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rle Mishel - 질병 불확실성 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Merle Mishel - 질병 불확실성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이론적 배경
2.이론의 주요 개념과 정의
3.이론의 주요가정
4.이론적 주장
5.질병 불확실성 모델
6.이론의 적용
7.이론의 평가
8.질병 불확실성 이론 관련 논문

본문내용

ventory를 So(1992)가 번안하여 사용한 34문항의 자가간호역량(Self-care Agency) 도구를 승인을 받아 사용. 본 도구는 인지적 측면, 신체적 기술, 의사결정 및 판단과정, 정보추구 행위, 자기조절에 관한 인식, 자기관리에 대한 주의력 등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1점)’에서 ‘아주 동의한다(6점)’으로 6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가간호역량이 높음을 의미. 도구 개발 당시 신뢰도 Cronbach’s α=.96, 본 연구에서는 .94였음.
건강보존: Sung(2005)이 개발한 건강보존 측정도구(Health Conservation Scale)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 총 37문항으로 구성된 4점 척도. 개인의 통합성, 에너지 보존, 구조적 통합성, 사회적 통합성 등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보존의 정도가 좋음을 의미. 도구 개발 당시 신뢰도 Cronbach’s α=.94, 본 연구에서는 .89였음.
불확실성: Mishel(1988)이 개발한 33문항의 불확실성 척도(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UIS)를 Chung, Kim, Rhee와 Do(2005)가 번안하여 수정한 도구를 사용. 자가보고형 5점척도 33문항으로 최저 33점에서 최고 165점까지의 범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불확실성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 도구 개발 당시 신뢰도 Cronbach’s α=.91~.93, 본 연구에서는 .84였음.
자료 수집
2013년 7월 1일부터 30일까지 실시. 설문조사는 연구자와 본 연구자로부터 연구에 관해 교육을 받고 연구의 내용을 충분히 숙지한 간호대학원 박사과정학생인 연구보조원 2명이 연구목적을 사전에 설명한 후 설문지를 현장에서 나눠주고 직접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으며, 시력저하로 기재가 어려운 대상자는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이 직접 설문지를 읽어주고 응답하도록 함.
자료분석
IBM SPSS Statistics 19.0 프로그램을 이용.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특성, 통증, 자가간호역량, 건강보존, 불확실성 정도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범위로 산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특성에 따른 불확실성의 차이는 one-way ANOVA와 독립 t-test로 분석하고 사후 검정분석에는 Scheffe test를 이용.
대상자의 통증, 간호간호역량, 건강보존, 불확실성과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
대상자의 불확실성과 관련 있는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156명이었으며, 연령은 60대가 가장 많았고, 종교는 불교가, 학력은 초등학교 졸업이 가장 많았다. 현재 직업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이 대부분이었고, 결혼 상태는 배우자가 있는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아플 때 도와주는 사람으로는 배우자가 도와준다가 가장 많았다. 현재 사회활동을 참여하고 있고, 한 달 용돈은 1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Table 1).
건강 특성으로 비흡연자와 비음주자가 가장 많았고, 절반정도가 운동을 한다고 응답했다. 골관절염으로 진단 받은 기간은 3년 이상 7년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절반 이상이 골관절염으로 인한 약물 복용을 하는 사람이고, 병원 방문은 통증이 있을 때 방문한다, 평소 자신의 건강에 대해 보통이다가 50.0%였으며, 건강하지않다, 건강하다, 매우건강하지않다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정도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정도의 차이는 연령, 학력, 조력자, 사회활동유무, 한 달 용돈, 운동여부, 질병의 진단 기간, 약물복용,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령에 따른 불확실성은 80대가 가장 높고, 학력에서는 무학이 불확실성이 가장 높았으며, 조력자에 따른 불확실성은 조력자가 없는 혼자의 경우가 가장 높았다. 사회활동유무의 경우 사회활동 안한다가 불확실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 달 용돈은 10만원 미만에서 불확실성이 가장 높았다(Table 1). 운동여부에서는 운동 안한다가 불확실성이 높았으며, 진단 기간에서는 3년에서 7년 미만에서 가장 높았다. 약물복용에서는 약물 복용 한다가 불확실성이 높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에서는 매우 건강하지 않다에서 불확실성이 가장 높았다(Table 2).
3. 대상자의 통증정도, 자가간호역량, 건강보존 및 불확실성의 정도
대상자의 통증정도는 통증 없음부터 참을 수 없는 통증까지 0부터 10사이의 값을 가지며 평균 5.66점이었고, 자가간호역량은 총점 204점에서 평균 143.55점으로 나타났다. 건강보존은 총점 148점에서 평균 93.84점으로 나타났으며, 불확실성은 총점 165점에서 평균 100.45점으로 나타났다(Table 3).
4.대상자의 통증정도, 자가간호역량, 건강보존, 불확실성 간의 상관관계
통증정도, 자가간호역량, 건강보존, 불확실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불확실성은 통증정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자가간호역량, 건강보존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Table 4).
5. 대상자의 불확실성 예측요인
불확실성에 예측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선택(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불확실성에 대해 건강보존, 배우자 조력, 한 달 용돈은 총 29%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중 건강보존은 17%로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Table 5).
논의

제언
골관절염 여성노인의 불확실성에 대해 건강보존, 배우자 조력, 용돈 등의 변수가 유의한 예측요인이며, 가장 높은 예측 요인은 건강보존으로 나타남. 만성질환인 골관절염 대상자가 경험하게 되는 불확실성의 예측요인을 고려하여 개인의 정서와 능력에 맞는 사회활동 참여를 적극 권장하고, 배우자나 가족지지를 대체 할 수 있는 동료지지와 사회·경제적 지지를 포함하는 건강보존 향상과 불확실성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할 것을 제언함.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0.11.18
  • 저작시기202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06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