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교육의 변화와 실태 및 온라인 교육과 미래의 교육방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코로나19로 인한 교육의 변화와 실태 및 온라인 교육과 미래의 교육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온라인수업의 형태별 분석
2. 온라인 학습 플랫폼별 비교

Ⅲ. 코로나 19와 온라인 교육
1. 변화를 요구하는 미래교육
2. 문법과도 같은 학교의 변화

Ⅳ. 코로나19로 인한 교육의 변화와 실태

Ⅴ. 코로나 19 인한 온라인 교육과 미래의 교육방향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문성을 재정의해야 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되고, 다양한 형태의 에듀테크 기반 학습이 일상화되면 정련된 지식을 전수하는 능력을 갖추었다는 것이 교사의 존재이유를 설명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교사는 교육과정 설계자, 배움의 촉진자, 학생들 사이의 관계 코디네이터, 배움과 관계에서 나타나는 소외 치유자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리고 이와같은 역할을 좋은 교육과 좋은 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바탕으로 할 때 빛을 발하게 된다. 전학공은 이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준비하는 것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본 보고서에서는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코로나 19와 온라인 교육에 대해 살펴본 후, 코로나19로 인한 교육의 변화와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코로나 19 인한 온라인 교육과 미래의 교육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연구과정에서 한계점이 있었다. 우선,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교육에 관한 외국사례에 대한 자료수집이 어려워 사례분석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분석 할 수 없었다. 또한 제한된 개인의 능력부족, 전문적인 지식의 결여로 자료의 수집이 미진하였거나 해석상의 오류도 있을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제한 요소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음을 물론 연구내용이 미흡하였음을 밝혀둔다.
코로나19는 지금까지 겪어온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와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우리의 삶을 변화시킨 최초의 바이러스이다. 코로나19의 정치·경제적 영향, 국가과학기술정책, 보건교사의 정서적 경험 등에 관한 연구는 진행된 바있지만(손미아, 2020; 윤철기, 2020; 이명화, 2020; 최예린, 2020),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교육실태 및 미래의 교육방향에 대해 제언하였기에 매우 시의적절하게 청소년 교육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향후 연구방향으로 온라인 교육에 대한 조사 범위를 좀더 확대하고, 합리적인 조사와 실증적 사례를 통한 후속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교육의 미래 교육 방향을 심각히 고려하여 정책적 대안으로 활용하기를 바라며 본 연구를 마무리 짓고자 한다.
[참고문헌]
교육부(2020. 3. 2).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교육 분야 학사운영 및 지원방안 발표. 보도자료.
교육부(2020. 3. 27).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 기준안 마련. 보도자료.
교육부(2020. 3. 31). 처음으로 초중고특 신학기 온라인 개학 실시(코로나19). 보도자료.
교육부(2020. 5. 14). 고3 등교 대비, 학생 안전을 위한 학사 운영방안 공유. 보도자료.
김도기 외(2019). 미래학교의 개념 및 공간 설계의방향 탐색. 교원교육, 35(2), 119-146.
류지헌, 김민정, 고기정(2005).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지각한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1(4), 191-220.
박중열(2020). 코로나19로 촉진된 대학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고찰. 기계저널, 60(7),32-36.
배재현(2016).“메르스 사태로 본 국가재난대응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중대본중수본 운영체계를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1(3). 27-53.
백병부(2019). 경기도교육청 학교혁신 정책의 성과와 과제: 2009년 이후 학교변화에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5(2), 121-148.
백병부·이수광(2019). 학교문법 재구성을 통한 학교혁신의 목표와 전략. 교육문화연구,25(4), 161-187.
오미애, 전진아(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소셜 빅데이터 기반 주요 이슈 분석”. 보건복지 ISSUE&FOCUS. 376(2020). 1-12
연합뉴스(2020. 4. 9). 경기교육연구원, 일상화한 감병병 속 교육과제 포럼 개최.
이경호(2019). 제4차 산업혁명시대 학교교육 혁신방안 탐색: 미국 미네르바 스쿨 혁신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1), 179-199.
손미아(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와 자본주의 모순의 심화. 진보평론, (83), 223-255.
손헌일 외(2020).“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부산시 정책 대응”. BDI 정책포커스. 1-12.
윤철기(2020). 2020년 동북아 정세전망: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공포와 정치의 위기. 성균차이나브리프, 8(2), 63-69.
이명화 (2020). 코로나19 사태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정책의 방향. FUTURE HORIZON, 48-55.
이쌍철, 김정아 (2018).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6(2). 115-138.
이영희 외(2018).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교육문화연구, 24(5), 127-153.
정혜욱(2020).“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개학 : 실태조사와 청소년의 심리적 건강에 미친 영향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영탁(2018). 에듀테크 교육혁명과 인재 양성. 한국IT서비스학회 2018추계학술대회자료집, 5-12.
조한혜정(2020). 인류사 최초의 온라인개학을 응원하며. 경향신문, 4월 19일
최예린 (2020). 코로나19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적 경험과 달라진 어린이집 일상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22(1), 253-279.
최현규, 조순목(2021). 코로나 이후, 온라인 체육교육의 실태와 발전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Toffler, E & Toffler, H.(2006). Revolutionary Wealth: How it will be createdand how it will change our lives. New York: Crown Business. 김종웅역(2006). 부의 미래. 청림출판.
Tyack, D. and Cuban, L.(1995). Tinkering toward Utopia: A Century of PublicSchool Reform.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가격4,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21.03.0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60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