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지역통합, 국제회의와협상 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프리카 지역통합, 국제회의와협상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프리카 연합 (AU: African Union)
1) 설립배경 및 과정
2) 목적
3) 주요기구
4) 활동영역
5) 한계
2. 아프리카 지역경제공동체
1)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OWAS)
2) 중부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CAS)
3) 아랍마그레브 연합(AMU)
4) 동남아프리카 공동시장(COMESA)
5) 남부아프리카 개발공동체(SADC)
6)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Ⅲ. 결론

본문내용

싶다. 지역 내 협력을 통해 아프리카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 성장을 추진해 나가는 모습을 모두가 주목하고 응원해 줘야할 것이다.
앞으로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어찌됐건 아프리카 시장은 더욱 커질 것이고 풍부한 자원과 노동력을 바탕으로 성장할 것이다. 그 예로 활발하게 경제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남아프리카 개발공동체(SADC)를 중심으로 동남아프리카 공동시장(COMESA)와 동아프리카 공동체(EAC)는 3개 공동체를 아우르는 그랜드 자유무역협정(FTA)가 1년안에 출범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는 아프리카연합(AU) 가입국의 절반가량으로 모두 6억명 인구에 국내 총생산(GDP)가 약 1조 달러에 달하는 역내 최대 공동시장의 탄생을 앞두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아프리카는 지역통합을 활용하여 점점 더 시장을 확대해 나갈 것이고 국제정치경제에서 큰 힘을 행사하게 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성장잠재력이 큰 아프리카지역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미 미국, 중국, 일본, EU 등 경제대국들이 아프리카와의 협력과 투자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한국 또한 노무현 정부 때부터 아프리카와의 관계를 중요시하고 이명박 정부 때 아프리카 자원외교를 활발히 하는듯했으나 큰 성과는 거두지는 못한 듯하다. 하지만 정부가 바뀌었다고 할지라도 아프리카 지역공동체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아프리카지역에 대한 최근 동향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미래 발전가능성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협력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참고문헌
박원탁 외 1명(1991), 서아프리카 지역통합, 『아프리카연구 6』 pp.5-69
배성일 외 3명(2011), 아프리카 지역경제공동체와의 전략적 협력 확대 방안 연구, 『한국개발전략연구소』
서상현(2011), 아프리카의 지역통합과 지역별 개발의제, 『국제개발협력』 pp.157-164
신원용(2003), 아프리카 지역통합방식의 변화와 과제, 『한국아프리카학회지』 제17집 pp.95-108
여강모(2003), 남부아프리카 지역통합의 대내외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프리카학회지』 제17집 pp.109-133
여강모(2005),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지역통합과 세계화: 새로운 발전전략의 모색, 『영산대학교』
전혜린(2014), 동아프리카공동체 추진 현황과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제8권 제20호
최창환(2013), 아프리카 국제개발협력 지원 결정요인 분석, 『무역학회지』 제38권, 제5호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12.14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19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