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자원의이해1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화자원의이해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단어는 무엇인가? (3점)

고인돌은 ( ㉠ ) 군장의 가족묘로, ( ㉡ ) 과/와 함께 거석문화로 알려져 있으며, ( ㉢ ) 가/이 고인돌 분포의 중심국가이다.


2. 광개토왕이 고분의 주인이라는 의견이 제기되는 고구려의 고분 2개는 무엇인가? (3점)
3. 고구려 벽화고분의 그림 내용을 시대순으로 나열하시오. (3점)
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단어는 무엇인가? (3점)

무령왕릉은 ( ㉠ ) 시대의 고분으로, 무덤 형태는 ( ㉡ ) 이다.

5. 금관총, 천마총, 황남대총 등은 어떤 형태의 고분인가? (3점)
6. 다음은 사찰의 어떤 건축물에 해당하는가? (3점)
7. 한국, 중국, 일본의 대표적인 탑의 재료는 무엇인가? (3점)
한국 :
중국 :
일본 :
8. 일반적인 탑의 명칭에서 알 수 있는 정보를 모두 기술하시오. (3점)
9. 무불상시대에 불상 대신 예배의 대상이 되었던 것들은 무엇인가? (3점)
10. 석굴암 불상이 취하고 있는 수인은 무엇인가? (3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탑신부
⑴ 기단부 위에 놓이는 탑의 몸체
⑵ 전통 가옥에 비유하면 몸체와 지붕에 해당
⑶ 몸돌(옥신석)과 지붕돌(옥개석)로 구분
⑷ 탑 층수 : 탑신부의 몸돌 + 지붕돌의 수
3. 상륜부
⑴ 탑의 맨꼭대기를 차지하는 장식물
⑵ 노반
⑶ 복발
⑷ 앙화 : 꽃잎모양으로 보륜을 감싸고 있는 구조물
⑸ 보륜
⑹ 보개
⑺ 수연 : 보개위에 놓이는 불꽃모양의 장식
⑻ 보주 : 일명 여의주, 여의보주
탑은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 등 세 부분으로 나뉜다. 탑의 층은 홀수, 수평의 모양은 짝수이며 10은 불교에서 모든 것을 아우르는 원만수다. 탑신부는 탑의 몸체라 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층으로 탑신과 옥개받침, 옥개석(屋蓋石)으로 이루어진다. 탑의 층수에서 상륜부는 중요하지 않으며 탑신부에 있는 옥개석만 헤아리면 된다.
한국의 석탑은 인도의 초기 스투파와 달리 목조 건축적 요소가 다분하다. 현존하는 최초의 석탑인 미륵사지 석탑은 목조건축을 번안하였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많은 석탑이 기단, 계단, 초석, 기둥, 벽, 내부 공간, 지붕돌 등 다양한 목조 건축적 요소로 구성되었는데 기단부를 한 덩어리로 괴체화(塊體化) 되어 있는 석조 미술품에서처럼 대좌로 명명하는 것은 어울리지 않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의미를 고려하여 보면 그간 기단부라 칭하였던 부분을 탑기부(塔基部)라고 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으로 검토해 볼 만하다.
9. 무불상시대에 불상 대신 예배의 대상이 되었던 것들은 무엇인가? (3점)
불상이 처음 조성된 시기는 1세기경인 인도의 쿠샨 왕조(Kushan王朝) 시대였다. 그 이전 수세기 동안에는 부처의 전생의 선행을 이야기한 본생담(本生譚)을 묘사한 본생도(本生圖), 또는 일생의 중요한 사건이나 가르침의 내용을 묘사한 불전도(佛傳圖)가 회화나 부조 등 여러 가지 상징적인 형태로 표현되어 숭앙되었다. 불상 표현의 이러한 단계를 무불상(無佛像) 표현 시대라고 한다.
10. 석굴암 불상이 취하고 있는 수인은 무엇인가? (3점)
경주 불국사 석굴암 본존불의 수인을 보면 무릎 위에 손 가는대로 편안하게 내려놓은 것 같지만 사실은 의미가 남다르다. 이 손모양은 석가모니부처님께서 득도할 때 취했던 자세로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으로 불린다. 배꼽 아래 두 손바닥을 겹쳐놓고 양 엄지를 마주 대는 형식의 ‘선정인’에서 오른손을 풀어 무릎 아래쪽을 가리키는 형태이다.
참고문헌
한국문화자원의이해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9.16
  • 저작시기202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5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