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운전반성문, 뺑소니교통사고 반성문, 폭행반성문, 성추행 반성문 쓰는법과 예시0k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주운전반성문, 뺑소니교통사고 반성문, 폭행반성문, 성추행 반성문 쓰는법과 예시0k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반성문에 관한 소고
1) 반성문을 쓰기 전에
2) 반드시 넣어야하는 사항
3) 적으면 안되는 사항
4) 반성문의 형식


2. 실제 제출된 반성문 예시
1) 음주운전반성문
(1) 음주운전반성문1
(2) 음주운전2
2) 뺑소니교통사고 반성문
3) 폭행반성문
4) 성추행 반성문
Ⅲ. 결 론


참고자료

없음

본문내용

은 시간에 저와 만나줬습니다. 저의 우발적인 행동으로 인하여 피해자님의 믿음을 깨뜨리게 되었고 정신적인 큰 충격을 안겨드렸습니다
정말 우리사회에서 사라져야할 범죄 상식에도 어긋나는 이른바 몰카범죄를 저질렀습니다. 저의 단 한 순간의 잘못된 선택으로 큰 수치심과 정신적인 충격을 받았을 피해자님께 정말 죄송스러운 마음뿐이고 그런짓을 저지른 제 자신에게 화도 나고 부끄러운 마음뿐입니다
그 일이 있은 후 이번 일에 대해 반성하고 큰 죄책감을 느끼며 하루하루 살아가고 있습니다. 평소 저를 믿어주시던 부모님께도 크나큰 실망을 안겨드려 아들로서 너무 죄송하고 부끄러울 따름입니다. 어릴 적부터 늘 사랑을 받고 자라오며 부모님의 기대에 부응하며 순탄하게 살아가고 있었지만 이번 일로 인해 모든 것이 무너져 버린것 같습니다.
저의 잘못된 행동으로 인하여 저의 모든 생활이 엉망이 되어버렸습니다. 지난 X월 XX일 이후 저는 현재까지도 밥도 잘 먹지못하고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며 업무중에는 일에 집중을 할수가없는 나날들을 보내고 있습니다. 하루하루 이 사건에 대한 형벌을 기다리며 커져만 가는 죄책감과 부끄러움 속에서 버티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들을 제가 지은 죄에 대한 대가라고 생각하며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존경하는 검사님 이런 말씀을 드리는 것이 너무 염치 불구함을 잘 알고있지만 부디 저에게 단 한번의 기회를 주셨으면 하고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학창시절부터 지금까지 한치의 부끄럼 없이 생활했으며 주변 지인들은 저를 착하고 친절한 사람이라고 소개해왔습니다
비록 이번일로 인해 모든것이 물거품이 돼버렸지만 제게 이번 단 한번의 기회를 주신다면 한명의 사회 구성원으로서 열심히 노력하며 열심히 살아 가겠습니다
존경하는 검사님 새로운 곳에서 새로이 일을 시작하며 꿈을 키워나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한 청년이 미래를 설계하고 꿈을 펼쳐 나아갈 기회를 부디 단 한번만 주셨으면 합니다
다시는 어떠한 죄도 짓지 않겠습니다. 지금은 비록 피의자에 불과한 저 이지만 단 한번만 믿어 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Ⅲ. 결 론
형사사건은 가해자인 피고인과 피해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좀 더 들여다보면, 밖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피고인의 선처를 바라는 가족이나 그의 지인들이 있고, 피고인에 대해 단죄와 엄벌을 바라는 피해자와 피해자의 가족들도 있다. 그리고 피고인이 저지른 범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죄가 다시는 발생되지 않기를 바라는 시민들도 있다는 점에서, 형사사건의 당사자는 정말 많다.
반성문은 죄를 지은 피고인만이 작성할 수 있는 글이라면, 탄원서는 피고인이 아닌 여러 당사자들이 작성할 수 있는 글이다. 피고인은 수사기관에서 조사를 받거나 법원에서 재판을 받으면서 형사사건에 강제적으로 참석된다. 그리고 피고인은 의견서나 진술서, 반성문 등을 제출함으로써 자신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지만, 피해자나 피해자의 가족들은 그러한 기회가 없다. 그러므로 피해자나 피해자의 가족들은 수사기관이나 법원에 탄원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는 것이 형사사건에 참여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반성문은 자필로 쓰는 것이 좋다. 인간적으로 그게 더 정성 들인 자필이 좋다. 반성문의 분량은 내가 말한 편지지 기준 한장 반에서 두장 반 정도가 괜찮다고 본다. a4용지 기준으로는 글 문장이 안 생각난다면 글을 길에 늘여 쓰는 방법이라도 써는 것이 좋다. 좀더 풀어서 서술하던지 똑같은 단어 중에 한두 글자라도 더 긴 단어를 쓰는것도 좋다.
본인이 본인의 죄를 빨리 시인할 경우. 각 단계마다 반성문을 제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경찰조사를 받을 때에도 미리 반성문을 써가지고 가서 형사에게 반성문을 제출했고, 검사님께 드릴 반성문도 조서를 쓰고 난 뒤 바로 형사에게 제출해 조서 뒤에 같이 붙여서 송치되게 했다. 검찰로 송치된 후 우편으로 검사님께 하나 더 보내려고 써뒀는데 그 전에 결과가 나와서 그럴 필요는 없었다. 그렇게 절박해야 하다. 어떤 결과가 나오던지 간에 적어도 할것은 다 해야 한다.
결국 반성문에 정해진 형식 그런 거 없다. 내가 지금까지 쓴 글도 무시해도 된다. 어차피 결국 자신의 범죄 그 자체와 현행법의 기준으로 처분이 결정되는게 맞고 반성문을 잘 쓴다고 해서 형량이 크게 줄어들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최선을 다해 적어야 한다. 본인이 미 작성시 대필을 하더라도, 진심을 담아 통렬히 반성하고 있음을 적으면 별 차이가 없다. 즉, 본인이 쓴 글이나 대필에 있어 별 차이가 없다.
참고자료
없음
  • 가격6,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11.28
  • 저작시기202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11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