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학서간행과 훈민정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학서간행과 훈민정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자료 목록 및 소개
1. 『천자문(千字文)』
2. 『훈몽자회(訓蒙字會)』
3. 『신증유합(新增類合)』
Ⅲ. 『천자문(千字文)』, 『훈몽자회(訓蒙字會)』, 『신증유합(新增類合)』의 비교

본문내용

의 경우에만 나타나는데, 새김의 표기에서는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니·니을 : 니’, ‘마 : 마’ 등과 같이 탈락된 어형과 탈락되지 않은 어형이 혼동을 보이고 있다. 작은 예이지만, 방언을 반영한 듯, ‘ㅅ’으로 나타난 ‘구슈’·‘첫암’ 등도 보인다. 그러므로 ‘ㅿ’도 의고적(擬古的)인 표기일 뿐이고 이미 음소의 자격을 잃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 책은 이상과 같이 국어사자료가 되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한자교육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도 가치가 있다.
3) 신증유합과 훈민정음의 관계
훈민정음 창제가 한문중심 교육과정자체에는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없었으나, 교육의 보조수단 면에서는 다음 두 가지의 아주 큰 변혁을 가져왔다.
① ≪천자문≫은 물론, ≪유합≫ 이하 우리나라 사람들의 손으로 편찬된 기초한자교본들의 대자(大字) 밑에 국문으로 훈과 음을 달아 놓은 일이다.
② 사서오경을 비롯한 중요 교재를 언해(諺解)하여 학습에 도움이 되게 한 사실이다.
훈민정음이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라는 뜻처럼 하층민의 문자라는 개념이 강해 초기에는 ‘언문’이라고도 불리고, 한문을 보조해 경전이나 시문을 언해하는 작업을 하는데 그쳤으나, 현대에 와서는 결국 이름 그대로 대부분의 국민이 훈민정음, 즉 한글을 모르는 사람을 주변에서 찾아보기가 힘들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한문을 주 언어로 사용하던 중세후기에 신증유합이 초학소인들의 한자 교습서가 되어왔고, 지금의 우리글을 갖게 되었다는 점에 큰 기여를 했다.
Ⅲ. 『천자문(千字文)』, 『훈몽자회(訓蒙字會)』, 『신증유합(新增類合)』의 비교
내용
특성
훈민정음과의 관계
1)『천자문』
1,000개의 한자로 이루어진 운문 형식의 4자구로 총 250구를 의미구성과 압운방식에 따라 8개의 단락으로 편성된 한자 입문서
오천 자가 넘는 한자 중에 천 자의 한자를 추려서 수록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일상생활에 두루 활용됨
천자문의 한글 석음은 천자문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임과 동시에 우리글을 익히는 수단도 되었음
2)『훈몽자회』
중종 22년경에 최세진이 편찬한 초학자용 한자 학습서
「시경」에 나오는 물명(物名)이나 글자를 알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자(實字)를 익히게 할 목적으로 편찬
초간본은 3권 1책으로 되었으며 넉 자씩 운(韻)을 맞추어 분류별로 모아 놓은 ‘사자유취(四字類聚)’방식으로 편찬
한자에 우리말(훈민정음) 음과 뜻을 달아놓은 한자 학습서
훈민정음이 한자의 학습과 이해에 큰 역할을 했음을『훈몽자회』를 통해 알 수 있음
3)『신증유합』
≪유합≫을 증보하고 수정하여 3000자의 한자를 수록한 한자 입문서
한자의 한글독음에 있어서 ‘’이 쓰이지 않았다는 것과 ‘ㅿ’은 아직 남아 있음
한자에 대한 자석과 한자음을 훈민정음으로 기록해 그 시대에 따른 고어와 한자음의 변천을 보여줌
참고 문헌
반재원, 「씨아시말」 , 반재원, 백암, 2009
심경호, 「천자문의 구조와 조선시대 판본에 관한 일고찰」, 2011
오정애, 「19세기 『천자문』의 표기와 음운현상 연구」, 2009
이효선, 「한국 역대 천자문 류용자 연구」, 2012
허웅,「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
박형익,「문헌자료와 해제」, http://www.hangeulmuseum.org/, 디지털한글박물관, 2015
박형익, 「가정교육」,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5
박형익, 「교과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5
김문기, 「어휘학습서로서의 『훈몽자회』」, 한글학회, 2009.
김진규, 「훈몽자회 중권의 同訓語 연구」,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01.
김종택, 송창선, 「천자문」, 「유합」, 「훈몽자회」의 어휘분류 체계 대비」, 한국어문학회,1991.
디지털 한글박물관(http://www.hangeulmuseum.org/) 문헌 자료와 해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국립국어연구원(1996), \'중세 국어 자료\', \"국어의 시대별 변천, 실태 연구 1-중세 국어-\", 국립국어연구원
이기문, 이호권(2008), \"국어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김동소, “중세한국어개설”, 한국문화사, 2003
김종훈,박영섭,박동규,김태곤,김종학, “한국어의 역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오완규, 천자문,훈몽자회,신증유합 자석 연구, 공주대학교 학위논문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12.04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1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