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대학 온라인 교육 개선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대학 온라인 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 서론

II. 온라인 교육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온라인 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2. 코로나 19로 맞이한 온라인 학습플랫폼의 변화
3.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요구되는 수업 설계

Ⅲ.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Ⅳ. 대학교육 온라인 교육 개선방안
1. 온라인 출석의 한계점과 개선
2. 온라인 과제 및 성적 평가의 공정성 확보
3.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경험 및 개선
4. 온라인 수업에서 개선할 수업 설계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 배경을 고찰하고,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온라인 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대학 온라인 교육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연구과정에서 한계점이 있었다. 우선, 온라인 교육에 관한 외국사례에 대한 자료수집이 어려워 사례분석을 할 수 없었고, 온라인 교육 실태 분석시 1차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기가 쉽지 않아 2차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므로 분석이 다소 미흡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한된 개인의 능력부족, 전문적인 지식의 결여로 자료의 수집이 미진하였거나 해석상의 오류도 있을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제한 요소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음을 물론 연구내용이 미흡하였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향후 연구방향으로 대학 온라인 교육에 대한 조사 범위를 좀더 확대하고, 합리적인 조사와 실증적 사례를 통한 후속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대학 온라인 교육 개선방안을 심각히 고려하여 정책적 대안으로 활용하기를 바라며 본 연구를 마무리 짓고자 한다
[참고문헌]
교육부 보도자료 (2020.9.). 포스트 코로나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 지원방안. 고등교육정책실.
김동심, 이명화 (2019). 고등교육 교수자의 온라인 교육 인식: A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연구, 19(13), 845-867.
김보영, 한승우(2020). 코로나19로 인한 비자발적 ‘대학 온라인 강의’에 대한 만족도 연구. 교양학연구, 13, 7-31.
김상미 (2020). 코로나 19 관련 온라인 교육에 관한 국내 언론기사 분석. 디지털 콘텐츠학회논문지, 21(6), 1091-1100.
도재우 (2020).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26(2), 153-173.
박중열 (2020). 코로나 19로 촉진된 대학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고찰. 기계저널, 60(7), 32-36.
박형수 (2020.9.17.). 친구 없어 우울: 온라인 수업, 갈수록 만족도 줄었다. 중앙일보,경제면.
박혜진 (2018). 대학에서 좋은 수업에 관한 학습자 인식 사례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9(4), 161-181.
방인자 (2020).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내러티브와교육연구, 8(2), 203-232.
송충진 (2014). 대학에서의 교수 학습활동과 의사소통,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교수자와 학습자간 인식 차이와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5(2),171-200.
윤현수 (2020). 코로나 19 펜데믹(Pandemic) 상황에서 고등학교 경력체육교사가 겪는 온라인 수업 실천의 어려움과 극복 전략 탐색. 학습자중심교과연구, 20(14), 339-362.
이두익 (2020.03.24.). 대학생이 꼽은 온라인 강의 단점 10가지. 이코리아, 사회면
이보영. (2020).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4(4), 97-112.
이쌍철, 김정아(2018). 학생의 온라인 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6(2), 115-138.
이은주, 박인우(2012).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만족도에 대한 컴퓨터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학습자 참여의 예측관계 분석, 열린교육연구, 20(2), 195-219.
이종만 (2020). 코로나 19 원격교육에서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7), 343-351.
이지연, 이재경(2005). 이러닝의 개념화를 위한 일 고찰. 한국성인교육학회; 안드라고지 투데이, 8(3), 1-31.
이혜정, 김태현(20l8). 이러닝 콘탠츠 제시 유형이 학습결과에 미치는영향. 평생학습사회 4(1), 75-94.
정주영(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학교육 질 제고 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미래교육학연구 제33권 제3호
최원호, 전영국 (2020).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수업 중심으로. 현장수업연구, 1(2), 1-2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2020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코로나 19와 대학 온라인 교육. 고등교육, 학술연구 에디션, 7월호 특별, KERIS 고등평생교육부.
한송이, 남영옥(2020).“대학의 온라인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수역량 요인 요구분
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3), 1129-1149.
Bainbridge, W. S.(2004). Berkshire Encyclopedia of Human Computer Interaction, Vol. 2. Great Barrnington, MA: Berkshire Publishing Group.
Christopfer, D. A.(2003). Interactive large lecture classes and the dynamics of teacher/ student interaction. Journal of Instruction Delivery Systems, 17(1), 13-18.
Jereb, E., B. Smitek.(2006). Applying multimedia instruction in e-Learning. Innovations in Education & Teaching International, 43(1), 15-27.
Khan, B. H.(2005). Managing e-learning: design, delivery,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Hershey, PA : Information Science Pub
Welker, B. G., & L. Berardino.(2006). Mlenided learning:: Understand the middle ground between traditional classroom and online instruction. journal of Eucational Technology Systems, 34(1), 33-55.
  • 가격4,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21.03.0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60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