람직한 인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고전문학은 시대를 초월하여 가치를 인정받는 작품이며 이를 통해 당대인의 문학적 풍토와 세계관을 알 수 있다. 고전문학 작품은 문학적 감동을 줄뿐만 아니라 우리 문학의 통시적 모습을 보여주고, 조상들의 시대상과 내면세계가 반영되어 나타난다. 고전문학 교육에 있어서 전기소설(傳奇小說)은 역사적 전환기에 소설의 발생과 더불어 시작된 장르로 작품이 창작된 당시의 삶과 당대인의 가치관을 엿볼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전기소설은 남녀의 진실한 사랑을 보여줌과 함께 왜곡된 현실의 모습을 간접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부정적인 사회 현실을 고발한다. 이처럼 전기소설은 우리 서사 문학에서 소설의 성립과 관련된 장르로 국문학사적으로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서유경. 고전소설교육 탐구, 서울 : 박이정, 2002.
정상진. 한국고소설연구, 서울: 삼지원, 2000.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제이앤씨, 2008.
이상택, “한국고전소설의 이론”, 서울 : 새문사, 2003.
김광순 외, 한국고소설의 창작방법 연구, 새문사, 2005.
서강여성문학연구회. 한국문학과 환상성, 서울 : 예림기획, 2001.
  • 가격6,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0.10.31
  • 저작시기202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8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