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ricia Benner - Nursing practice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atricia Benner - Nursing practic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이론의 배경
Ⅱ. 이론의 개요
Ⅲ. 이론의 적용
Ⅳ. 이론의 평가 및 전망
Ⅴ. 베너 간호철학 적용 논문

본문내용

5~7년 미만, 적임자(competent)3~5년 미만, 상급초보자(advanced beginner)1~3년 미만, 초보자(novice)는 1년 미만으로 구분
3) 자격요건
간호사의 임상경력과 학력, 간호업무와 관련하여 이수한 전문교육과정과 국내외 전문자격 취득
4) 전문직 활동
교육자로서 프리셉터 역할, 교육자료의 개발 연구나 EBP 또는 질향상 활동 참여와 활동 후 보고서 제출 또는 발표, 할술지 게재 등
5) 임상경력관리체계
Benner가 제시한 모형을 기초로 하여 5개의 임상등급을 가지며 각 등급의 최소임상경력, 간호역량의 표준점수와 기대되는 실무수준, 필수 또는 권장 자격요건, 전문직 활동을 제시한 것
4.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병동간호사의 간호역량평가도구를 개발하여 간호역량을 평가함으로써 간호사 임상경력관리체계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2) 연구대상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하는 5개 상급종합병원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해당병동에서 3개월 이상 근무한 자 230명의 자료를 분석, 설문지 조사에 참여한 관리자는 49명의 병동관리자
3) 연구도구: 간호역량평가도구 문항 작성을 위해 간호역량 관련 선행연구와 AACN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Care Nurse), 대한간호협회 간호표준 및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을 포함하는 국내외 문헌을 참고하여 확인된 역량 목록
-임상실무(간호과정, 임상판단대처)
-윤리적 실무(환자지향성, 환자옹호)
-교육(교육제공, 교육자료개발)
-리더십(의사소통, 팀워크, 병동업무수행)
-전문성 개발(임상전문성, 연구/EBP/질향상 활동)
5개 하위영역은 11개의 세부역량과 각각의 행동진술문 5개를 가지므로 총 55개의 행동진술문으로 구성, 간호역량 수준의 총점은 11~55점
5.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0.0프로그램 이용
1)간호역량 평가도구 문항의 타당도는 I-CVI 및 S-CVI/UA, 문항의 일관성은 신뢰도 계수 Cronbach\'s alpha, 안정성은 평가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임상등급별 간호역량점수의 차이검정으로 분석
2)간호사와 간호관리자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 표준편차 또는 빈도와 백분율
3)간호역량 등급별 점수는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 간호역량의 차이는 t-test, 또는 F-test, Scheffe test로 검정. 자격요건, 전문성활동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임상등급별 차이는 x²으로 분석
4)간호역량 평가도구의 등급별 기준은 상자수염그림과 백분위수를 기준으로 기준점을 설정하고 간호역량 발전등급별 정확분류율에 따라 설정
6. 연구결과 및 제언
1)간호역량 평가도구의 개발:
타당도 I-CVI 0.96, S-CVI/Ave 0.96/신뢰도 Chronbach alpha 0.85~0.95
평가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간호사의 임상등급별 간호역량 평가 점수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평가도구의 안정성을 확인
2) 간호사, 간호관리자의 일반적 특성
연령은 평균 28.96±5.22세, 학력은 전문학사 14.6%, 학사 71.6%, 석사 이상 13.7%
임상경력은 평균 5.86±5.10년, 현부서 경력은 평균 4.53±3.70년
간호관리자 연령은 평균 47.25±4.86, 석사이상 77.6%, 학사 20.4%
간호관리자의 임상경력은 평균 25.05±4.80년, 관리자 근무경력은 9.32±5.55년
3) 임상등급별 간호역량점수
4) 임상등급별 간호사의 자격요건
5) 임상등급별 전문성 활동
전문성 활동 항목에 대하여 임상등급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프리셉터 역할과 교육자료 개발, 연구/EBP활동, 질향상 활동 등 4개 성과항목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임상등급별 간호역량의 절단값 및 표준점수 도출
7) 임상경력관리체계 모형 개발
8) 제언
⑴ 간호사 임상경력관리체계 모형의 타당성 검정을 위해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평가가 필요하다.
⑵ 간호사 임상경력관리체계의 모형을 종합병원에서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이소우, 김주현, 이병숙, 이은희, 정면숙 공저(2009). 간호이론의 이해. 수문사
조명숙, 조용애, 김경희, 권인각, 김미순, 이정림(2015). 간호사 임상경력관리체계 모형 개발 -상급종합병원 중심-.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3), 277-292
강지연(1999). Benner 간호모델의 비판적 분석. 김천과학대학 제 25집, 97-103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11.18
  • 저작시기202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0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